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사진이론의 지형

한국 사진이론의 지형

(김승곤선생 회갑기념 논문집)

최인진, 박주석, 최봉림, 김승곤, 진동선, 이영준, 박영선, 이경민, 신수진, 이경률 (지은이)
홍디자인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9,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사진이론의 지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사진이론의 지형 (김승곤선생 회갑기념 논문집)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88758083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00-11-25

책 소개

사진평론가로서 20여년 가까이 활동해 온 김승곤 선생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논문집. 사진 이론과 비평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필자 10명의 글을 모았다. 한국 사회와 사진에 관한 논평, 사진 이론, 현대미술과 사진에 관한 글들이다.

목차

제1부 한국 사회와 사진
1. 문화 공중과 사진의 문화적 지체현상 / 김승곤
2. 한국 사진과 평론 / 진동선
3. 나의 사진비평 4반세기 / 이영준
4. 사진 수용 단계에 있어서 다게레오타입의 전래 유무에 관한 연구 / 최인진

제2부 사진, 인식, 진리
1. 영상-환영으로서의 세계 / 김승곤
2. 존재, 진리, 사진 / 박영선
3. 크라잉 게임 -일상과 서사 / 이경민
4. 사진의 깊이 표현 양식의 기술체계를 위한 기초개념 / 신수진

제3부 현대미술과 사진의 논리
1. 현대미술과 사진적 레디메이드 / 이경률
2. 초현실주의 사진과 비평 / 박주석
3. 사진 초상에 있어서 은유와 환유 / 최봉림

김승곤 선생 약력 및 저술 목록
필자 약력

저자소개

최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11월 7일생 1970년 한양대학교 문리대 국문과 졸업 1971년 동아일보 출판국 출판사진부 기자 新東亞와 女性東亞를 중심으로 사진기자 활동을 시작 1984년 동사 편집국 사진부 차장 1988년 편집국 사진부 부장 1988년 ‘88올림픽경기 당시 동사 사진부장 1998년 사진 담당 편집위원을 거쳐 동사 퇴사 1998년 98사진영상의 해 조직위 집행위원회 부위원장 1978년 한국사진사연구소를 설립, 사진사 정립을 위한 활동에 전념 2003년 학교법인 명지학원 사진박물관 개설 추진본부장, 신낙균선생기념사업회장 한국사진역사연구소장 [경력 및 집필 활동] 1967년 한국사진협회에 입회하면서 사진활동을 시작 1985년 멕시코 월드컵 축구 취재 1986년 남극 세종기지 건설 현장 취재 [기고] 1969년 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에서 발행 『藝術界』 창간호에 글을 발표하면서 사진관계 글 들을 기고하기 시작 1977년 월간미술교양지 『美術과生活』10월호에 한국사진사 관계 글을 처음으로 발표 1977년 격월간지 『한가람』창간호에 현일영, 임응식 등 사진가 연재 1978년 3원호부터 월간 『영상』지에 玄一榮을 시작으로 10회에 걸쳐 한국의 현대 사진가를 연재 1979-1996년 서울특별시 발행 『서울六百年史』 제3권부터 제6권까지 사진도입에서부터 1970년대까지의 ‘한국사진사’를 집필 1979년 한국사진작가협회회보 『寫協』지에 한국사진사 관계 글을 발표 1979년 『신문연구』관훈클럽 1979년 겨울호 ‘한국신문사진발달사’ 1980년부터 『한국사진사연구』기관지 발간 및 많은 글을 발표 1981년 월간 『寫壇』지에 한국사진사 연재 ‘세계사진사’, ‘카메라의 역사’, ‘사진관 이야기’ 기타 여러 글을 기고 1984년 대한직업사진가협회 84년 하기대학사진강좌 ‘영원한 과제인 ’인간의 얼굴’강의 1991년 11월부터 92년 7월까지 동아일보지상에 ‘카메라의 세계’를 매주 연재 2000년 1월호 월간사진 격동의 20세기사진 연재 2001년 한국사진작가협회40년사 편찬위원장 2006년 8월호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진작가협회 회보 ‘한국사진’에 “한국현대사진사” 연재 중 [기획 및 전시] 1998년 사진영상의 해 주 전시인 한국사진역사전 기획 예술의전당에서 전시 2003년 현일영.서순삼.박필호 사진가 3인의 탄생 100년 사진제 기획, 전시 및 강연 2006년 “다산정약용의 사진세계전” 인사동 김영섭화랑에서 개최 2008년 “사진촬영의 멀고도 먼 길” 전시 양평 갤러리 와에서 개최 2009년 “최계복탄생 100년 기념전” 대구 인터불고 전시장에서 기획 [논문 발표] ‘朝鮮朝에 傳來된 寫眞의 原理’서울시사편찬위원회 발행 논문집『鄕土서울』1979년 ‘사진수용단계에 있어서 다게레오타입 전래 유무에 관한 연구’ 김승곤선생회갑기념논문집 『한국사진이론의 지형』2000 ‘한국사진기원에 관한 연구’, ‘조선중앙일보 - 동아일보 일장기말소사건’ 최인진선생화갑기념논총 『사진과 포토그라피』2001 최인진 60주년기념행사 ‘해방초기 사진잡지 연구’ 『아우라』2003년 제10호 ‘카메라는 현재를 찍고 사진은 역사를 남긴다‘ 『먼 나라 꼬레』2003 경기도박물관 고종 - 고종황제의 어사진’ 『근대미술연구』2004 국립현대미술관’ ‘기독교청년회(YMCA)의 사진교육운동’『아우라』2005년 제13호 ‘서화가 해강 김규진의 사진활동연구-천연당사진관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미술사학 2005 15집 ‘한국사진 50년대’ ‘필름 카메라로 찍은 독일 외교관 해르만 잔더의 영상’ 『독일인 헤르만 잔더의 여행』 국 립민속박물관 2006 ‘광복과 분단, 한국전쟁의 영상’ 『한국미술100년』국립현대미술관 2006 [저서] 『송진화사진집』편집 출판 『세계의 사진사』 뷰먼트 뉴홀/최인진 옮김 서문당 1977/1999년 개정판 신낙균의 『사진학개설』1977년 중앙대학교출판국에서 복간 『한국현대미술사(사진)』최인진. 육명신 공저 국립현대미술관 1978 『사진을 말한다』(박필호 유고집) 대한직업사진가협회 1982 / 2003년 개정판 『정희섭사진집』(정희섭 유작사진집) 1983 『한국신문사진사』열화당 1992 『한국사진역사전』도록 발행 1998 도서출판연우 『다시 돌아와 본 서울』성두경사진집 눈빛 1994 『한국사진사 1631-1945』눈빛 1999 이명동 『사진은 사진이어야 한다』1999 자료수집 정리 『청주사람들의 삼호사진관 추억』(김동근사진집) 눈빛 1999 『한국사진의 한 세기전』시각 2001 한국사진작가협회『한국사협사Ⅰ』2001 편찬위원장 및 총 집필 『회령에서 남긴 사진』(정도선 유작사진집) 눈빛 2003 신낙균의 『1920년대에 쓴 최초의 사진학』도서출판 연우 2005 『손기정 남승룡 가슴의 일장기를 지우다 -조선중아일보-동아일보일장기말소사건의 새로운 진실』 신구문화사 2006년 『다산정약용의 카메라오브스쿠라를 되살리다』도록 출간 조현두사진집 기획(2009년) 출판 최계복 탄생 100년 기념사진전 기획 및 사진집 기획 및 출판(2009년) 고종 어사진을 통해 세계를 꿈꾸다 -19세기 어사진의 정치학- 문현출판사(2010년) [수상] 2008년 국립민속박물관 표창장 대한언론인상 특별상 수상 1998년 사진영상의해 대통령상 수상
펼치기
박주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임실에서 태어났다. 현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사진사 및 사진 기록 분야를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이미지언어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했고, 영국 에식스대학교에서 미술사 석사학위를, 중앙대학교에서 기록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구예술대학교와 광주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1998년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한국사진역사전》 큐레이터, 2001년 독일 헤르텐에서 열린 《The Century of Korean Photography》전 큐레이터, 2006년 대구사진비엔날레 수석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사진과 기록에 관련한 다수의 전시를 기획했다. 저서로는 『박주석의 사진 이야기』 『주명덕 JOO MYONG DUCK PHOTOGRAPHY』, 번역서로는 『사진예술의 역사』 『사진에 나타난 몸』, 주요 논문으로 「포스트모더니즘과 사진의 의미」 「사진과의 첫 만남-1863년 연행사 이의익 일행의 사진 발굴」 「1950년대 한국사진과 인간가족전」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최봉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르미날』국내 최초 번역자(1989년). 한국외대 불어과 및 서울대 인문대학원 불문학과 졸업. 파리 10대학 프랑스사학과에서 박사준비과정(D.E.A)을 마친 후, 파리1대학 미술사학과에서 <손의 초상과 사진>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현재 한미사진미술관 부설 한국사진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대학 강의는 물론 사진평론가, 작가, 전시기획자로도 활동 중. 번역서로는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의 『사진, 인덱스, 현대미술』(궁리, 2003), 이안 제프리(Ian Jeffrey)의 『도마쓰 쇼메이』(열화당, 2003)이 있으며, 저서로는 『에드워드 슈타이켄』(디자인하우스, 2000), 『서양사진사 32장면, 1826~1955』(아카이브북스, 2011) 등이 있음. 2006년 갤러리 선컨템포러리(서울), 2010년 공근혜갤러리(서울), 2014년 갤러리 룩스(서울)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전시기획으로는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서울 토탈미술관, 2001), <다큐먼트: 사진아카이브의 지형도>(서울시립미술관, 2004), <상업사진의 변천사>(한미사진미술관, 2005), <서울국제사진페스티발>(관훈갤러리, 포토하우스, 2006) 등이 있음.
펼치기
김승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0년생.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문학과, 니혼대학(日本大學) 예술학부 사진학과, 쓰쿠바대학(筑波大學) 조형예술대학원 시각전달디자인 전공 졸업 연세대학교,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강사, 국립순천대학교 인문예술학부 사진예술학과 석좌교수 역임 제2회 서울문화예술 평론상, 제8회 대한사진문화상 학술평론부문, 제3회 이명동사진상, 일본사진협회 국제상 수상 사진비평상 심사위원장, 동강사진축제 운영위원장, 서울사진대전 운영위원장 역임 ‘한국현대사진의 상황’ 등 국내외 다수의 사진 행사 기획 ‘대중문화와 사진의 지체현상’ 등 논문 다수
펼치기
진동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진작가, 사진평론가, 전시기획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사진학과와 미국 위스콘신대학 예술학과를 졸업했으며, 뉴욕주립대학 예술대학원에서 사진비평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미술비평을 전공했다. 사진평론가로서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상명대학교 예술대학원,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과, 한성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에서 강의했으며, 전시기획자로서 2000년 광주비엔날레 전시팀장, 2008년 대구사진비엔날레 큐레이터, 2009년 울산국제사진페스티벌 총감독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 <사진예술의 풍경들>, <사진철학의 풍경들>, <좋은 사진>, <한 장의 사진미학>, <영화보다 재미 있는 사진 이야기>, <사진, 영화를 캐스팅하다>, <노블 앤 뽀또그라피>, <현대사진가론>, <현대사진의 쟁점>, <한국 현대사진의 흐름>, <사진가의 여행법>, <쿠바에 가면 쿠바가 된다>, <그대와 걷고 싶은 길>, <올드 파리를 걷다> 등이 있으며, 2015년 현재 현대사진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블로그 blog.naver.com/sabids
펼치기
이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계비평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융합교양학부 교수. 기계의 메커니즘과 존재감이 가지는 독특한 아름다움에 끌려 기계를 비평하겠다고 나섰지만 사실은 이 세상 모든 이미지에 관심이 많다. 그 결과물로 『기계비평: 한 인문학자의 기계문명 산책』(2006), 『페가서스 10000마일』(2012), 『조춘만의 중공업』(공저, 2014), 『우주 감각: NASA 57년의 이미지들』(2016),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공저, 2017),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공저, 2017), 『푈클링엔: 산업의 자연사』(공저, 2018) 같은 저서를 썼다. 또한 대우조선에 대한 전시인 『기업보고서: 대우 1967?1999』(공동 기획, 2017), 발전소의 구조와 메커니즘에 대한 전시인 『전기우주』(2019), 조선 산업에 대한 전시인 『첫 번째 파도』(공동 기획, 2021), 『두 번째 파도』(공동 기획, 2022) 등 기계와 산업에 대한 전시들을 만들었다.
펼치기
박영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에서 철학, 홍익대와 숭실대 대학원에서 사진과 미디어아트를 공부했고, 「디지털사진과 기억예술: 디지털사진 기반 시각예술에 나타나는 기억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진아카이브 책임연구원과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원을 지냈다. 근현대 문명의 세부를 결정하는 시각매체인 사진과 시스템의 관계, 그것을 매개로 펼쳐지는 문화예술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해왔다. 《또 다른 시간》, 《인왕산과인왕산과》 등의 개인전을 열었고, 『지역아카이브, 민중 스스로의 기억과 삶을 말한다』, 『풍경 너머 풍경』, 『체계와 예술』, 『연결합도시』 등의 공저,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디지털 아카이빙과 사진의 상호관계」, 「아카이브 다시 그리기」 등의 연구논문을 썼다.
펼치기
박영선의 다른 책 >
이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한국 근대 사진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12년 현재 사진아카이브연구소 대표로 있다. 그동안 사진 평론과 전시 및 출판 기획 등의 일을 해왔으며, 한국 사진사 연구와 근대 사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념사진전>(문예진흥원미술관, 1999), <유리판에 갇힌 물고기>(대안공간 풀, 2004), <벽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일민미술관, 2007), <오월의 사진첩>(광주시립미술관, 2008), <임응식―기록의 예술, 예술의 기록>(덕수궁미술관, 2011) 등의 사진전을 기획했으며, 계간 『사진비평』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전시기획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석 전시기획상’을 첫 회(2008)에 수상했으며, 『경성, 사진에 박히다』로 2009년 월간미술대상(학술평론 부문)을 수상하였다. 지은 책으로 『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2005), 『구보씨, 사진 구경가다』(2007), 『경성, 사진에 박히다』(2008), 『제국의 렌즈』(2010), 『카메라당과 예술사진 시대』(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신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빛으로 경험할 수 있는 순수한 시각적 즐거움에 매료되어 어린 시절부터 취미로 사진을 찍었고, 사람의 마음에 만사가 달려 있다는 옛말에 이끌려 심리학을 전공했다. 연세대학교와 중앙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사진학을 차례로 전공한 후,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시각연구실에서 사진 이미지를 심리학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하는 기초연구를 개발하고 수행하면서 2002년 국내 최초로 사진이론 관련 박사가 되었다. 이후 응용 분야에서 전시 기획, 출판, 사진교육, 작가지원 프로젝트 등의 디렉터로 활동하며, 시각심리학과 사진이론을 접목시켜 과학과 예술이 융합되는 독특한 영역을 개척해왔다. 저서로 『사진, 읽기 혹은보기』, 『마음의 정원』, 『거울신화』, 『공간유영』, 『사진, 빛의 세기를 열다』 등이 있으며, 《거울신화》, 《20세기 사진의 거장전》, 《경계에서(On the line)》, 《사랑만이희망입니다》 등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40여 차례의 전시를 기획하여 개최했다. 2013년 현재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연구교수로, 한진그룹 일우재단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S&A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예술의전당 전시자문위원, 임프리마코리아 이미지저작권 고문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경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사진전공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2000년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예술사학(사진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관리 심의위원과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심의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현대 사진미학의 이해》, 《사진과 움직임》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사진적 행위》와 《현대 조형사진론》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