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탈핵 학교

탈핵 학교

(밥상의 안전부터 에너지 대안까지 방사능 시대에 알아야 할 모든 것)

김익중, 김정욱, 김종철, 요시노 히로유키, 이헌석, 윤순진, 양기석, 이계수, 이유진, 주영수, 최무영, 한정순 (지은이)
반비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탈핵 학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탈핵 학교 (밥상의 안전부터 에너지 대안까지 방사능 시대에 알아야 할 모든 것)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8898371656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4-03-11

책 소개

시민들이 알아야 할 핵발전과 방사능의 모든 것. 핵발전과 방사능이 무엇이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부터 의학적, 공학적, 역사적, 사회적, 윤리적, 종교적 관점에서, 즉 종합적인 관점에서 핵발전을 조명하는 내용들이 담겨 있다.

목차

추천의 글_한홍구
프롤로그_김정욱

1부. 병원부터 식탁까지, 방사능과 일상의 안전

1강. 건강검진이 피폭 위험을 높인다_주영수
2강. 방사능의 공포, 먹거리는 문제없나_김익중
3강. 우리 발전소 시스템과 그 안전을 둘러싼 논란들_이헌석
4강. 그날 이후, 후쿠시마 아이들의 오늘_요시노 히로유키

2부. 핵발전의 오해와 진실들

5강. 핵에너지와 방사능의 과학적 이해_최무영
6강. 법과 인권의 이름으로 핵발전에 반대한다_이계수
7강. 핵 기술과 교회의 가르침_양기석
8강. 원폭 피해자 2세로 살아간다는 것_한정순

3부. 에너지와 우리의 미래

9강. 탈핵의 윤리와 상상력_김종철
10강. 핵발전의 역사와 그 오랜 관성을 깨는 방법_윤순진
11강. 기후변화 시대, 그린 에너지만이 해답이다_김정욱
12강. 에너지 전환, 왜 지역이 주도해야 할까_이유진

저자소개

김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진주의 남강 변에서 자라던 유년시절에 6·25 전란을 겪었다. 전쟁 이후 마산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녔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읽고, 공군사관학교의 교관으로 군복무를 했다. 제대 후 숭전대학교, 성심여자대학, 영남대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70~80년대에는 문학평론 활동을 하다가, 1991년에 격월간 《녹색평론》을 창간하여 작고 당시까지 에콜로지 사상과 운동의 확대를 위한 활동에 전념하는 한편, 2004년에는 대학의 교직을 그만두고 《녹색평론》의 편집·발간에 전념하면서,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한국 최초의 ‘녹색당’ 창립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또, 2004년 이후 10여 년간 ‘일리치 읽기 모임’이라는 이름으로 시민자주강좌를 개설·진행했다. 저서에 《시와 역사적 상상력》(1978),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1999), 《간디의 물레》(1999),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2008), 《땅의 옹호》(2008), 《발언 I, II》(2016), 《大地의 상상력》(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2019) 등이 있고, 더글러스 러미스의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2002), 리 호이나키의 《정의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2007) 등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윤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숙명여고에서 정치경제와 사회문화를 가르쳤습니다. 4년의 교사 생활 이후 미국 델라웨어대학교에서 도시행정과 공공정책 석사학위, 환경에너지정책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서울시립대 행정학과를 거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과 협동과정 환경교육 전공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환경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하였습니다.
펼치기
이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튀빙겐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전공은 행정법이지만, 로베르트 무질처럼 “특성 없는 남자”를 꿈꾼다. 칼 슈미트, 테러방지법, 군대와 인권, 탈원전과 법, 환경법의 생태주의적 전환, 주거권과 도시법, 법치 국가의 정치적 대가, ‘자본주의와 행정법’을 연구해 왔고 ‘법과 문학’에도 관심이 많다. 울산대학교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다. 민주주의법학연구회 회장을 지냈다.
펼치기
최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이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겸무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통계물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포항공과대학교, 고등과학원, 미국 워싱턴대학교와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프랑스 앙리푸앵카레대학교와 국립과학연구원(CNRS)을 비롯한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객원·초빙교수나 객원연구원으로 일하였다. 국제학술지에 26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으며 2000년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2002년 한국과학상, 2019년 암곡학술상을 받았다. 저서 『복잡한 낮은 차원계의 물리』,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명예 교수.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에서 환경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2년부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의 교수로 재직했다. 산업화 시대였던 1970~80년대에 울산, 온산 공단의 공해 문제부터 최근의 새만금 간척 사업, 4대 강 공사까지, 무분별한 개발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해온 한국의 대표적인 환경학자이다.
펼치기
주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예방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공동 대표를 역임했으며 현재 ‘핵 없는 세상을 위한 의사회(반핵의사회)’ 학술연구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녹색전환연구소장. 기후위기와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녹색연합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을 지냈다. 국무총리 그린뉴딜 특보, 서울에너지공사 이사,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으로 역할했다. 저서로 『원전 하나 줄이기』, 『전환도시』, 『태양과 바람을 경작하다』가 있다. 2021년 ‘들불상’을 받았다.
펼치기
이헌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생운동 시절부터 환경운동을 해왔으며, 청년환경센터와 에너지정의행동 대표 등을 맡았다. 화력발전소, 핵발전소, 핵폐기장, 송전탑 문제로 싸우고 있는 지역주민들과 20여 년째 연대운동을 해왔다. 영흥도 석탄화력발전소, 삼척과 영덕 핵발전소, 밀양 송전탑 반대운동 등에 참여했고, 국가에너지시민회의, 반핵국민행동, 핵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 탈핵지역대책위원회 등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간 연대체의 사무국 활동을 계속해왔다.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집행위원, 정의당 기후에너지정의특별위원회 위원장, 녹색정의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 탈핵신문 운영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그린뉴딜과 신공항으로 본 대한민국 녹색시계』(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익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생물학과 면역학을 전공한 동국의대 교수이다.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의 안전성 평가에 관심을 가지면서 반핵 운동을 시작해 후쿠시마 핵 사고 이후에는 원자력 발전 자체의 위험성을 깨닫고 탈핵 운동으로 전환했다. 핵으로부터의 탈피를 의미하는 탈핵을 위해 『한국 탈핵』(2013, 한티재) 등의 책을 저술했고, 현재까지 1,200회 이상의 탈핵 강의를 했다. 탈핵에너지교수모임, 반핵의사회 등의 설립에 참여하고 현재도 이 단체들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양기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으로 1999년에 사제로 서품됨. 2022년 현재 천주교 수원교구 생태환경위원회, 농민사목위원회의 위원장이며 주교회의 생태환경위원회 위원, 천주교창조보전연대 대표, 그리고 기후위기경기비상행동 상임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요시노 히로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방사능에서 아이들을 구하기 위한 후쿠시마 네트워크’(子どもたちを放射能から守る福島ネットワ"[ク保養班)’ 간사. 일본 후쿠시마 시에서 거주하던 중, 지진 재해와 핵발전소 사고가 일어나자 가족들을 피난시키고 혼자 후쿠시마에 남아, 피난 가지 못한 채 후쿠시마에 살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 시민 단체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다. 비영리 재해 구호 센터인 ‘샬롬(シャロ?ム)’의 스태프로도 활동했다.
펼치기
한정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원폭2세환우회 회장. 한국원폭2세환우회 회장. 히로시마 원폭 피해자의 2세로 태어나 간병사로 일하다 고통의 근원이 원폭임을 발견한 뒤, 한국원폭2세환우회의 일에 뛰어들었다. 원폭 2세 피해자임을 처음 세상에 알린 고(故) 김형률과, 역시 원폭 2세인 정숙희의 뒤를 이어 2008년부터 환우회의 3대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다른 원폭 2세들의 발굴과 구호 활동을 하는 한편 ‘원폭 피해자 및 자녀를 위한 특별법’ 제정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자신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잔인한 내림-遺傳」(김환태 작품)을 통해 대물림되는 원폭의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보고서는 방사선의 건강 효과와 관련된, 현존하는 최종의 보고서입니다. 이 분야의 거의 모든 전문가들이 낸 결론이고, 현재로서는 이보다 새로운 결론은 없습니다. 방사선량이 어느 정도 누적된 이후(역치를 경과한 이후)에 암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노출되는 방사선이 있다면 어떤 선량으로도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 즉 노출되는 방사선량이 0일 때만 암 발생 확률도 0이라는 것이 최종 결론입니다. 방사선량과 암 발생 확률은 직선적으로 비례하는 관계를 가지며 방사선 종류에 따라 기울기에만 차이가 있다는 데에 어떤 이견도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고서의 결론은 ‘핵발전소 주변 지역에 사는 여성들에게는 발전소와 관련이 없는 지역에 사는 여성들에서보다 갑상선암이 2.5배 많이 발생한다’고 명확히 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공식적인 발표에서는 이런 이야기가 전혀 없었습니다.


지금 우리나라 땅은 측정 한도치 이하로, 즉 측정을 해도 나오지 않을 정도로만 오염되어 있어요. 그건 전 세계가 마찬가지예요. 전 세계의 땅이 세슘으로 오염되어 있어요. 물론 0.001Bq/kg가량의 아주 미량이기는 하지요. 그런데 표고버섯은 이것을 엄청나게 많이 농축시킵니다. 우리나라 표고버섯에서는 방사성 세슘이 2~3Bq/kg 정도로 나와요.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은 것이 극히 드물었어요. 표고버섯은 확실하게 위험합니다. 먹으면 안 돼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83717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