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족과 민족 (그 단일과 보편의 신화를 넘어서, 대우학술총서 577)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57330579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05-04-3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57330579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05-04-30
책 소개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유혈갈등과 분쟁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을 담은 책. 국내의 인류학자들이 모여 썼으며, 단일민족의 상상에서 비롯되는 우리의 단일하고 단순한 세계관에 비판적 성찰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한다.
목차
- 책을 펴내며
총론 종족의 현대적 발명과 실천
제1부 종족성, 역사, 식민주의
1. 남태평양 군소 도서국에서의 종족갈등과 원주민 민족주의
2. 종족 정체성과 역사적 상상: 요루바 종족성과 기억의 공동체
3. 시크 종족성의 성격: 원초주의와 상황주의의 통합적 접근
4. 사하인의 민족정체성과 러시아 민족정책
제2부 국민국가와 종족성 발명
5. 메스띠소와 원주민 사이에서: 멕시코 국민주의와 원주민 종족성
6. 일본사회의 변화와 민족문제의 새로운 전개
7. 홍콩인: '국제도시의 시민'에서 '국민'으로
제3부 일상 속의 종족성
8. 북아일랜드의 민족 갈등과 일상에서의 타자성 경험
9. 미국의 인종, 민족정체성과 일상정치: 뉴욕시 할렘을 중심으로
10. 말레이시아에서의 돼지고기 소비와 종족관계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필자약력
저자소개
책속에서
종족성은 평화와 공존의 희망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침략자인가 아니면 차이와 다양성이 존중되는 통합적 공동체의 구성 요소인가?
종족성의 연구는 문화적 다양성을 설명하는 편안한 지적 여행이 아니다. 그것은 문화의 진실에 관한 심각한 토론의 공간이다. 새로운 차원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전개되는 종족 갈등의 현실 앞에서 인류학자는 소수자의 실존적 몸짓으로서의 종족성 추구의 절실함과 지배세력의 욕망에 의한 종족 발명의 허구성과 정치적 음모를 규명해야 한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