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계간 미스터리 2023.가을호

계간 미스터리 2023.가을호

(79호)

고나무, 한이, 무경, 김세화, 여실지, 김창현, 홍정기, 박소해, 백휴, 김소망, 쥬한량, 황세연, 계간 미스터리 편집부 (지은이)
나비클럽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계간 미스터리 2023.가을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계간 미스터리 2023.가을호 (79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 잡지 > 계간 미스터리
· ISBN : 979119102981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이번 호를 관통하는 주제는 장르의 원형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단편’이다. 미스터리란 장르가 어떻게 시초부터 단편소설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리고 그 단편이라는 형식이 어떻게 잡지와 긴밀한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지, 팩트스토리의 고나무 대표가 특집 ‘미스터리 장르와 단편소설 그리고 잡지’에서 짚어보았다.

목차

2023 가을호를 펴내며

[특집]
① 왜 사람들은 범죄 실화를 보고 읽는가_고나무(팩트스토리)
② 미스터리 장르와 단편소설 그리고 잡지_한이

[신인상]
무경, 《치지미포(雉之未捕), 꿩을 잡지 못하고》
심사평
수상자 인터뷰

[단편소설]
김세화, 《알리바바와 사라진 인형》
여실지, 《꽃은 알고 있다》
김창현, 《멸망 직전》
홍정기, 《팔각관의 비밀》
박소해, 《해녀의 아들》

[장편소설]
백휴, 《탐정 박문수_성균관 살인사건 ②》

[인터뷰]
“새롭고 매력적인 이야기를 찾는다면 ‘여성 서사’에 답이 있다”
: 영화《그녀의 취미생활》하명미 감독_김소망

[미스터리 영화 리뷰]
본격 미스터리를 좋아한다면 놓치지 말아야 할 일본 드라마
《열쇠가 잠긴 방》_쥬한량

[신간 리뷰]
《계간 미스터리》편집위원들의 한줄평

[트릭의 재구성]
추리소설가의 딸 납치사건_황세연

2023 여름호 독자 리뷰

저자소개

백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추리소설가이자 추리문학 평론가. 서강대 철학과와 연세대 철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낙원의 저쪽》으로 ‘한국추리문학상’ 신예상, 《사이버 킹》으로 ‘한국추리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추리소설 평론서 《김성종 읽기》와 〈추리소설은 무엇이었나〉, 〈핍진성 최인훈 브라운 신부〉, 〈레이먼드 챈들러, 검은 미니멀리스트〉 등 다수의 추리문학 비평을 발표했다. 2020년 철학 에세이 《가마우지 도서관 옆 카페 의자》를 펴냈다.
펼치기
황세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포츠서울 신춘문예에 당선하며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소설 몇 권을 출간한 뒤 출판사에 취직해 편집자로 일하다가 회사 합병으로 잘린 뒤 다시 열심히 소설을 쓰고 있다. ‘교보문고 스토리 공모전’ 대상, ‘한국추리문학상’ 신예상과 대상, 황금펜상을 수상했다. 장편 추리소설 《내가 죽인 남자가 돌아왔다》, 《삼각파도 속으로》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황세연의 다른 책 >
고나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기 · 논픽션 작가다.《한겨레》기자로 오랫동안 일했으며, 현재는 전기 등의 논픽션과 실화 기반의 웹소설, 웹툰, 시나리오 등을 기획 · 개발하는 팩트스토리의 대표이사다. 지은 책으로는 르포 《아직 살아 있는 자 전두환》과 김종필 전 총리에 대해 쓴 《휴먼 스케일》(공저), ‘브루마스터’를 다룬 《인생, 이 맛이다》 등이 있다. 카카오 스토리펀딩에《지존파 납치 생존자의 증언》을 연재했다.
펼치기
김창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추리소설을 좋아해서 추리소설을 쓰기 시작한 추리소설 덕후. 2021년 《계간 미스터리》 여름호에《주리》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2016년 《괴물의 그림자》, 《젠가 게임》을 전자책으로 출간했고 네이버 오디오클립에서 '추리소설 읽는 남자'를 기획하고 진행한다. 좋은 추리소설을 쓰고 싶어 매일 단련 중이다.
펼치기
한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추리작가협회 회장이자 《계간 미스터리》 편집장. 2001년 장편 소설 《아스가르드》로 데뷔했으며, 최근 《한국추리문학상 황금펜상 수상작품집: 2007-2020 특별판》에《귀양다리》를, 《괴이한 미스터리: 범죄 편》에《풀 스로틀》을 수록했다. 이밖에도 장편 소설 《조선 하드보일드-나는 백동수다》, 《소년 명탐정 정약용》, 《추리천재 추리희》, 《트레저 가디언즈》와 단편 소설《공모》, 《체류》, 《피 가 땅에서부터 호소하리니》,《싱크홀》, 《유실물》, 《야수들의 땅》, 《탐정소설가의 사랑》, 《화성성역살인사건》등이 있다.
펼치기
한이의 다른 책 >
김세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편 추리소설 〈붉은 벽〉으로 《계간 미스터리》 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기억의 저편》으로 한국추리문학상 신예상을, 〈그날, 무대 위에서〉로 한국추리문학상 황금펜상을 수상했다. 그 외 장편 《묵찌빠》와 <백만 년의 고독>,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등 여러 단편을 발표했다. 대구MBC에서 30여 년 동안 기자로 활동했으며, 현재 고전 읽기와 대구의 근대 연구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홍정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이버 블로그에서 '엽기부족'이란 닉네임으로 장르 소설을 리뷰하고 있는 리뷰어이자 소설가. 추리와 SF, 공포 장르를 선호하며 장르 소설이 줄 수 있는 재미를 쫓는 장르소설 탐독가. 2020년 《계간 미스터리》 봄, 여름호에서 〈백색살의〉로 신인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하였고, 대표작으로는 《전래 미스터리》, 《호러 미스터리 컬렉션》, 《살의의 형태》, 《초소년》 등이 있다. 그 밖에도 <혼숨>, <명탐정6>, <요괴도시>, <#기묘한 살인사건>, <학교괴담 도서관의 유령> 등 다수의 엔솔러지에 참여했다.
펼치기
무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살고 있다. 좋은 이야기는 세상을 좋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야기 한 줄에 무한한 가능성이 담겨 있다고 믿는다. 《1929년 은일당 사건 기록》 시리즈를 썼으며, 올해 초 연작 단편집 《마담 흑조는 곤란한 이야기를 청한다》를 펴냈다. 2024년 단편 <낭패불감(狼狽不堪),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로 제18회 한국추리문학상 황금펜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박소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야기 세계 여행자이자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몽상가. 선과 악을 넘어 인간 본성을 깊숙이 다루는 소설을 쓰고자 한다. 2023년 《해녀의 아들》로 한국추리문학상 제17회 황금펜상을 수상했다. 《한국추리문학상 황금펜상 수상작품집 : 2023 제17회》에 《해녀의 아들》, 앤솔러지 《고통과 환희의 서》에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앤솔러지 《인덱스 판타지: 에고 웨폰》에 《문신사》, 산후우울증 앤솔러지 《네메시스》에 《네메시스》를 실었다. 제주 호러 앤솔러지 《고딕×호러×제주》를 기획하고 《구름 위에서 내려온 것》을 게재했다. 《세계추리소설 필독서 50》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여실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22년 《계간 미스터리》 여름호에 「호모 겔리두스」 로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SF, 미스터리, 스릴러, 호러 장르를 넘나들며 허구적 재미와 사회적 의미를 추구한다. 단편 「꽃은 알고 있다」로 2023년 한국추리문학상 황금펜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그 외 발표한 작품으로는 「로드킬」, 「40일」, 「Plan B」, 「핏줄」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거부터 지금까지 실제 범죄 사건과 범죄자는 드라마·영화 작가, 웹소설과 단행본 소설 작가, 웹툰 만화 작가들이 영감과 모티프를 얻는 소재였다. 요즘에는 대중이 드라마·영화와 소설은 물론 팟캐스트, 유튜브, 예능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점점 더 많이 범죄 실화 콘텐츠를 보고 읽는다.
대중은 왜 범죄 실화를 읽고 보는가?
_특집 ‘왜 사람들은 범죄 실화를 보고 읽는가’ 중


“하지만 그날은 달랐습니다. 지리산 자락을 수색하는 그때까지도 나는 영혼 하나를 수거하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었지요. 그날 밤까지는 비어 있는 한 자리를 채워야 했는데, 내가 노리던 영혼은 도무지 넘어올 생각을 하지 않았거든요. 그렇지, 그때가 1951년이었지요.”
_무경, <치지미포(雉之未捕), 꿩을 잡지 못하고> 중


“물건을 둘리 인형 속에 넣어 어린이집에 기증했지. 그런데 그게 없어진 거지.”
“아기 공룡 둘리? 없어졌다면 찾아야 할 거 아니야?”
“내 뒤 덩치들을 봐. 둘리 인형 찾는다고 설치면 저녁 뉴스에 나오지.”
“그래서?”
“함께 찾자는 거지. 우리는 뒤에서, 너희는 앞에서 말이지.”
_김세화, <알리바바와 사라진 인형>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1029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