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양고대철학 1

서양고대철학 1

(철학의 탄생으로부터 플라톤까지)

김주일, 최화, 박희영, 김헌, 강철웅, 김인곤, 이기백, 이정호, 정준영, 김유석, 강성훈, 전헌상, 손윤락, 유혁, 김대오 (지은이)
길(도서출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양고대철학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양고대철학 1 (철학의 탄생으로부터 플라톤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고대철학 일반
· ISBN : 9788964450628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3-02-18

책 소개

서양고대철학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기준으로 삼아 그리스 철학의 탄생으로부터 플라톤까지를 담은 이 책은, 균형 잡힌 시각과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해 장별로 서로 다른 연구자가 저술하는 공동 저작의 형태를 취했다.

목차

책머리에 5
일러두기 12

제1부 철학의 탄생과 최초의 철학자들

제1장 그리스 철학의 탄생 / 박희영 15
1. 철학사를 왜 배우는가 15
2. 그리스인들의 종교적 사유 18
3. 그리스의 신화 및 문학 체계와 철학적 사유 25
4. 철학의 탄생 43

제2장 밀레토스학파 / 손윤락 47
1. 신화와 철학 47
2. 탈레스 51
3. 아낙시만드로스 58
4. 아낙시메네스 68
5. 맺는 말 77

제3장 피타고라스학파 / 이기백 79
1. 피타고라스 79
2. 필롤라오스 92
3. 기원전 5세기의 이른바 피타고라스주의자들 99

제4장 헤라클레이토스 / 김인곤 109
1. 수수께끼 철학자 109
2. 로고스의 진리 116
3. 우주론 124
4. 영혼론 134
5. 맺는 말 140

제5장 엘레아학파 / 강철웅 145
1. 엘레아학파를 찾아서 145
2. 노모스 너머 퓌시스를 탐색하는 시인 철학자 크세노파네스 148
3. 퓌시스 너머 길과 진리를 찾는 철학자 시인 파르메니데스 157
4. 엘레아주의를 대변하는 패러독스의 철학자 제논 175
5. 엘레아주의의 교과서 멜리소스 181
6. 파르메니데스의 유산 186

제6장 다원론자들 / 김주일 191
1. 그리스 다원론의 철학사적 배경: 엘레아학파와 그리스 다원론의 성립 191
2. 엘레아학파와 다원론의 관계 192
3. 있는 것은 무엇인가 194
4. 운동에 대한 다원론의 설명 204
5. 다원론자의 인식 이론 212
6. 다원론자들과 새로운 시대의 도래 215

제2부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제7장 소피스트(1) / 김대오 227
1. 소피스트는 어떤 사람들인가 229
2. 쟁론술과 반론술 235
3. 언어 이론, 수사학 238
4. 지각 이론, 인식론 240

제8장 소피스트(2) / 전헌상 245
1. 법과 자연 245
2. 덕의 교사로서 소피스트 257
3. 사회 사상 261
4. 신과 종교 268

제9장 소크라테스 / 김유석 273
1. 소크라테스라는 퍼즐 273
2. 재판: 소크라테스를 향한 고발들 276
3. 재판의 이면: 더 오래된 고발들 281
4. 소크라테스의 변론, 혹은 철학의 선언 286
5. 삶의 검토로서의 철학적 대화 290
6. 소크라테스의 후예들 299
7. 맺는 말 303

제3부 플라톤

제10장 플라톤의 윤리학 / 유혁 309
1. 플라톤 읽기 및 작품 해석에 따르는 논점들 309
2. 윤리학의 근본 문제와 그 중요성 312
3. 행복 그리고 앎으로서의 덕(德) 314
4. 덕의 단일성 326
5. 정의 그리고 좋음에 대한 앎 328

제11장 플라톤의 영혼론 / 강성훈 341
1. 플라톤 영혼론의 배경 341
2. 영혼과 자아 343
3. 영혼의 부분 347
4. 영혼 불사와 그에 대한 증명 356

제12장 플라톤의 인식론 / 정준영 367
1. 플라톤 인식론의 배경과 문제의식 367
2. 정의적(定義的) 앎의 추구와 엘렝코스의 방법 370
3. 배우는 자의 역설과 상기론, 그리고 플라톤의 인식 모델 372
4. 앎의 객관성과 앎의 대상, 그리고 방법론 382
5. 앎의 의미와 실천 389

제13장 플라톤의 형이상학 / 최화 395
1. 플라톤 저술의 의도 395
2. 이데아 399
3. 아페이론 404
4. 능동자(포이운) 408
5. 우주론 412

제14장 플라톤의 정치철학 / 이정호 417
1. 들어가는 말 417
2. 토대와 배경 418
3. 목표와 과제 421
4. 이념: 이상국가 425
5. 영혼의 정치학 435
6. 본(本)으로서의 이상국가 440
7. 현실의 구제 442
8. 현실국가 그 결핍태들 450
9. 실물로서의 현실국가: 『법률』 453
10. 맺는 말: 플라톤 정치철학의 의의 463

제15장 플라톤의 예술철학 / 김헌 471
1. 아름다움을 사랑하는 사람 471
2. 인식과 존재의 세 가지 구분 475
3. 아름다운 것들과 '아름다움' 자체의 구분 479
4. 아름다움의 확장과 층위 483
5. 아름다움이 깃드는 순간 487
6. 아름다움에 대한 한갓 의견과 참된 삶 492
7. 플라톤과 '미학' 498
8. 플라톤과 '예술' 502
9. '철학자-시인' 플라톤 508

전체 참고 문헌 516
집필진 소개 523

저자소개

김주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플라톤의 철학에 미친 파르메니데스의 영향에 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와 군산대학교에서 그리스로마 신화와 글쓰기 등을 강의한다. 그리스로마 고전을 연구하고 번역하는 정암학당의 연구원으로서 고대 그리스철학 원전들을 연구 및 번역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럼 누가?』 공저로 『서양고대철학 1』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을 바꾼 역사』 『플라톤의 그리스 문화 읽기』 『고전의 고전』이 있다. 번역으로는 플라톤의 『에우튀데모스』 『파이드로스』, 크세노폰의 『소크라테스 회상』(이상 단독), 『아빠와 함께 떠나는 철학여행』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선집』, 플라톤의 『편지들』 『알키비아데스 I, II』 『법률』,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이상 공역)이 있다.
펼치기
최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빠리-소르본느대학교(빠리 IV대학)에서 플라톤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5년 이후 경희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프랑스철학회 및 한국고전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박홍규의 영향을 깊이 받은 그는 스승과 같이 플라톤과 베르크손의 형이상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한국철학을 위해 지각의 형이상학을 준비하고 있다. 역서로 라베쏭의 『습관에 대하여』와 베르크손의 『물질과 기억』,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저서로 『박홍규의 형이상학』 등이 있다.
펼치기
박희영 (감수)    정보 더보기
1952년 충남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76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고르기아스편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은 후, 1980년부터 경남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프랑스로 유학, 1987년 파리 제4대학에서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편과 소피스트편의 존재에 관한 고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1988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외국어대 철학과 교수로 있다. 한국철학회 이사,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 한국서양고전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공저, 서광사, 2001), 『서양고대철학 1』(공저, 도서출판 길, 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향연』(문학과지성사, 2003), 『그리스인들의 신화와 사유』(아카넷, 2005), 『사물의 성향: 중국인의 사유 방식』(한울아카데미, 200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테세우스 영웅 신화에 대한 분석」, 「그리스 신(theos) 개념의 형성과 철학적 사유」, 「헤스티아 의식을 통해서 본 그리스 종교의 이성주의적 측면에 대한 고찰」, 「피타고라스의 Tetractys에 관한 고찰」, 「그리스 초기 자연철학의 형이상학적 사유」,「희랍철학에서의 Einai, To on, Ousia의 의미」, 「진정한 자아의 가면을 찾아서: 오르페우스교의 철학적 의미에 대한 분석」, 「고대 그리스철학의 수용과 한국철학의 정립」, 「메소포타미아의 대지모 여신」, 「신화의 변천에 나타난 철학적 세계관과 종교관」, 「디오니소스 신화와 의식의 철학적 의미」, 「플라톤의 데미우르고스와 철학적 우주론」, 「서양 고대철학에서의 철학함과 우리의 철학함의 전형」, 「종교란 무엇인가?: 고대 신화와 의식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과 철학」, 「그리스 정신이 인류지성사에 끼친 영향과 그 한계」, 「고대 원자론의 형이상학적 사고」, 「Polis의 형성과 Aletheia의 개념」,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에 관한 고찰」, 「Zenon의 逆理에 對한 考察」 등이 있다.
펼치기
김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서양고대철학, 플라톤), 서양고전학 협동과정에서 석사 학위(서양고전학, 호메로스)를 받고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서양고전학, 아리스토텔레스)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양 고대 그리스의 문학과 신화, 고전기 아테네의 수사학과 철학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 쓴 책으로는 『고대 그리스의 시인들』(2004), 『인문학의 뿌리를 읽다』(2016), 『그리스 문학의 신화적 상상력』(2016), 『김헌의 그리스 로마 신화』(2022), 『신화의 숲』(2024), 『전쟁터로 간 소크라테스』(2024)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두 정치연설가의 생애』(2013), 『그리스 지도자들에게 고함』(2017), 『‘어떤 철학’의 변명』(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강철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플라톤 인식론 연구로 석사 학위를, 파르메니데스 단편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대 철학과에서 박사 논문 연구를, 케임브리지대 고전학부에서 기원전 1세기 아카데미 철학을 주제로 박사후 연수를 수행했다. 고대 희랍-라틴 고전의 번역과 연구에 매진하는 정암학당의 창립 멤버이자 케임브리지대 클레어홀 종신 멤버이며, 보스턴 칼리지 철학과에서 미 국무부 초청 풀브라이트 학자로, 튀빙겐대 철학과에서 방문 교수로 활동하면서 파르메니데스의 소피스트적 발전과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용 등에 관해 안식년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 강릉원주대 철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설득과 비판: 초기 희랍의 철학 담론 전통』(2017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제29회 열암철학상), 『서양고대철학 1』(공저)이 있고, 편역서로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공역), 『소피스트 단편 선집』(2023 학술원 우수학술도서)이 있으며, 역서로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 『뤼시스』, 『향연』, 『법률』(공역), 『편지들』(공역), 『미노스·사랑하는 사람들』, 존 로크의 『통치에 관한 두 번째 논고』(공역), 존 던의 『민주주의의 수수께끼』(공역, 2016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고대 희랍이 가꾼 문화 자산인 ‘진지한 유희’를 단초로 삼아 우리 담론 문화가 이분법과 배타성을 넘어 열린 자세와 균형을 찾는 데 일조하려 하며, 특히 역사 속에서 희미해진 ‘마이너’들의 목소리를 듣고 되살리려 애쓰고 있다.
펼치기
김인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철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플라톤 철학 연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그리스 고전철학 원전 강독과 번역을 하며, 철학아카데미와 문화센터에서 서양철학 및 인문학 고전 읽기와 개론 강의를 하고 있다. 역서로《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공역),《크라튈로스》(공역),《플라톤의 법률 1, 2》(공역),《서양고대철학 1》(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필레보스』를 중심으로 플라톤의 윤리학과 우주론 및 방법론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정암학당 이사이며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플라톤의 그리스 문화 읽기』(공저), 『고전의 고전』(공저), 『서양고대철학 1』(공저), 『아주 오래된 질문들: 고전철학의 새로운 발견』(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공역), 『히포크라테스 선집』(공역), 플라톤의 『크리톤』, 『필레보스』, 『크라튈로스』(공역), 『법률 1, 2』(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80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티마이오스편에 관한 연구」로 석사과정을 마친 후, 1987년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89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 오리엘 칼리지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임하였다. 현재 그리스 로마 원전을 연구하는 사단법인 정암학당 이사장으로 있다. 저서로 『희랍철학입문』(공저, 종로서적, 1988), 『삶과 철학』(공저, 동녘, 1994), 『서양고대철학의 세계』(공저, 서광사, 1995), 『철학의 명저 20』(공저, 새길, 1993), 『철학의 이해』(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0, 2007, 2011), 『동서양 고전의 이해』(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2, 2010), 『세상읽기와 논술』(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11), 『신화의 세계』(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11), 『서양고대철학 1』(공저, 도서출판 길, 2013), 『영화로 생각하기』(공저, 한국방송통신대, 2005, 2011, 2015)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한국방송통신대, 1983),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공역, 아카넷, 2005), 『크리티아스』(이제이북스, 2007), 『메넥세노스』(이제이북스, 2008), 『편지』(공역, 이제이북스, 2009)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노동과 정치의 형이상학: 플라톤의 『국가』와 『티마이오스』를 중심으로」, 「플라톤 자연론의 성격과 우주」, 「플라톤과 민주주의」,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 분석」,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 「트라시마코스는 정의(正義)를 정의(定義)하지 않았다」, 「초기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토스 토막글 연구」, 「한국 서양고대철학의 학술사적 전개」, 「플라톤 텍스트의 성립과 전승」, 「신화적 세계관과 그리스철학의 기원」,「데모크리토스 인식관련 토막글 연구」, 「서양 고대사상에 있어서 자연학과 윤리학의 관계 및 정치철학적 함의」, 「플라톤의 정치체제론」 등이 있다.
펼치기
정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학과를 거쳐 같은 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플라톤 철학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암학당의 학당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이자 정암학당의 연구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서양고대철학 I』(공저), 『아주 오래된 질문들』(공저), 『플라톤의 그리스 문화 읽기』(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알키비아데스 I·II』(공역) 등이 있다. 플라톤에 관한 여러 편의 글을 썼으며, 이 밖에 호메로스를 다룬 「사사적 지평에서 바라본 호메로스적 아테(atē)」, 비극을 다룬 「메데이아의 자식살해와 튀모스(thymos)」 등을 썼다. 그리스의 서사시와 비극, 그리고 철학을 아우르는 접점을 찾아 이를 인문학적으로 해석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펼치기
김유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파리1팡테옹소르본대학교에서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사)정암학당 연구원이자 대교협 학술연구교수로 활동하면서 플라톤주의 전통의 기원과 역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메가 라학파》(아카넷, 2022), 《서양고대철학 I, II》(길, 2013/2016, 공저), 《플라톤의 그리스문화 읽기》(아카넷, 2020, 공저) 등이 있으며, 《스토아주의》(장바티스트 구리나, 글항아리, 2016)와 《티마이오스》(플라톤, 아카넷, 2019) 등을 번역했다. 〈아이아스, 오뒷세우스, 그리고 소크라테스 : 안티스테네스의 시범 연설 연구〉(2015), 〈크세노폰의 엥크라테이아에 관하여〉(2016), 〈메가라학파의 변증술 연구〉(2017), 〈안티스테네스의 단편에 전개된 소크라테스주의〉(2017),〈안티스테네스와 반플라톤주의의 전통〉(2019), 〈견유 디오게네스의 수련에 관하여〉(2021)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강성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며 정암학당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플라톤의 『에우튀프론』을 번역하였고, 「플라톤의 『국가』에서 선분 비유와 동굴 비유」, 「고대 그리스어 einai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아리스토텔레스는 존재사와 계사를 구분하였는가?」, 「플라톤과 예시논증」, 「플라톤의 『국가』에서 정의와 강제」, 「『파이돈』에서 대중적인 시가와 뮈토스」 등의 논문을 출간하였으며, 『고대 그리스철학의 감정이해』(공저)에서 「스토아 감정이론에서 감정의 극복」, 『마음과 철학』(공저)에서 「플라톤: 영혼의 세 부분」, 『플라톤의 그리스 문화 읽기』(공저)에서 「그리스 종교와 플라톤의 종교사상」 등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전헌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고르기아스』에서의 소크라테스의 참된 정치술」, 「『파이돈』에서의 철학자와 즐거움」, 「성품의 자발성」, 「syngnōmē와 epieikeia –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의 용서의 기초」, 「에피쿠로스와 죽음」 등이 있다.
펼치기
손윤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경북 경주에서 태어나 한국외대 스페인어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플라톤 연구로, 서울대 서양고전학 협동과정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로 각각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프랑스 파리 4대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과 자연철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양고전학 및 고대철학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했으며, 주요 논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변화이론에서 휘포케이메논」(2008),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요소들과 제일 질료의 관계」(2009),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해석」(2010),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서 성격과 덕 교육」(2012)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서양고대철학 Ⅰ』(공저, 도서출판 길, 2013)이 있다. 서울대 사회교육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서양의 인문정신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현재 동국대 다르마칼리지 교수로 있다.
펼치기
유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영국 더럼 대학교 고전학과(Durham University, Department of Classics and Ancient History)에서 서양고대철학을 전공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과 기초교육원에서 후학들을 기르고 있다. 저서로는 『서양고대철학 1』(공저)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플라톤 『법률』편에서 입법의 궁극적인 목표와 원리」, “What do you know when you know yourself? ― Knowing oneself in Plato’s Charmides 165a7ff.”, “Doing what belongs to oneself: Different uses of the formula and different orientations” 등이 있다.
펼치기
김대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나 대전에서 자랐고,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같은 대학원에서 「플라톤의 후기변증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한 논문들을 썼고, 현재 한신대 철학과 교수로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