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7351090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4-05-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감성은 어떻게 사회 변화의 동력이 될 수 있는가
제1부 사회 비판으로서의 감성
1장 정동의 경제, 경제의 정동
―금융화된 주체의 증오와 환멸 그리고 분노 | 서동진
불안과 안전의 변증법 | 금융화된 경제와 그 표상―정동의 경제 | 정동의 경제인가 적대의 경제인가
2장 도덕감정
―부채의식과 죄책감의 연대 | 김왕배
도덕감정은 어떻게 실현되는가 | 도덕감정을 구성하는 하위 감정들 | 도덕감정론의 계보 | 부채의식과 감사 그리고 죄책감의 순환 | 부채와 감사의 균열 그리고 향후 과제
3장 법과 감정은 어떻게 동거해왔나
―조선시대 재산 분쟁을 둘러싼 효·열의 윤리와 인정 | 김지수
역사 속에서 법과 감정은 어떻게 동거해왔나 | 공간의 젠더화―고려와 조선 여성, 상층과 하층 여성의 차이 | 재산 분쟁에서 ‘효’와 ‘열’은 어떻게 대립하고 감정화되는가 | 개인의 감정은 어떻게 공론화되는가
4장 살인사건을 둘러싼 조선의 감성 정치
―옥안獄案의 내러티브, 공감대를 위한 청원 | 강혜종
옥안과 판부에서 감정을 읽다 | 전통시대에 ‘공감’은 어떻게 표현되었나 | 조선시대 형정의 집행과 ‘부끄러움’의 통치술 | 공감의 역학―누구의 공감을 어떻게 얻을 것인가 | 감형의 전략―다투어 죽으려 하다 | 법리 적용과 공감의 내러티브―복수를 허할 것인가 | 의분―모독을 갚아주다 | 공감되지 못한 감정―‘여성의 편협한 성품’ | 공감을 위한 지식으로서의 법
5장 감정의 위계와 감정의 규율
―1920~1930년대 ‘하녀’의 노동과 감정 | 소영현
여성 하위주체의 ‘노동’과 ‘감정’ | 하녀의 위상학 | 여성 하위주체의 감정규율 | 식민지-여성 하위주체와 국가적 감정규율
제2부 문화의 감성과 공통감각
6장 춘향전을 둘러싼 조선시대 감정 유희
―감정의 복합성·순수성·이념화 | 최기숙
지식으로서의 감정, 역사화된 감정의 공감 구조 | 「남원고사」의 감성 기획과 혼종성의 서사 전략 | ‘감성적 인간’의 발견과 감정 공동체의 형성 | 감정의 복합성과 순수성 | 감정의 이념화와 도덕적 위계 | 사랑을 둘러싼 공론장의 형성 | 공감적 주체와 소설이라는 감정 공동체
7장 남녀 간 사랑의 갈구와 위계화된 감정
―「도월기」와 명청 문인들의 로컬 감성 | 후샤오전
지식 체계와 감정 서사―명청 시기 문인들의 서남지역 서술에 관한 재탐색 | 「도월기」 감성 서사는 어떻게 전승되었나 | 감정의 오락화―진정의 도월 서사
8장 묵연 속에 지은 집, 이국의 벗을 향한 그리움
―19세기 한중교유와 동아시아적 문예 공감대 | 김기완
‘회인’의 풍경 | 꿈과 그림, 서로 다른 시공간의 병치 | 초상화와 집 그림, 내면 풍경으로서의 거주 공간 | 한중 묵연 속에 집을 짓다 | 가볼 수 없는 그리운 곳을 그리기 | 국경을 넘은 그리움의 재생처로서의 ‘집’
9장 반공영화라는 감성 기획은 왜 실패했나
―반공주의의 내면 풍경 | 이하나
‘감성’으로 반공주의 다시 보기 | 반공주의 훈육의 위기와 감성 프로파간다로서의 영화 | 반공영화 논쟁의 쟁점들 | 반공영화의 딜레마 | 반공영화, 모순된 감성 기획
10장 감성은 계급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인가
― 동아시아 「꽃보다 남자들」이 보여준 감성 재현의 동화와 거리화 | 앤서니펑·최기숙
동아시아 감성의 공감대와 거리화 |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문화자본과 감성의 상호 관계 및 지역별 특성 | 계급 갈등―화해인가 저항인가 | 사회적 격차―좁아지는가 넓어지는가 | 한국과 중국 드라마에서 문화자본과 감성의 역할 | 열린 사회에서의 감성적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