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결합 도시

연결합 도시

(과학과 예술, 도시에서 만나다)

김윤철, 김제민, 김태용, 배윤호, 서준환, 오재우, 이기명, 전응진, 최재경, 한유주, 함성호 (지은이), 박영선 (엮은이)
이학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500원 -10% 870원 14,880원 >

책 이미지

연결합 도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연결합 도시 (과학과 예술, 도시에서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1472937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17-04-20

목차

머리말

스케치들: 공감각적 도시를 위하여

대화_최재경, 함성호, 서준환, 한유주, 박영선

도시는 어떻게 인간의 마음을 담을 수 있는가?: 인디트랜스 협업 프로젝트를 기획하며_함성호
4차원 인간_최재경
숨겨진 차원?_전응진
서울과 프라하, 근대적 시공간이 형성될 무렵의 몸살_서준환


설계도 1: 수미쌍관-튜브맨-없

수미쌍관_최재경
튜브맨_서준환
없_한유주


설계도 2: 사이의 잠재태를 위한 연결합 도시


설계도 3: 연결합 도시, 그 조우

연결합 도시, 그 조우_함성호

흩어진 합_김윤철, 김제민, 김태용, 박영선, 배윤호, 서준환, 오재우, 최재경, 한유주, 함성호

또 다른 합
대담_전응진, 한유주, 함성호, 서준환, 최재경, 이기명, 배윤호, 박영선, 오재우, 김제민, 김윤철, 김태용
전응진, 배윤호, 최재경, 김제민, 이기명, 오재우, 김태용, 박영선


부록: 인디트랜스의 작은 역사_박영선

참고 문헌

엮은이와 지은이의 자기소개

찾아보기

저자소개

함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문학과사회』 여름호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으며, 이듬해 1991년에는 『공간』 건축 평론 신인상을 받았다. 시집으로 『56억 7천만 년의 고독』, 『聖 타즈마할』, 『너무 아름다운 병』, 『키르티무카』, 『타지 않는 혀』가 있으며, 티베트 기행 산문집 『허무의 기록』, 만화 비평집 『만화당 인생』, 건축 평론집 『건축의 스트레스』, 『당신을 위해 지은 집』, 『철학으로 읽는 옛집』, 『반하는 건축』, 『아무것도 하지 않는 즐거움』을 썼다. 현대시작품상(2001년)을 수상했다.
펼치기
함성호의 다른 책 >
서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 『문학과 사회』로 등단했으며, 작가와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펴낸 책으로는 소설집 『너는 달의 기억』 『파란 비닐 인형 외계인』 『고독 역시 착각일 것이다』 『다음 세기 그루브』가 있고 장편소설 『골드베르크 변주곡』 『로베스 피에르의 죽음』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프랑스 소설 『알렉스』 『일렌』 『카마유』 『로지와 존』 『어린 왕자』 『갑자기 혼자가 되다』가 있으며 영미 에세이 『무작정 소설쓰기? 윤곽잡고 소설쓰기!』 『인간의 130가지 감정 표현법』 『주말 소설가』 등이 있다.
펼치기
한유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2년 서울에서 태어나 2003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소설집 『연대기』, 『나의 왼손은 왕, 오른손은 왕의 필경사』, 『얼음의 책』과 장편소설 『불가능한 동화』 등을 썼으며, 옮긴 책으로 『계속 쓰기』, 『상실과 발견』, 『우리 종족의 특별한 잔인함』, 『그럼에도 작가로 살겠다면』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태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005년 「세계의 문학」 봄호에 단편 「오른쪽에서 세 번째 집」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풀밭 위의 돼지』, 『포주 이야기』, 『음악 이전의 책』, 『확장소설』, 장편소설 『숨김없이 남김없이』, 『벌거숭이들』, 『러브 노이즈』가 있다.
펼치기
배윤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험의 과정이 빠르고 단순해져가는 시대에 무엇을 관찰하고 자신의 경험 과정을 어떻게 표현하고 담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 다큐멘터리를 찍기 시작하였다. <하늘에 간 박물관>(2009), <서울역>(2013), <옥포 조선소>(2015), <키들랏 타히믹의 대나무카메라>(2017) 등의 장편 다큐멘터리를 만들었으며, 공동체 상실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촬영 중이다.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공간연출전공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이기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론물리학자. 콜롬비아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고등과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양자장론, 끈이론과 M이론에 걸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M2 브레인과 M5 브레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김제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극단 ‘거미’와 ‘Creative Group M’의 대표 및 상임 연출을 맡고 있으며 현재 청운대학교 무대예술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전응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를 받은 후, 독일 뮌헨 공대, 이탈리아 이론물리연구소 등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서울대 연구 교수를 거쳐 2002년부터 고등과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성미자와 암흑 물질의 성질을 탐구하고, 새로운 현상의 예측과 검증을 통하여 표준 모형을 넘어서는 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헬로, 사이언스』(공저) 등
펼치기
최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포항공과대 교수와 서울대 교수를 거쳐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고등과학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미분 기하학, 특히 최소 넓이를 갖는 극소 곡면론 연구에 헌신한 공로로 1995년 한국과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윤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가, 전자 음악 작곡가. 현재 서울에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최근작은 유체역학의 예술적 잠재성과 메타 물질(포토닉 크리스탈), 전자 유체 역학의 맥락에 집중되어 있으며, 작품은 ZKM(독일), Ars Electronica(오스트리아), 국제 뉴미디어아트 트리엔날레(중국), VIDA 15.0(스페인), Ernst Schering Foundation(독일),Transmediale(독일), New York Digital Salon(미국), Electrohype(스웨덴), Medialab Madrid(스페인) 등 국제적으로 선보였다.
펼치기
오재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회화와 미디어 아트를 전공했고, 사회 안에서 미술로 불리는 무엇과 미디어의 발전에 따른 환경과 인식의 변화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08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Sema2008》전을 비롯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에서 열린 전시에 참여하였고 서울스퀘어, 미술관, 서울 일대 등에서 몇몇 프로젝트와 퍼포먼스를 기획하였다. 2009년 아트스페이스 휴에서 개인전 《만성적 판단 유보》을 가졌고, 2011년 아트라운지 디방에서 두 번째 개인전 《Collector’s Choice》를 가졌다. 이 프로젝트는 2012년 뉴질랜드 웰링턴에서 확장된 방식으로 전시되었다. 2015년 《홍상표 작가만들기》를 통해 사회 안에서 예술가의 조건과 창작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하였고 《도시 어르기》를 통해 도시를 무대로 만드는 퍼포먼스를 기획하기도 하였다. 2016년에는 전통음악을 하는 소리꾼과 《깊은 사랑》이라는 공연을 구성해나가면서 현재 한국과 전통 그리고 미래에 대해서 고민하며 작업하고 있다.
펼치기
박영선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에서 철학, 홍익대와 숭실대 대학원에서 사진과 미디어아트를 공부했고, 「디지털사진과 기억예술: 디지털사진 기반 시각예술에 나타나는 기억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진아카이브 책임연구원과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원을 지냈다. 근현대 문명의 세부를 결정하는 시각매체인 사진과 시스템의 관계, 그것을 매개로 펼쳐지는 문화예술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해왔다. 《또 다른 시간》, 《인왕산과인왕산과》 등의 개인전을 열었고, 『지역아카이브, 민중 스스로의 기억과 삶을 말한다』, 『풍경 너머 풍경』, 『체계와 예술』, 『연결합도시』 등의 공저,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디지털 아카이빙과 사진의 상호관계」, 「아카이브 다시 그리기」 등의 연구논문을 썼다.
펼치기
박영선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473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