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7430025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6-06-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_디아스포라 시대의 삶, 사유, 상상력
제1부 디아스포라 개념의 이론적 잠재력
1 / 화이트 디아스포라 vs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 디아스포라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임경규
디아스포라와 유럽중심주의 |제국주의 디아스포라 |파케하의 우울증 : <피아노>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 <전사의 후예> | 초국가주의와 화이트 디아스포라
2/ 이주 여성들의 공간 이야기 - 정현주
여성과 공간 |이주와 공간 |이주 여성의 스케일의 정치 |관계적 장소 개념 : 연대와 권력의 결절지로서 장소|경계짓기 또는 허물기 : 억압의 도구이자 저항의 수단|이동성의 불균등 | 이주 여성 연구의 분석틀에 공간을 입히다|‘권력의 젠더지리’와 스케일의 재구성|‘탈구 위치’와 그 너머|이주의 시대, 공간의 정치
3/ 디아스포라적 정체성과 차이의 정치 : 재일코리안의 국적?언어?이름을 통한 접근 - 이상봉 박수경
왜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인가? |국가적 정체성과 동질성의 표상 |디아스포라적 실천과 정체성의 재구성 |차별의 근거에서 차이의 인정으로
4/ 트랜스내셔널 지성사 다시 쓰기 : 일제시대 ‘한국적 니체’의 생애 연구, 1920~1945 - 육영수
“나는 인간이 아니라 다이너마이트이다” : 니체와 ‘세기말’ 동아시아|“모든 좋은 것은 전에는 나쁜 것들이었다” : 1920년대 조선의 사상혁명과 니체|“新-人生標의 樹立者, 푸리드리취, 니체 先生을 소개함” |1930년대 조선 좌?·우파 지식인들의 니체 전유하기 |“우리 모두는 역사 때문에 타락했다” 일본 식민시대의 반시대적 고찰|1930년대 조선 지식인들의 ‘우파적’ 니체 독해|“중심은 어디에나 있다” : 탈식민주의·트랜스내셔널·니체 다시 읽기
제2부 디아스포라의 삶과 장소.
1/ 만주국의 조선인 : 디아스포라와 식민 사이 - 이동진
‘만주 문제’에서 ‘조선인 문제’로 |‘만주 문제’와 만주국 |‘조선인 문제’와 만주국 |만주국과 조선인 |조선인에서 조선족으로
2/ 식민지 ‘문화 전시’의 장으로서 《관광조선》: 관광잡지 《관광조선》의 탄생 - 서기재
1930년대 말 일본의 관광업계와 ‘재조일본인’|여성을 앞세운 《관광조선》의 전략 |‘경성인’의 공간으로서 경성 |새로운 식민지 문화, 문화인
3/ 냉전적 이산과 탈냉전적 공존의 전망 : 교토 京都 재일코리안의 구술을 중심으로 - 김귀옥
냉전과 탈냉전을 가로지르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일코리안 연구 동향과 시기별 범주화 |교토 재일코리안의 전반적 상황|교토 재일코리안 이산 조사 결과|구술을 통해서 본 교토 재일코리안의 이산의 기억과 특성|냉전과 탈냉전의 중첩 속의 초국적 이산|자유로운 한반도와 디아스포라를 꿈꾸며
4/ 구룡포 디아스포라 경관의 혼종적 독해와 유산산업 - 홍금수
과거 해석의 상호텍스트성과 구성 담론|세토나이카이 디아스포라와 초국적 어촌경관의 형성|구룡포 탈식민 경관의 한계|신사 터 혼성경관에 투영된 이념·유산산업·기억의 경합과 타협
제3부 재현되는 디아스포라, 재현하는 디아스포라
1/ 횡단의 연극, 공연의 정치학 : 한국계 미국드라마의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 최성희
두 개의 일화|디아스포라와 퍼포먼스 : ‘경계threshold’의 정체성|코리아 디아스포라 : 성노Sung Rno의 작품에 나타난 이산적 상상력|<비오는 클리브랜드Cleveland Raining> : 빈집, 그리고 유령|<웨이브wAve> : 입장과 파장 사이|마지막 에피소드
2/ 디아스포라 서사 연구 : 이회성의 《유역으로》로 읽는 이산의 삶 - 신인섭
왜 디아스포라 서사인가|1989년의 시간 여행 - ‘재일’과 디아스포라 사이|종횡하는 디아스포라 서사|디아스포라 윤리|디아스포라 고백 서사의 교환|‘유역어’로서의 루비 달기
3/ 1960-70년대 뉴욕의 한국 작가 : 이주, 망명, 디아스포라의 미술 - 양은희
파리에서 뉴욕으로 : 미술의 중심지를 향하여|냉전 시대의 한국 작가와 뉴욕 이주|1960년대 뉴욕의 한국 작가와 추상미술|추상 : 이주, 망명, 디아스포라의 미술|낭만적 모더니즘의 유산과 초국가적 태도|이산의 공간에서 코스모폴리탄 공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