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개념의 번역과 창조

개념의 번역과 창조

(개념사로 본 동아시아 근대)

박노자, 이혜경, 양일모, 허수, 이경구, 박명규, 이행훈, 쑨장, 요아힘 쿨츠, 류네 스바르베루드, 임경화 (지은이)
돌베개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개념의 번역과 창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개념의 번역과 창조 (개념사로 본 동아시아 근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71994757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2-03-19

책 소개

박노자·양일모·이혜경 등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아시아 연구자들. 필자들은 최근 한국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개념사’ 연구 방법을 통해, 당시 근대 동아시아가 경험했던 문명 전환의 자산을 재조명했다. 여기서 개념사란 “역사 행위자들이 개념을 사용하면서 표현하고자 했던 여러 의미의 성층을 파헤쳐, 그들의 경험과 기대, 세계관과 가치관, 사고방식이나 심성 등을 읽어내는” 역사의미론의 한 분야이다.

목차

서론

제1부: 한국 편-담론적 맥락에서 살펴본 개념
중화와 ‘문명’ 개념의 내면화와 동일시-이경구
근대 한국의 인종 및 인종주의 담론: 1890~1910년대-박노자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허수
근대 한국의 ‘사회’ 개념 수용과 문명론적 함의-박명규
한국 근대 ‘철학’ 개념의 역사의미론 연구-이행훈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임경화

제2부: 중국 편-개념이 지닌 사회적 의미

근대 중국의 서양 학문 수용과 번역-양일모
유학과 문명, ‘倫理’를 둘러싸고 주도권을 다투다-이혜경
‘종교’Religion의 재구성: 1893년 시카고 세계종교회의에서의 ‘중국 종교’-쑨장
칸트의 ‘물자체’에 대한 중국어 번역-요아힘 쿨츠
청대 후기 중국에서의 주권 개념의 도입과 변화-류네 스바르베루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노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련의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자랐고,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코노프’다. 2001년 귀화하여 한국인이 되었다. 레닌그라드대 극동사학과에서 조선사를 전공했고, 모스크바대에서 고대 가야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대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들을 묶은 《당신들의 대한민국》으로 주목받았으며, 《당신이 몰랐던 K》 《미아로 산다는 것》 《주식회사 대한민국》 《비굴의 시대》 《전환의 시대》 등은 이 연장선상의 저작이다. 《조선 사회주의자 열전》 《거꾸로 보는 고대사》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우승열패의 신화》 등을 통해 역사 연구자로서의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이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중국 근대 세계관의 동요와 그에 따른 윤리 의식의 동요에 관한 논문으로 일본 교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윤리의 전환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천하관과 근대화론: 양계초를 중심으로』(2002), 『량치차오: 문명과 유학에 얽힌 애증의 서사』(2007), 『맹자, 진정한 보수주의자의 길』(2008), 『근대 한국 지식인의 여정: 보편원리와 새로운 윤리의 요청』(2024) 등을 펴냈으며, 옮긴 책으로는 『역사 속에 살아 있는 중국 사상』(2003), 『송명유학사상사』(공역, 2005), 『맹자사설』(2011), 『신민설』(2014), 『철학과 국가: 제국대 교수의 근대일본 만들기』(공역,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공저로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일본 학문의 근대적 전환』, 공역으로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3』이 있고, 논문으로 「한국적 철학사상을 찾아서 -한국의 1세대 철학 교수 박종홍」, 「유교적 윤리 개념의 근대적 의미 전환」, 「한학에서 철학으로 -20세기 전환기 일본의 유교연구」, 「20세기 전후 한국의 언론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의 다른 책 >
이경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조선후기 안동 김문金門의 성장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후기의 의 정치, 사상, 지식인에 대해 공부하고, 학술서와 교양서를 가로지르며 글을 썼다. 현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는 《조선후기 안동김문 연구》,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 《조선 후기 사상사의 미래를 위하여》, 《정조와 18세기》(공저), 《조선, 철학의 왕국 – 호락논쟁 이야기》 등이다.
펼치기
박명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사회사학회장, 사회발전연구소장 등을 역임했고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사회사, 남북관계론, 문화사회학, 종교사회학 등을 가르치고 있으며 『국민, 인민, 시민-개념사로 본 한국의 정치주체』, 『식민권력과 통계』(공저), 『연성복합통일론』(공저) 을 비롯해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행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최한기의 운화론적 세계관과 근대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후기 실학, 근대전환기 지식체계의 변동, 한국 근대 철학의 형성 과정 등이다. 저서로는 <한국의 근현대, 개념으로 읽다>(공저), <개념의 번역과 창조>(공저), <동서양 역사 속의 소통과 화해>(공저), <한국철학사>(공저), <한국실학사상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행훈의 다른 책 >
쑨장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생으로, 난징대학南京大學을 졸업하고 도쿄대학東京大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난징대학 정부관리학원政府管理學院과 역사학원歷史學院 교수로 재직 중이고, 난징대학 학형연구원學衡硏究院 원장과 장강학자長江學者 석좌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에서 출판된 『重審中國的“近代”-在思想與社會之間』(2018), 『鏡像中的歷史』(2018), 『十字架與龍』(1990), 타이완에서 출판된 『作爲他者的宗敎-近代中國的政治與宗敎』(2016), 그리고 일본에서 출판된 『中國の「近代」を問う-歷史.記憶.アイデンティティ』(2014), 『近代中國の宗敎, 結社と權力』(2012),『近代中國の革命と秘密結社-中國革命の社會史的硏究(1895­ 1955)』(2007)등이 있다.
펼치기
요아힘 쿨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함부르크·베를린·괴팅겐 대학과 중국 베이징·상하이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현재 하이델베르크 대학 칼 야스퍼스 센터에서 지성사 분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일본과 유럽 간의 문화와 지성의 교환이며 특히 논리학, 정치이론, 수사학, 번역학, 역사적 의미론, 서적사적 관점이다. 저서로는 『중국 논리의 발견』, 『아시아에서 자기 주장 담론: 중국-일본-한국』, 『새로운 관념에 대한 새로운 개념: 후기 중국 제국에서 서구 지식과 사전적 변화』 등이 있다.
펼치기
류네 스바르베루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오슬로 대학 문화연구·동양어학과 중국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사상사 중에서 선진과 한대의 초기 중국 철학과 아편전쟁 이후 후기 청대다. 저서로는 『iChina: 근대 중국 사회 내 개인의 등장』, 『중국제국 후기 국제질서로서의 국제법: 번역, 수용, 담론, 1847~1911』 등이 있다.
펼치기
임경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2년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문화연구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마이너리티 연구, 코리안 디아스포라 비교연구, 접경 연구 등을 주제로 『두 번째 전후-1960~1970년대 아시아와 마주친 일본』(공저, 2017), 『냉전 아시아와 오키나와라는 물음』(공저, 2022), 「쓰시마(対馬) 현대사 속의 재일조선인」(2020) 등을 집필했다. 역서에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2019),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2022),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2024) 등이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17세기 중반과 20세기 초반 지식인들의 사유 특징을 통해 (……) 주자학의 가르침대로 사회를 재건하려 했던 17세기와 서양 기독교 문명을 내면화하며 사회를 개혁하려 한 이들의 사유방식이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다. 19세기 후반 이래 한국인들이 서양 문물을 수용하기 시작하면서 그들은 점차 기독교를 서양 문명의 정수로 확인했고, 몇몇 엘리트들은 기독교 국가 건설을 구상했다. 그 같은 현상은 확실히 일본, 중국과는 달랐다. (……) 한국의 지식인들은 문명이란 단순히 물질 차원이 아니라 가치 판단의 근거인 정신적·도덕적 실체라는 점을 역사적 유산으로 물려받아서가 아니었을까. ―「중화의 ‘문명’ 개념의 내면화와 동일시」, 36쪽.


19세기 초반에 이르러 인종 개념은 (……) 조선에서도 새로운 진화론적 세계관의 중요한 한 부분이 되었다. 조선인들은 당시에 인정되던 인종적 차이와 위계라는 것에 대해 또렷이 의식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을 (……) ‘백인’들의 수준으로까지 ‘문명화’할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을 지닌, 진화론적으로 유력한 ‘황인종’ 그룹의 구성원으로서 위치 짓고자 했다. ‘백인종’과 ‘황인종’ 간의 진화의 수준에 있어서의 차이는?아주 없는 것이 아니라면?상대적으로 매우 근소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일본의 ‘메이지 유신의 기적’은 이러한 점을 증명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근대 한국의 인종 및 인종주의 담론: 1890∼1910년대」, 64쪽.


1910년대 후반부터 (……) 식민지 지식인들의 민요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고조되었다. (……) 숭고한 전통으로서의 가치를 체현한 민요 개념이 주요한?이광수 등의 일본 유학파들을 통해 소개되고, 김소운 등은 민요수집에 매진하고, 김소월?김억 등은 민요풍의 서정시를 짓기 시작했다. <아리랑>의 가치도 이때 비로소 화류계의 비속한 ‘망국의 소리’에서 숭고한 ‘민족의 소리’로 격상되었다. 조선민요의 지역성과 고유성은 총독부의 검열 체제 아래 다분히 식민지조선에 배당된 표상을 벗어나기 힘들었지만, 민요 선율의 자생적 공동성을 살려 거기에 민족이나 계급의 과제를 담은 가사를 실은 개사가가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194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