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1980년대 혁명의 시대

1980년대 혁명의 시대

김진균, 신현준, 최형익, 이은숙, 김명섭, 백준기, 이희영, 김영수, 이해영, 강수돌 (지은이), 이해영 (엮은이)
새로운세상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1980년대 혁명의 시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980년대 혁명의 시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95091005
· 쪽수 : 402쪽
· 출판일 : 1999-12-15

책 소개

이 책은 1980년대 한국사회를 사회과학적인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조명한 글모음이다. 이해영 한신대 교수 등 9명의 젊은 논객들이 정치, 경제, 사상, 문화, 남북관계 등에서 각각 80년대의 특성을 추출해내고 있다. --경향신문 조운찬 기자

목차

0. 권두논문

1980년대: '위대한 각성'과 새로운주체 형성의 시대 / 김진균

1. '思想史'로서의 '1980년대' : 우리에게 1980년대란 무엇인가? / 이해영
2. 1980년대의 정치, 그 구조의 전환과 전환의 구조 / 최형익
3. 1980년대 한국의 경제성장과 노사관계 / 강수돌
4. 1980년대 한국경제의 구조 / 이은숙
5. 1980년대 문화적 정세와 민중문화운동 / 신현준
6. 계급주체 형성 과정으로서의 1980년 노동운동 / 김영수
7. 한.미관계에 있어서의 1980년대 / 김명섭
8. '한국(조선) 문제(the korean question)'를 통한 남북한 관계 분석 / 백준기
9. 한국 80년대 세대의 초상화: 독일 68세대와의 비교 / 이희영

저자소개

김진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역임. 산업사회연구회 설립. 민주노총 지도위원,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 사회진보연대 대표,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4월혁명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 주요저서 - 진보에서 희망을 꿈꾼다(2003) - 비판과 변동의 사회학(1983) -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 권력(1997, 공저) - 군신과 현대 사회(1996, 공저) - 사회과학과 민족현실 1, 2(1991, 공저) - 한국사회의 구조와 변동 1, 2(1984, 공저)
펼치기
신현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01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음악산업 시스템의 지구화와 국지화: 한국의 경우」를 써서 박사학위를 받고, 2003년부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에서 연구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6~2007년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방문연구원을, 2008년 레이든대학교의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국제 저널 『Inter-Asia Cultural Studies』의 편집위원, 『Popular Music』의 국제고문위원이다. 이 저널들을 포함한 국제 저널에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다수의 글을 발표했고, 몇몇 글은 중국어와 일본어로 번역ㆍ출판되었다. 주요 연구주제는 대중음악과 문화산업이고, 최근에는 이를 도시공간 및 이주/다문화 연구로 확장하고 또 접속하려고 한다. 지은 책으로 『귀환 혹은 순환: 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공저, 2013), 『레논 평전: Lennon Legend』(2010), 『빽판 키드의 추억』(2006), 『한국 팝의 고고학 1960』(공저, 2005), 『한국 팝의 고고학 1970』(공저, 2005), 『글로벌, 로컬, 한국의 음악산업』(2002) 등이 있다.
펼치기
최형익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이자 일본 게이오대학,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방문교수이다. 국회운영제도개선자문위원회,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 통일부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의 정치이론』, 『고전 다시 읽기』, 『실질적 민주주의』, 『대통령제, 정치적인 너무나 정치적인』, 『스피노자의 《신학정치론》 읽기』, 『마르크스의 《자본론》 읽기』, 『불승인주의: 미국 동아시아외교정책과 한반도문제』, 『홍명희의 《임꺽정》 프로젝트』, 『칼 슈미트의 《대지의 노모스: 유럽 공법의 국제법》 읽기』가 있다.
펼치기
이은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정치외교학과 80학번.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연구기획실장.
펼치기
김명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Paris 1 Panth?on-Sorbonne 대학교 박사 제19대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국제학술지 Geopolitics 편집위원 연세대 통일연구소장, 이승만연구원장 역임 [주요 논저]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및 ICAS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상을 받은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을 비롯 “Two Koreas in International History”, Northeast Asia and the Two Koreas(공저),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공저)』, 『한국외 교사와 국제정치학(공저)』, 『해방전후사의 인식(공저)』, 『한국사(공저, 국사편찬위원회)』, 『푸랜시스카 사진의 한국사 I』 등과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학회보』, 『국제정치논총』,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Issues and Studies, Korea Observer, Pacific Focus, 『韓國硏究論叢』 (復旦大學韓國硏究中心) 등에 게재한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백준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에 입문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전공으로 삼았다.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유라시아 국제관계를 학습하였고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한신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국제평화인권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2005년 하버드대학교 유라시아와 러시아 연구센터Davis Center for Russian Eurasian Studie에서 객원학자visiting scholar로 연구하였고, 2009년에는 케임브리지대학교 클레어홀Clare Hall 칼리지에 객원연구원visiting fellow으로 참여하였다. 하버드와 케임브리지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라시아 국제관계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다룬 책 《유라시아제국의 탄생: 유라시아외교의 기원》을 저술하였다. 2006년에서 2015년 사이에 대통령자문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의 국제위원회 상임위원과 통일부 남북발전위원을 경험하였다. 2018년부터 4년간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장에 재직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에 천착하여 남북한관계 뿐 아니라 미국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와 일본 등 한반도 운명에 결부된 4대 강국의 역사와 지정학에 몰입하였다. 《미국의 세기 이후: 신냉전 이후의 세계, 강대국들의 귀환》은 이러한 시간들의 결과물이다. 평소의 연구 관심사는 미국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 간의 삼각관계이며 이와 관련한 다수의 논문과 책(공저)을 냈다. 2024년 현재, 한신대학교 한반도평화학술원장과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이사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82학번. 독일 베를린공대 사회학과 석사 과정.
펼치기
김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프리카 정치의 역사를 공부하고 연구하였다. 그들의 공동체적인 삶 속에 들어 있는 다양한 민주주의적 대안에 천착하였다. 그곳에는 권력보다 권리가 살아 있었다. 그리고 권리 주체들의 생활이 자유로웠다. 권력은 그저 권리의 보조 장치로 남아 있었다. 한국 민주주의가 나아갈 길을 아프리카 공동체의 권리 모델에서 찾고자 배우고 가르쳤던 이유였다. 정치학으로 학위를 받은 이후 학술 연구지 《진보평론》의 편집위원으로 연구 활동을 하면서, 한편으로는 공공운수노동조합의 조직국과 정책국에서 활동하였다. 삶의 현장과 멀리 떨어진 이론의 추상성과, 사유와 성찰의 빈곤함 때문에 드러나는 구체적 삶의 앙상함을 넘어서기 위해 각종 사회운동 단체에서 ‘활동 연구자 혹은 연구활동가’로 살았다. 보편성과 특수성이 만나는 교차로의 복합성과 접합성을, 거시적이거나 미시적인 것보다 그 두 가지를 융합시키는 중범위적인 접근으로 탈자본주의 사회의 대안적인 권력 관계와 이상적인 권리 자치 사회를 모색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는 10여 년 전부터 귀농귀촌해 시간의 절반은 사과밭에서 노동을, 나머지 절반은 대학에서 연구와 가르침과 배움을 함께하는 ‘반노반지(半勞半知)’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저서로는 『화해는 용서보다 진실을 요구한다-남아공 민주주의의 역사·현실·미래』, 『과거사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 『민주주의를 혁명하라』, 『당신은 민주국가에 살고 있습니까』 등이 있고, 공저로 『지식의 공공성 딜레마』, 『공무원 노동운동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양 정치사상과 국제 정치경제 연구자. 마키아벨리, 그람시, 슈미트, 하버마스 등의 사상을 강의하며, 국제 통상과 한미 관계 및 최근에는 오리엔탈리즘과 지정학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경력]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 한신대학교 부총장, 대학원장.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 방문교수, 파리 콜레주드 프랑스 방문 학자. 21세기한국정치학회 이사, 국제지역학회 부회장, (사)한국안보통상학회 회장, 시민단체인 ‘국가國歌만들기시민모임’ 공동대표, 다극화포럼 이사장 [학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및 동 대학원 학사 및 석사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 철학 박사(학위 논문 『그람시와 하버마스: 시민사회, 생활세계 그리고 정치』) [저서] 『임정, 거절당한 정부』, 『안익태 케이스』, 『낯선 식민지, 한미 FTA』, 『독일은 통일되지 않았다: 독일통합 10년의 정치경제학』, 『우크라이나전쟁과 신세계질서』 [공저/편저] 『한미 FTA, 하나의 협정 엇갈린 ‘진실’』, 『 1980년대 혁명의 시대』, 『한미FTA는 우리의 미래가 아닙니다』, 『애국가와 트로트』 [주요 논문] 「카를 슈미트의 정치사상: ‘정치적인 것’의 개념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와 ‘동맹의 논리’: ‘아미티지-나이 보고서’를 중심으로」 등 다수.
펼치기
강수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서 학사?석사 공부를 했고, 독일 브레멘대학교에서 노사관계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세종)에서 25년 동안 가르쳤고, 조치원 신안리 마을이장을 5년 했다. 누구나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선 '교육-노동-경제-생태' 문제를 패키지로 풀어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산다. 저서로 『나부터 세상을 바꿀 순 없을까』 『행복한 삶을 위한 인문학』 『대통령의 철학』 『우진교통 이야기』 『강수돌 교수의 나부터 마을혁명』 『강수돌 교수의 '나부터' 교육혁명』 『자본주의와 생태주의 강의』 옮긴 책으로 『중독 사회』 『파국이 온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양 정치사상과 국제 정치경제 연구자. 마키아벨리, 그람시, 슈미트, 하버마스 등의 사상을 강의하며, 국제 통상과 한미 관계 및 최근에는 오리엔탈리즘과 지정학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경력]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 한신대학교 부총장, 대학원장.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 방문교수, 파리 콜레주드 프랑스 방문 학자. 21세기한국정치학회 이사, 국제지역학회 부회장, (사)한국안보통상학회 회장, 시민단체인 ‘국가國歌만들기시민모임’ 공동대표, 다극화포럼 이사장 [학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및 동 대학원 학사 및 석사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 철학 박사(학위 논문 『그람시와 하버마스: 시민사회, 생활세계 그리고 정치』) [저서] 『임정, 거절당한 정부』, 『안익태 케이스』, 『낯선 식민지, 한미 FTA』, 『독일은 통일되지 않았다: 독일통합 10년의 정치경제학』, 『우크라이나전쟁과 신세계질서』 [공저/편저] 『한미 FTA, 하나의 협정 엇갈린 ‘진실’』, 『 1980년대 혁명의 시대』, 『한미FTA는 우리의 미래가 아닙니다』, 『애국가와 트로트』 [주요 논문] 「카를 슈미트의 정치사상: ‘정치적인 것’의 개념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와 ‘동맹의 논리’: ‘아미티지-나이 보고서’를 중심으로」 등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