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동거할까요

우리 동거할까요

박금자, 박서원, 심영섭, 조철제, 함인희, 김상준, 정숙경, 최원일, 양정자, 이윤수, 명순구, 권희정, 김성환, 김정수, 안종훈, 이상무, 이재희, 임선영, 장기홍, 장민영, 전필례, 최스테파노, 최이부자 (지은이)
코드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동거할까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동거할까요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가정문제
· ISBN : 9788995297902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02-05-14

책 소개

아직 금기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한 '동거'를 이 책은 여러 갈래로 접근해 들어가고 있다. 동거 커플의 이미지가 영화에서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 이혼한 커플의 동거와 황혼에 꿈꾸어보는 동거는 어떤 모습일지, 동거 커플들은 단순한 일탈자인지 모험가인지...

목차

1.내가 알고 있는 동거
영화 속 동거 이야기 : 영화평론가 심영섭
동거계약서를 씁시다 : 한국성폭력위기센터 대표 박금자
이혼한 사람들은 동거를 생각한다 : 재혼전문 '행복출발' 대표 최원일
황혼의 마지막 동거 : 노년학 박사 임선영
개방적인 러시아의 동거 : 이상무 외
@ 재미있는 동거 이야기 : 세계 유명인의 자연스러운 동거

2.원시시대에서 디지털 시대까지 동거의 모습
역사상 진정한 일부일처제는 단 한번도 있지 않았다 : 권희정 인류학 전공
국내 동거 현황의 이모저모 : 여성신문 최이부자 기자
동거동락(同居同樂) 인터넷 사이트 붐: 비다노블레 장기홍 대표
유럽의 동거 풍속도 : 성공을 만드는 사람들 조철제 박사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의 동거 모습 : 한국여성개발원 정숙경 연구원
@ 재미있는 동거 이야기 : 가지가지 동거

3. 동거가 문제라고? 진짜 문제는 결혼이다
동거하는 사람들은 부도덕하다? : 김상준 정신과 의사
잘못된 결혼 문화 : 여성 운동가 전필례
건강한 동거와 SEX : 한국성과학연구소 소장 이윤수
@ 재미있는 동거 이야기 : 이런 사람과 동거하라

4. 동거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사항들(동거본색 同居本色) : 코드 편집부
숨길 수 없는 일상 행동들 / 말 속에는 뜻이 있다 /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다 등
@ 재미있는 동거 이야기 : 타고르의 우화

5. 한국 vs 프랑스, 법으로 본 동거
국내법에서 말하는 혼인, 사실혼, 동거 :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 양정자 원장
프랑스법에서의 공동생활약정(PACS) : 고려대 법학과 명순구 교수
@ 재미있는 동거 이야기 : 동거 계약서

6. 우리는 동거로 가고 있다 : 이대 사회학과 함인희 교수
왜 동거 커플이 증가하고 있는가? / 동거, 결혼의 대안인가? 등

내일을 여는 빨간 저 장미(시) : 박서원

저자소개

박금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의대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개업의로서뿐만 아니라 동아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스포츠조선, 가정의 벗, 건강의 벗, 엠디 등 여러 일간지와 잡지 그리고 KBS, MBC, G-TV 등 각 방송 매체의 상담의로서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1995년 한국성폭력상담소 대표이사 취임 이래 성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 교육과 정책 연구 및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이밖에도 연세의대 한림의대 외래 교수, 교육위원, 대한산부인과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으며, 1999년 제22회 '의약사평론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펼치기
박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서울 출생. 1989년 《문학정신》에 「학대증」 외 7편으로 등단. 1990년 제1시집 『아무도 없어요』(열음사) 출간. 1995년 제2시집 『난간 위의 고양이』(세계사) 출간. 1995년 시집 『난간 위의 고양이』로 《한국일보》 주관 올해의 우수시인 선정. 1997년 제3시집 『이 완벽한 세계』(세계사) 출간. 1998년 제1산문집 『천 년의 겨울을 건너온 여자』(동아일보사) 출간. 1998년 제4시집 『내 기억 속의 빈 마음으로 사랑하는 당신』(세계사) 출간. 1999년 문화관광부 주관 ‘오늘의 예술가상’ 수상. 2001년 제2산문집 『백 년의 시간 속에 갇힌 여자』(중앙M&B) 출간. 2002년 제5시집 『모두 깨어 있는 밤』(세계사) 출간. 2012년 5월 10일 타계. 경기도 양동면 소재 한 수목원에서 수목장으로 장례가 치러짐.
펼치기
심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 평론가이자 심리학자, 상담가. 심영섭 아트테라피 대표. ‘심영섭’이라는 이름은 영화 평론상 수상 당시 그녀가 스스로 지은 것으로서 ‘심리학과 영화를 두루 섭렵했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최근까지 대학에서 상담심리학을 가르쳤으며, 심리학, 영화, 예술, 인문학을 접목한 예술 치료와 기업 강의, 저술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1966년 서울 생. 서강대학교 생명공학과를 거쳐 고려대학교에서 심리학 석·박사 과정을 졸업한 뒤, 백병원 신경정신과 등에서 공부했다. 영화광 부모님을 둔 덕에 운명적으로 생후 1개월 때부터 지금껏 대략 만 편 정도의 영화를 보았다. 1998년 <씨네21> 평론상을 수상한 이래, 김기덕 박찬욱 홍상수 등 다양한 감독들에 관한 논란이 담긴 영화 평론문을 발표해왔다. 왕성한 호기심을 기반으로 인간이든 영화든 포장을 뜯고 속을 보는 것에 능한 그녀의 통찰력은 특히 심리학을 위시한 인문학과 영화 사이에 징검다리를 놓는 데 일조하고 있다. 2003년 국내에 처음으로 힐링 시네마 개념과 영화 치료, 사진 치료를 소개하여 <영화 치료의 이론과 실제>란 책을 펴냈으며, 영화 치료, 사진 치료 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그녀의 영화 치료와 사진 치료 기법은 청소년, 성매매 여성, 가족, 부부 치료 등 다양한 상담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삼성, 현대자동차, 포스코 같은 국내 굴지의 기업에서 영화를 활용한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창의성, 혁신 분야의 비전 시네마 강의도 진행하고 있다. 펴낸 책으로는 평론집 <영화 내 영혼의 순례> <심영섭의 시네마 싸이콜로지> <대한민국에서 여성 평론가로 산다는 것>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시네마 테라피> <사진 치료 기법> <열정의 시선> 등이 있다. 심영섭 아트테라피 www.healingcinema.co.kr
펼치기
조철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위스 제네바대학과 벨기에 루벵대학에서 정치학 및 국제관계학을 전공하여 국제정치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벨기에 세계경제전략연구소 사무총장과 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양대 디지털경제학부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럽전문 컨설팅펌인 (주)유로코리아링크와 (주)성공을만드는사람들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지은 책으로 <유러 EU 단일통화>, , <우리 동거할까요>, <한-EU 통상관계의 정치적 반향> 등이 있다.
펼치기
함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에머리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가족 사회학자로, 혹실드의 세계에 흠뻑 매료되어 “감성 사회학 이론에 대한 탐색적 연구”(2003)와 “일상의 해부를 위한 혹실드의 개념 도구 탐색”(2015)을 발표했다. 현재 신세대의 성·사랑·결혼을 주제로 집필 중이며, 한국 사회의 맥락에 혹실드의 이론과 개념 틀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단독 저서로는 ≪사랑을 읽는다≫(1998), ≪인간행위와 사회구조≫(2018)가 있고, 공저로는 ≪오늘의 사회학 이론가≫(2015), ≪문화로 읽는 페미니즘≫(2020),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2023, 개정판)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가족난민≫(2019)이 있다.
펼치기
함인희의 다른 책 >
김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김상준 신경정신과의원 원장. 우리나라 최초로 영화를 정신과적인 시각으로 해석해 영화 읽기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저자는 영화 심리분석 전문가로 꼽힌다. MBC FM과 SBS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서 영화 길라잡이로, KBS TV ‘파워 인터뷰’, EBS TV ‘삼색토크 여자’, ‘책과 함께하는 세상’에 고정패널로 출현했다. 2012년 8월부터 유튜브(www.youtube.com/user/motiluck)에서 〈세상을 절대 못 바꾸는 15분〉이란 정신 치유 강의를 시작해 현재 많은 구독자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 강의를 통해 우리의 마음을 위로하고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 수많은 사람이 실생활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 저자가 그리스 신화와 심리학을 결합해 저술한 《심리학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는 심리학 분야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대형학원 등에서 논술 및 독서토론 교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독서모임의 인기도서로 꼽힌다. 이 밖에 《영화와 신화로 읽는 심리학》《당신의 마음을 진단해드립니다》 등의 저서가 있다. 《당신의 마음을 진단해드립니다》는 태국에 수출되어 인기리에 판매중이다.
펼치기
정숙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탈근대 소비문화의 근대성 연구'로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여성개발원 책임 연구원이며 고려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지은책에 <여성정보화의 발전전략>, <성, 사랑, 결혼>(공저)가 있으며, 옮긴책으로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 <문화와 가치>, <마르크스와 칸트의 가치개념> 등이 있다.
펼치기
최원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재혼전문회사 (주)행복출발 대표이다. 지은책에 <멋진 재혼> 등이 있다.
펼치기
양정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 원장. 국민훈장 석류장을 수상했으며, 11만 건의 가정문제를 상담했다.
펼치기
이윤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성과학연구소장 및 청박비뇨기과 병원장으로 있다. 지은책에 <오늘도 나는 완전한 성을 꿈꾼다>가 있다.
펼치기
명순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법학사, 법학석사 파리 제1대학교(Université de Paris I, Panthéon-Sorbonne) 법학박사 프랑스 교수자격(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 프랑스 교육문화훈장 팔므아카데믹(Palmes Académiques) 기사장(Chevalier) 수훈 민법 등 법률개정위원회 위원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중국 위해시(威海市) 중재위원, 중앙아시아 중재법원(CACIA) 중재위원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교무처장, 법과대학장, 법학전문대학원장 [주요 저역서] •La rupture du contrat pour inexécution fautive en droit coréen et français, Paris, L.G.D.J., 1996. •Le contrat au début du XXIe Siècle, Études Offertes à Jacques Ghestin, Paris, L.G.D.J., 2001. •민법학기초원리, 세창출판사, 2002. •프랑스민법전, 법문사, 2004. •미국계약법입문, 법문사, 2004. •현대미국신탁법, 법문사, 2005. •민법총칙, 법문사, 2005. •법경제학, 세창출판사, 2006. •법률가의 회계학, 법문사, 2006. •아듀, 물권행위,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세계화지향의 사법: 그 배경과 한국․프랑스의 적응, 세창출판사, 2006. •실록 대한민국민법 1, 법문사, 2008. •러시아법입문, 세창출판사, 2009. •실록 대한민국민법 2, 법문사, 2010. •실록 대한민국민법 3, 법문사, 2010. •역사와 해설 국민건강보험법, 법문사, 2011. •미술품의 거래법과 세금, 고려대학교출판부, 2012. •전세제도에 관한 새로운 시각, 고려대학교출판부, 2015. •민법학원론, 박영사, 2015. •민법총론(보성전문교과서번역사업1),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물권법 제1부(보성전문교과서번역사업2),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1919년 보성전문, 시대․사회․문화, 세창출판사, 2020. •물권법 제2부(보성전문교과서번역사업5),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이슬람법입문, 경인문화사, 2021. •물, 법과 관리의 원리,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중동의 대학교육과 고등교육 협력방안, 세창출판사, 2023. •채권법 제1부(보성전문교과서번역사업7),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채권법 제2부(보성전문교과서번역사업8),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채권법 제3부(보성전문교과서번역사업9),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5. E-mail: skmyoung@korea.ac.kr Home Page: www.mindle.net
펼치기
권희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류학자다. 오랫동안 가족과 젠더, 이혼이란 주제에 관심이 많았다.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에서 사무국장으로 활동했다. 미혼 임신과 출산을 둘러싼 제도와 담론, 그리고 미혼모 당사자의 행위성을 분석한 박사 학위 논문을 다듬어 2019년 《미혼모의 탄생: 추방된 어머니들의 역사》로 출간했다. 현재 일반인 대상으로 구술 채록에 관해 교육하고 있으며, 출판사 안토니아스와 ‘미혼모 아카이빙과 권익옹호 연구소’를 운영중이다. 저출생 대책만큼 중요한 것이 태어난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놓는 일이다. 그동안 국가와 사회가 태어난 아이들을 어떻게 대해 왔는지 돌아보고, 태어날 아이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길 바라며 《이것은 사라진 아이들에 대한 기록이다》를 썼다.
펼치기
김성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문 '연세춘추' 편집국장. 2002년 현재 연세대 독어독문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펼치기
김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 예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했다.
펼치기
안종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영어교육전문기업에서 홍보 및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펼치기
이상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무역회사 러시아 주재원으로 근무하다, 현재는 개인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이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영화 <블랙잭>, <가위> 등의 연출부에서 일했다. 현재 <천년호> 조감독이다.
펼치기
임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스윗케어닷컴 선임연구원으로 있다. 성신여대에서 가족문화소비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장기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했다. 인터넷 동거사이트 비다노블레 전략기획팀장으로 근무 중이다.
펼치기
장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리랜서 작가로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
펼치기
전필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성학을 전공했으며, 성희롱 성폭력 예방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최스테파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 동거할까요>
펼치기
최이부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성신문 기자를 거쳐, 현재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관으로 근무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