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문학의 싹

인문학의 싹

(오늘의 한국 인문학을 있게 한 인문고전 12선)

김기승, 진중권, 김재현, 김원열, 오세정, 양보경, 류시현, 서호철, 정미량, 오제연, 손정수, 이상호 (지은이)
인물과사상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문학의 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문학의 싹 (오늘의 한국 인문학을 있게 한 인문고전 12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9061792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1-04-08

책 소개

오늘날 독자가 인문학을 응용하는 데, 또는 인문학을 실생활에 더욱 쓸모 있게 이용하는 데 앞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인문학의 시작’을 이해하는 일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인문학의 싹을 틔워 서구의 사상사만큼이나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가지를 뻗어온 우리 인문학의 성장과정을 거꾸로 추적해 그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인문고전’들을 소개한다.

목차

발간사
새롭게 읽는 우리 인문학의 역사- 인문학박물관 ‘우리 인문학의 역사 교실’ 1기를 마감하며
(인문학박물관 학예실장 강성원)

1강 이중환, 《택리지》(1751)
- 한국적 이상향을 추구한 인문지리서(강사: 양보경)

2강 안확, 《조선문명사》(1923)
- 민족사와 문명사 그리고 정체성 찾기(강사: 류시현)

3강 이여성·김세용, 《숫자조선연구》(1931)
- 식민지와 통계의 내밀한 관계 분석(강사: 서호철)

4강 이만규, 《조선교육사》(1947)
- 한국교육사의 고전, 민족교육사의 고전(강사: 정미량)

5강 박열, 《신조선혁명론》(1948)
- 혁명과 사랑, 그리고 아나키즘(강사: 오제연)

6강 신남철, 《역사철학》(1948)
- 한국 최초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의 현실인식과 각오(강사: 김재현)

7강 김동석, 《뿌르조아의 인간상》(1949)
- 상아탑의 인간상, 혹은 지식인의 운명(강사: 손정수)

8강 백남운, 《쏘련인상》(1950)
- 당대 지식인의 대소對蘇 인식(강사: 이상호)

9강 배성룡, 《농민독본》(1953)
- 농민민주주의의 실현, 농민의 단결과 각성을 촉구하다(강사: 김기승)

10강 김태오, 《미학개론》(1955)
- 대한민국 건립 초 서구 미학사상의 유입(강사: 진중권)

11강 홍기문, 《조선신화연구》(1964)
- 조선신화의 정체성 찾기(강사: 오세정)

12장 이종하, 《우리 민중의 노동사》(2001)
- 민중이 주체인 역사(강사: 김원열)

저자소개

김기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現)순천향대학교 향설나눔대학 교수 <저서> 「한국근현대 사회사상사 연구」(1994). 「조소앙이 꿈꾼 세계」(2003). 「21세기에도 우리문화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2003, 공저). 「제국의 황혼」(2011, 공저). 「고불 맹사성의 생애와 사상」(2014). 「아산의 독립운동사」(2014, 공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론가 조소앙」(2015). 「유림 독립운동의 상징 심산 김창숙」(2017) 등 <주요논문> 신채호의 독립운동과 역사인식의 변화(2010). 4월혁명과 한국의 민족주의(2010). 심산 김창숙의 사상적 변화와 민족운동(2012). 한국독립당의 정치노선과 통일(2012). 도산 안창호의 대공주의와 조소앙의 삼균주의 비교 연구(2015). 언론에 나타난 신간회 해체 논쟁의 전개과정(2018). 20세기 초 독립운동가들의 사회진화론 극복과 평화사상 형성(2019). 조소앙과 ‘적자보’ 연구(2020) 외 다수
펼치기
진중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학자, 평론가, 교수, 그리고 우리 시대 대표 논객이자 지식인으로서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어 권력의 ‘파수꾼’ 역할을 하고 있다. 조국 사태 이후 정권의 실정과 이를 비판하지 않고 입을 다문 지식인을 겨냥해 “이른바 ‘진보적’ 지식인들은 지배층이 되었다”고 비판했다. 이유는 “같은 상류층으로서 계급적 이해를 공유했기 때문”이며, “’이익 집단’으로서 진보는 승리했다. 하지만 ‘가치 집단’으로서 진보는 죽었다”라고 선언했다. 이후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공저)』『진보는 어떻게 몰락했는가』『진중권 보수를 말하다』 등을 펴냈다.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소련의 구조기호론적 미학」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언어 구조주의 이론을 공부했다. 귀국 후 사회 비판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중앙대학교와 동양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대표 저서로는 『미학 오딧세이』『춤추는 죽음』『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천천히 그림읽기』『시칠리아의 암소』『페니스 파시즘』『폭력과 상스러움』『앙겔루스 노부스』『레퀴엠』『빨간 바이러스』『조이한·진중권의 천천히 그림 읽기』『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춤추는 죽음』『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첩첩상식』『호모 코레아니쿠스』『한국인 들여다보기』『서양미술사』『컴퓨터 예술의 탄생』『진중권의 이매진Imagine』『미디어아트』『교수대 위의 까치』『정재승+진중권 크로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남대학교 철학과 교수(1986-2018)로 재직했으며 현재 경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한국 근현대 사회철학의 모색>(2015), <한국 사회철학의 수용과 전개>(2002), <하버마스의 사상>(공저, 1996)이 있고, ?중국에서 ‘철학哲學’ 개념의 번역과 수용?(2016), ?철학의 제도화, 해방 전후의 연속성과 단절?(2011), ?하버마스의 해방론 연구?(박사논문,1995)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원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사이버대학 교양학부 교수와 학술단체협의회 대외협력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복지국가와 진보대통합을 위한 시민회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 《최제우의 동경대전》(2006), 《동북아시아 유교의 전통과 현대》(2007), 《중국철학의 인간 개념 연구》(2008), 《송대 신유학의 자연 개념 연구》(2008)가 있다.
펼치기
오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한국 신화와 제의의 관계와 의미작용을 규명하는 논문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화, 전설, 민담, 판소리 등 옛이야기를 대상으로 한국인의 상상력과 사유체계를 추적하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고, 문학 텍스트만이 아니라 현대 문화의 다양한 현상에도 관심을 두고 공부 중이다. 서강대학교, 건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등에서 강의했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연구교수를 지내다가 지금은 한양대학교 학부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한국 신화의 생성과 소통 원리》, 《신화, 제의, 문학- 한국 문학의 제의적 기호작용》, 《설화의 상상력》, 《옛이야기와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등이 있다.
펼치기
양보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과 한국지역지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0년 방영된 라는 프로그램에서 ‘우리 옛 지도를 찾아서’라는 주제로 ①사실적 지방지도와 군사지도 ②예술과 지도의 만남- 조선의 지방지도 ③옛 지도에서 읽는 과학문화사회 ④우리 국토의 자화상- 조선전도를 강의했다.
펼치기
양보경의 다른 책 >
류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서울 을지로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사학과 학부, 석사, 박사를 마쳤다. 한국 근현대 사상사·문화사 전공자로서 ‘조선적인 것’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최남선 연구』(2009), 『최남선 평전』(2011), 『한국 근현대와 문화 감성』(2014), 『동경삼재』(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서호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학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는 『대지를 보라』 (아모르문디, 2016), 『시마 상, 한국 길을 걷다: 일본 인류학자의 30년 한국여행 스케치』 (일조각, 2013)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고종시대 조보의 간행과 그 의미」 (『역사비평』 141, 2022), 「조보에서 관보로: 갑오개혁기 인쇄 관보의 등장」 (『한국사회』 23, 2022), 「융희연간의 통계체계 구축과 농업통계」 (『사회와역사』 134, 2022), 「식민지기 인권의 제도화와 담론」 (『사회와역사』 124, 2019), 「‘七情’에서 ‘感情’으로: 감정 관련 번역어의 수용과 사용」 (『사회와역사』 118,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정미량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그동안 일제강점기 재일조선유학생사, 중국 조선족 교육사, 한국 다문화 교육 문제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해왔다. 향후 연구 관심 분야도 해외 유학생사, 중국 조선족 교육사 사례 연구, 한국 다문화 교육 및 외국인 학교 문제에 대한 정책적 방안 탐색 등이 될 것이다. 주요 저서로는 『1920년대 재일조선유학생의 문화운동: 개인과 민족, 그 융합과 분열의 경계』(2012), 『한국의 다문화주의: 가족, 교육 그리고 정책』(2011, 공저), 『열풍의 한국 사회』(2012, 공저), 『사건으로 한국 사회 읽기』(2011, 공저), 『인문학의 싹』(2011, 공저), 『우리나라의 1945년 이전 국가수준 교육과정』(2010,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오제연 (글)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강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겸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학술지 『역사비평』의 편집주간 및 『한국사연구』의 편집위원장도 맡고 있다. 1950~70년대 한국의 정치사, 운동사, 대학사 연구를 계속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 현대사 속 다양한 행위 주체들의 ‘(비)정상성’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 『촛불의 눈으로 3·1운동을 보다』(공저, 2019), 『4월혁명의 주체들』(공저, 2020), 『한국 현대사 연구의 쟁점』(공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손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비평활동을 시작했다. 평론집으로 『미와 이데올로기』 『뒤돌아보지 않는 오르페우스』 『비평, 혹은 소설적 증상에 대한 분석』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소설 속의 그와 소설 밖의 나』 등이 있다. 현재 계명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이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맥아더와 한국전쟁, 1945-1951」(2007) 으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6·25전쟁기 유엔군 군수지원체제』(2022), 『한국전쟁: 전쟁을 불러온 것들 전쟁이 불러온 것들』(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