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식공동체 수유너머 파랑 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 『철학과 굴뚝청소부』를 시작으로, 자본주의와 근대성에 대한 이중의 혁명을 꿈꾸며 쓴 책들이 『맑스주의와 근대성』,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수학의 몽상』, 『철학의 모험』,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필로시네마, 혹은 탈주의 철학에 대한 10편의 영화』 등이다. 사회주의 붕괴 이후 새로운 혁명의 꿈속에서 니체, 마르크스, 푸코, 들뢰즈·가타리 등과 함께 사유하며 『노마디즘』, 『자본을 넘어선 자본』, 『미—래의 맑스주의』, 『외부, 사유의 정치학』, 『역사의 공간』,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등을 썼다. 『코뮨주의』,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삶을 위한 철학수업』, 『파격의 고전』 등을 쓰면서 지금 여기에서의 삶을 바닥없는 심연 속으로 끌고 들어가고 있다.
펼치기
윤여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읽고 쓰고 다니고 옮긴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수유너머의 일원이었다. 중국사회과학원 방문학자로 베이징에서, 도시샤대학 객원연구원으로 교토에서,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로 제주에서 지냈다. 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한국사회론, 지식사회학, 환경사회학, 여행의 사회학, 커먼즈의 사회학을 강의하고 있다. 『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 『물음을 위한 물음』, 『광장이 되는 시간』, 『사상의 원점』, 『사상의 번역』, 『동아시아 담론』, 『지식의 윤리성에 관한 다섯 편의 에세이』, 『상황적 사고』, 『여행의 사고』(전3권)를 쓰고, 대담집 『사상을 잇다』를 펴냈으며,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 『다케우치 요시미라는 물음』, 『다케우치 요시미―어느 방법의 전기』, 『루쉰 잡기』, 『사상이 살아가는 법』, 『일본 이데올로기』, 『조선과 일본에 살다』, 『재일의 틈새에서』, 『사상으로서의 3·11』, 『사회를 넘어선 사회학』을 옮겼다. 지키는 연구를 하고 싶다.
펼치기
김영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박사(국제관계학 전공)
前 계명대학교 국제대학 일본학과 조교수
前 현대경제연구원 동북아연구센터 연구위원
前 미국 예일대학 국제지역연구센터(YCIAS) 파견연구원
現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교수 / 사회재난안전연구센터장
저서 『한일관계의 긴장과 화해』 (공저)
『일본, 야스쿠니』 (공저)
『한일관계사 1965-2015 경제』 (공저)
『동일본대지진과 일본의 진로』 (공저)
『일본의 재난·안전과 지방자치론』 (공역)
『검증 3.11 동일본대지진』 (공역) 외 다수
논문 『한일간 위기관리의 정치경제학』
『재해 후의 일본경제정책 변용』 외 다수
펼치기
이연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 다빈치교양대학 교수. 중앙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북경대학에서 중국 근현대철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양철학과 함께 인문학과 고전에 대한 저술과 강연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중앙대·서울대·강원대 등에서 중국철학과 동양윤리사상, 중국미학 등을 가르쳤으며, 고전 읽기의 즐거움을 대학 내외의 강의를 통해 전파하고 있다. 저서로는 《근현대 중국 이상사회론》(2018), 《강유위가 들려주는 대동 이야기》(2008), 《처음 읽는 중국현대철학》(2016, 공저), 《세계를 바꾼 철학자들》(2015, 공저), 《삐뚤빼뚤 생각해도 괜찮아》(2013, 공저), 《인문치료》(2009,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공자전(孔子傳)》(2013), 《징비록(懲毖錄)》(2009)이 있다.
펼치기
김민태 (기획)
정보 더보기
EBS 스페셜, <똘레랑스>, <시대의 초상>, <사비성, 사라진 미래도시>등을 연출했고 <시대의 초상>으로 한국PD대상을 수상했다. EBS 제작본부 프로듀서로 교육, 역사, 사회 분야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으며 <아이의 사생활>로 한국PD대상,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등을 포함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10년 동안 콘텐츠 제작을 했고 뒤이은 10년 동안 서비스 기획을 했다. EBS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육아학교와 구독형 강의 사이트 클래스e를 출시했다.
펼치기
최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치철학 전공
으로 학사/석사학위를 취득 후,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에서 ‘니체의 도덕비판: 메타비판의 시도’로 철학박사학위
(PhD)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청주 서원대학교 정치행정학과 전임교수,
대통령직속 사회통합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
서울대, 서강대, 이화여대, 국립인천대, 충주 중앙경찰학교, 중앙대, 강원대, 서원대에서 다양한 강의와 특강을 하였다. 남원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전주평생학습포럼, 전주한옥생활체험관, 서천공정여행아카데미 등에서 한국철학과 한국예술에 대해서 발표/특강을 하였다. 철학자 최순영의 관심과 활동은 비단 서양철학과 서양예술에 머물지 않고 한국예술과 동양철학에까지 이른다. 그는 예술과 철학에 대한 에세이 모음집인 tistory ‘길에서 만난 예술과 철학’을 운영하며 대학과 다양한 기관, 단체를 넘나들며 강의하고 있다.(https://wanderlust2019.tistory.com/manage)
현재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교수, 토브클래식 상임고문으로 재직하고 있고, 대안연구공동체에서 ‘세계철학사’를 강의하고 있다.
단독저서는 『니체와 도덕의 위기 그리고 기독교』(2012, 2013 문화체육관광부우수학술도서), 『기본소득(Basic Income)이란 무엇인가? -기초적 이해와 지지를 위하여-』(2023)가 있다. 공저는 『주요 국가별 다문화정책』(2012), 『정치학의 정체성』.(2013, 2014 문화체육관광부우수학술도서), 『좋은 삶의 정치사상』(2014). 『청년 아시아를 상상하다』(2016), 『현대정치의 위기와 비전』(2020)
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우상의 황혼』(2018)이 있다. 학술논문으로는 「니체 교육철학의 두 가지 해석(영미권, 독일어권)에 대한 비교연구: 민주주의 교육과의 관계를 중심으로」,(2023), 「니체의 위대한 정치와 선한 유럽인의 세계시민적 덕성」(2021), 「니체와 19세기 독일 反유대주의(Anti-Semitismus)」(2021), 「니체 교양교육 비판」(2016), 「독일 정치학의 역사적 전개과정: 대학제도 변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2009) 등 총 20편의 학술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기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군사관학교와 목포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오늘날 청년과 학교의 역사를 근대 주체와 문화의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탐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논문으로 〈1920년대 《어린이》지 독자 공동체의 형성과 변화〉, 〈발명왕 이순신과 잠수함이 된 거북선 - 민족주의 신화의 형성과 확산〉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IT융합공학과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다. 철학과 매체미학이 전공이고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몸과 이미지, 매체와 인간의 관계에 주목하는 연구를 하고 있고, Value Design, Design Thinking, ESG Problem Solving 분야로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포스텍 미래IT융합연구원 가치디자인 연구센터장, 포스텍 혁신인재4.0사업단 부단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 전문위원, 삼성멀티캠퍼스 초빙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La tension esthétique de la visibilité et de l'invisibilité dans la corporalité de Merleau-Ponty」 「The computational robotic body through reasoning of exsitiential automacity」 등 다수의 논문과 『가치를 디자인하라』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심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연구활동가. 동물, 난민, 여성, 가해자성을 키워드로 공부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화성외국인보호소방문시민모임 '마중', 번역공동체 '잇다', 국제법×위안부 세미나팀, 아카이브 평화기억 등을 통해 대학 바깥에서 새로운 앎과 삶을 모색하는 중이다.
공저로는 『수용, 격리, 박탈-세계의 내부로 추방당한 존재들 동아시아의 수용소와 난민 이야기』(서해문집, 2024), 『군대에서 말하지 않는 것들』(서해문집, 2024), 『난민 난민화되는 삶』 (갈무리, 2020), 『동아시아 혁명의 밤에 한국학의 현재를 묻다』(논형, 2020)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