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중 문학론안토니오 그람시 (지은이), 박상진 (옮긴이)  | 책세상
9791171311637
안토니오 그람시는 20세기 초반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이자 문예 비평가, 사상가 그리고 혁명가였다. 이 책은 그람시의 《옥중수고》 가운데 대중 문학과 관련된 글을 발췌, 번역하고 역주와 해제를 달아 완성한 것이다.
|
![]() |
초등 영어 그림책 수업 백과손지은 (지은이)  | 교육과실천
9791191724899
영어 그림책은 영어라는 바다 앞에서 망설이며 바라보기만 하던 아이들이 용기 내어 발을 담글 수 있도록 도와주는 좋은 친구다. 영어를 어려운 과목이 아닌, 즐길 수 있는 언어로 느끼게 해주는 소중한 계기가 되어줄 것이다.
|
![]() |
재·수·없·는 KBS김철민 (지은이)  | 디페랑스
9791194267348
TV 수신료 분리 징수라는 한편의 거대한 부조리극이 시청자들 일상에 어떻게 투영됐는지 증언하는 생생한 내부자 경험담이다. KBS 수신료국에서 겪었던 개인적 경험을 적었지만, 공영방송과 TV 수신료라는 사회적 의제를 재점화시켜 보고자 시도한 치열한 노력이었다.
|
![]() |
대통령을 말하다유시민, 조갑제, 유시춘, 오인환, 최석호 (지은이)  | 혜윰터
9791198994233
숨 가쁜 정치과정을 거치면서 대통령에 대해서 다시 생각한다. 과연 대통령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 대통령 자서전이나 평전을 쓴 작가에게 듣고 책으로 엮었다.
|
![]() |
SNS 이용자 심리손영화 (지은이)  | 커뮤니케이션북스
9791143005717
SNS가 인간을 행복하게 할까? 이 책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관계 형성, 디지털과 모바일 시대의 인간관계 변화, 소셜 미디어와 SNS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며, SNS 이용자는 심리적으로 ‘행복’한가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
![]() |
가족, 법정에 서다배인구 (지은이)  | 인티앤
9791193740156
가사소년전문법관(부장판사)으로 재직했던 5년의 기간을 포함해 21년간 각급 법원 판사로 재직했던, 현재 가사상속 전문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배인구 변호사는 가족 안에서 벌어지는 법정 분쟁의 사연들과 가족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
![]() |
정부의 원리양재진 (지은이)  | 마름모
9791194285144
자유민주주의의 진짜 의미는 무엇인가? 과연 직접민주주의가 최고인가? 4년 중임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도입으로 우리 정치의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가? 《정부의 원리》는 한국 정치의 원리와 구조를 본격적으로 분석하고, ‘가능한 개혁’의 방향을 제시하는 비판적 정치 교양서다.
|
![]() |
징계를 마칩니다박은정 (지은이)  | 안나푸르나
9791186559932
박은정이 특별함 보다는 얼마나 평범한 삶을 지향하고자 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저자는 힘겨운 나날을 보낼 때 거리에서 자신을 응원해 주는 시민들에게서 더 큰 힘을 얻는다. 그들은 모두가 평범한 시민이었다.
|
![]() |
가해자는 모두 피해자라 말한다릴리 출리아라키 (지은이), 성원 (옮긴이)  | 은행나무
9791167375674
‘피해자의 자리는 이제 특권이자 무기’가 되었다고 말하는 런던정치대학교 교수 릴리 출리아라키는 《가해자는 모두 피해자라 말한다》에서 피해자와 피해자성의 역사와 ‘무기화’ 현상을 파헤친다.
|
![]() |
극우의 노래남태현 (지은이)  | 오월의봄
9791168731509
12‧3 계엄사태 이후 한국사회에 극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이 책 《극우의 노래》는 한국사회에 극우가 언제부터 등장했고, 그들이 누구이며,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본격 분석한다.
|
![]() |
김대중 망명일기김대중 (지은이),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기획)  | 한길사
9788935679034
한문과 영문을 섞어 필기체로 빼곡하게 쓴 일기를 판독하고 정리한 후 발간사와 해제를 덧붙여 세상에 내놓은 책이다. 죽음을 각오한 결기로 자신의 운명과 삶에 맞섰던 한 인간의 진솔한 모습이 펼쳐진다.
|
![]() |
객관성의 함정무라카미 야스히코 (지은이), 김준 (옮긴이)  | 문학수첩
9791193790892
서열화, 수치화가 당연시되고 ‘숫자가 곧 진리’로 여겨지는 지금, ‘객관성’에 의거한 사고가 사회를 지배하게 된 배경과 원인을 살펴보고 그로 인해 얻은 것과 잃은 것을 이야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