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과학의 쟁점

현대과학의 쟁점

박석재, 이필렬, 전세일, 최영락, 최종덕, 황상익, 이인식, 박진희, 이상헌, 윤정로, 김영건, 홍영남, 이은경, 김선영, 김성원, 김용선, 장기홍, 최정필 (지은이)
김영사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과학의 쟁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과학의 쟁점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현대과학
· ISBN : 9788934906872
· 쪽수 : 333쪽
· 출판일 : 2001-03-05

책 소개

현대 과학에서 대두되는 뜨거운 이슈들이 한 권의 책으로 모아졌다. 이인식, 이필렬, 김성원, 최종덕 등 저술 경력이 풍부한 각계의 전문가 18인이 참여한 이 책은, 최신 과학기술 분야의 여러 주제를 쉽고 명쾌하게 풀어주고 있다.

목차

1

만물이론
생명의 기원
현생인류의 기원
외계 생명체

2

생물진화와 창조설
마음의 이론
천성 대 교육
섹스의 기원

3

사이버스페이스
인공지능
생명공학
대체의학
재생가능 에너지

4

환원론과 전일론
신과학 논쟁과 과학전쟁
의약분업과 의사파업
과학, 여성, 그리고 젠더
과학과 정부

저자소개

박석재 ()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대학교에서 블랙홀 천체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다수의 천문학 서적과 소설을 집필하는 등 천문학 대중화에 헌신했고 2005년부터 2011년까지는 한국천문연구원 원장도 역임했다. 저서로는 <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블랙홀과 우주론>, <우주를 즐기는 지름길>, <하늘의 역사>, 소설 <개천기> 시리즈, <The History of Heaven> 등이 있다. 현재 역사광복을 추진하는 사단법인 대한사랑의 이사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박석재의 천문&역사 TV 박석재의 천문&역사 블로그
펼치기
이필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베를린 공과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한 후 런던과 베를린에서 과학사를 공부했다.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로 일하면서 에너지 전환이라는 단체를 만들어 시민들과 함께 에너지 전환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2005년 3월에는 시민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여 한국전력에 깨끗한 전기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2009년부터는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은 파시브하우스를 알리고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3년 30여 년의 교수 생활을 마친 후 글쓰기와 파시브하우스 건축 자문을 하며 지내고 있다. 쓴 책으로 『에너지 대안을 찾아서』, 『다시 태양의 시대로』, 『석유 에너지』, 『석유 시대 언제까지 갈 것인가』, 『생태적 삶을 찾아서』, 『미래 에너지 쫌 아는 10대』 등이 있다.
펼치기
전세일 (감수)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대 재활의학과 교수, 국제침술학회 회장, 연세의대 재활병원 원장, 연세의대 동서의학연구소 소장,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원장,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원장, 석정웰파크병원 병원장, 차움의원 명예원장, 분당차병원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한가족요양병원 병원장, 서재필기념회 부이사장, 브레인트레이너협회 협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1세기 위대한 인물 50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저서로 《뇌졸중 백과》 《한방으로 갈까, 양방으로 갈까》 《새로운 의학, 새로운 삶》 《현대과학의 쟁점》 《내 몸이 의사다》《침술의학》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최영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학사. 덴마크 로스킬드 대학교 행정학 박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빙연구위원.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
펼치기
최종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물리학, 수학, 생물학, 철학을 공부하면서 독일 기센(Giessen) 대학교에서 과학철학으로 학위를 했다. 이후 상지대학교 교수로 있으면서 진화생물학과 의학의 철학 공부에 집중했다. 현재는 독립학자로서 웹아카이브 philonatu.com를 통해 과학과 철학, 생활과 성찰, 동양과 서양, 물질과 의식을 가로지르는 글쓰기를 하고 있다. 저·역서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의학의 철학』, 『뇌복제와 인공지능 시대』(번역), 세종도서로 선정된 『비판적 생명철학』, 『이분법을 넘어서』(장회익 공저), 그리고 『승려와 원숭이』(심재관 공저)가 있다. 이 외에도 『인문학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시앵티아』, 『찰스 다윈, 한국의 학자를 만나다』, 『과학철학의 역사』(정병훈 공역), 『부분의 합은 전체인가』 등 지은이의 여러 저작은 이 책 『생물철학』 안에 녹아들었다. 최종덕의 전문연구와 생활 글쓰기의 모든 자료 및 공부 경력은 자체 제작한 개인 홈페이지 philonatu.com에 공개되어 있다.
펼치기
황상익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종신회원 [ 약력 ] 1952년 경상남도 진해 출생 1977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198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의학박사, 생리학) 1985~199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조교수(생리학) 1994~201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교수(의사학/인문의학) 2015~2020년 연변대학교 객좌교수 2017~2019년 성신여자대학교(성신학원) 이사장(교육부 파견) ▃ 1999~2002년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총무이사 2003~2005년 한국과학사학회 회장 2004~2006년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장 2006~2009년 대한의사학회 회장 2012~2016년 국제고려학회 부회장 겸 서울지회 회장 2000~2001년 과학기술부 생명윤리자문위원회 위원 겸 운영위원장 2003~2004년 대통령 소속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위원 2005~2008년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 1996~2000년 5·18 완전 해결과 정의 실현, 희망을 위한 과거청산국민위원회집행위원장 2001~2005년 전국교수노동조합 제1대, 제2대 위원장 [ 대표 저서 ] 『김익남과 그의 시대』(2018) 『한 학도의 배움길』(2017) 『역사가 의학을 만났을 때』(2015, 세종도서) 『콜럼버스의 교환: 문명이 만든 질병, 질병이 만든 문명』(2014, 세종도서) 『근대의료의 풍경』(2013,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인물로 보는 의학의 역사』(2004,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첨단의학시대에는 역사시계가 멈추는가』(1999) [ 대표 역서 ] 『문명과 질병』(2008,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생명이란 무엇인가?』(1992) 『핵전쟁과 인류』(1987) [ 대표 논문 ] 「보건의료를 통해 본 일제 강점기: 식민지 근대화론의 허와 실」, 국제고려학, 13호(2014) 「의학사적 측면에서 본 ‘4·3’」, 『제주 4·3 연구』(역사비평사, 1999) 「근대이전 서양의학의 질병관과 극복과정」, 한국과학사학회지, 17권 1호(1995) 「20세기 초 미국 의학교육의 개혁과 ‘플렉스너 보고서’」, 의사학, 3권 1호(1994)
펼치기
이인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지식융합연구소 소장, 문화창조아카데미 총감독이며, 과학문화연구소 소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KAIST 겸직교수를 역임했다. 대한민국 과학 칼럼니스트 1호로서 〈조선일보〉, 〈중앙선데이〉, 〈동아일보〉, 〈매일경제〉, 〈한겨레〉, 〈부산일보〉 등 신문에 550편 이상의 고정 칼럼을, 〈월간조선〉, 〈과학동아〉, 〈주간동아〉, 〈한겨레21〉, 〈나라경제〉 등 잡지에 170편 이상의 기명 칼럼을 연재하며 인문학과 과학기술이 융합한 지식의 다양한 모습을 소개하고 있다. 2011년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의 월간지 〈PEN〉에 나노기술 칼럼을 연재하며 국제적인 과학 칼럼니스트로 인정받기도 했다. 저서로 《4차 산업혁명은 없다》, 《2035 미래기술 미래사회》, 《융합하면 미래가 보인다》, 《지식의 대융합》, 《미래교양사전》,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 등 49종이 있으며,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20여 편의 글이 수록되었다. 제1회 한국공학한림원 해동상,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 2006년 〈과학동아〉 창간 20주년 최다기고자 감사패, 2008년 서울대 자랑스런 전자동문상을 받았다.
펼치기
박진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한 뒤 같은 학교에서 과학기술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와 국민대학교 사회과학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소장, 한국과학기술학회 회장, 환경부 친환경에너지전환 자문위원,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서울시 원전하나 줄이기 실행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이사장, 서울시 에너지정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녹색전환』(2020), Energy Transition in East Asia(2018), 『근대엔지니어의 성장』(2014), 『근대엔지니어의 탄생』(2013),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한국의 과학자 사회』(2010)를 함께 집필했고, 『역사학, 사회과학을 품다』(2015),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재생에너지』(2014), 『테크노페미니즘』(2009),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2004), 『생태적 경제기적』(2004)을 우리말로 옮겼다. 주요 논문으로 「녹색기술정책의 지속가능성」, 「독일과 한국의 재생에너지 정책 거버넌스 비교」, 「원자로 진흥에 속박된 원전의 안전」, 「재생에너지협동조합의 현황과 과제」, 「지구공학기술의 윤리적 쟁점들」, 「한국 여성 과학자의 ‘과학자 되기’에서 보이는 특징」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칸트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같은 학교 전인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환경 철학과 포스트휴머니즘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융합 시대의 기술 윤리』, 『철학자의 눈으로 본 첨단 과학과 불교』 등을 썼다.
펼치기
윤정로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충청남도 부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사회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KAIST(한국과학기술원)에 부임하여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해 왔으며, 현재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2014년 한국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한국여성학회, 한국정보사회학회, 한국생명윤리학회, 한국기술혁신학회 등의 학회에서 부회장을 지냈다. 대통령자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정부업무평가위원회, BK21·NURI사업관리위원회 등의 위원과 한국과학재단,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의 이사 및 주식회사 KT 이사회 의장을 지냈다. 현재 세계인문학포럼 위원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산학협동재단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과학기술과 한국 사회: 구조와 일상의 과학사회학』, 『과학적 사유와 인간 이해: 시대와 새로운 과학』(공저), 『생명과학기술의 이해, 그리고 인간의 삶』(공저), 『생명의 위기: 21세기 생명윤리의 쟁점』(공저), 『정보사회의 이해』(공저), 『모성의 담론과 현실』(공저), 『일본의 도시사회』(공저)가 있고, 편저 『ELSI Issues on Current Biotechnology』 및 역서 『유비쿼터스: 공유와 감시의 두 얼굴』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실존과 분석이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당성에 대한 반성을 통해 가능성과 한계성을 규명하는 철학, 이것이 그가 자신의 박사 논문 <비트겐슈타인과 자연주의 철학> 속에서 도달한 지점이며 이후 저술 활동에서도 견지 및 확장해나가고 있는 철학적 지평이다. 서강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 『철학과 문학비평, 그 비판적 대화』 『동양철학에 관한 분석적 비판』 『이성의 논리적 공간』 등이 있다.
펼치기
홍영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객원 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명예 교수다. 옮긴 책으로 『이기적 유전자』, 『식물 생리학』, 『생물학』, 『생물 물리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기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항공과대학 박사후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지금은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관심사는 20세기 과학기술사,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과 젠더 등이다. 『현대과학의 쟁점』(공저), 『세계 1위 메이드 인 코리아―반도체』(공저), 『나도 과학자의 길을 갈 테야』(공저) 등의 저서와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사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생물학 이학사(B.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공중보건학 석사(M.P.H.) (전) 선린대학 보건행정학과 강의전담교수 포항1대학 강사 (전) 선린병원 선교팀장 (전) 민병철 어학원(강남 본원) 강사 (전) 대학 및 기업체 다수 출강(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과정 중 (현) 대동대학 출강 중 (현) 위즈고시학원 강사
펼치기
김성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물리학회 물리올림피아드위원회 위원장,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회장 및 한국과학교육학회 이사를 역임했으며, 단국대학교 응용물리학과 조교수,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방문교수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물리문제총론』,『과학, 삶, 미래』(공저),『지식의 이중주』(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시간과 공간에 관하여』, 『수리물리학』,『빛보다 더 빠른 것』,『시공간의 미래』 등이 있다. 이외에 블랙홀, 타임머신, 과학 교육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용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금성중앙연구소 소장, 금성통신 주식회사 사장, LG 인화원 원장, 존스 홉킨스 대학 및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의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는 사단법인 태평양아시아협회 연구소장이다. 공저로 <과학이 세계관을 바꾼다> 가 있다.
펼치기
장기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4년 경남 거창 생. 서울대학교 문리대 지질학과 졸업.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졸업(Ph. D.) 전 경북대 문리대 교수. 국제지층분류분과위원회 위원.논문 : 「Unconformity−ounded Stratigraphic Units」 (1975, 미국지질학회지) 외 다수
펼치기
최정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주태생으로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 하였다. 그리고 미국 펜실베니아주 G.A.I. 고고지질연구소 연구원, 피츠버그대학교 인류학과(C.R.M.P) 연구교수로 재직하다 귀국 하였다. 그동안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세종대학교 인문대학장, 박물관장, 대학원장을 역임하고 다시 박물관장을 맡고 있다. 한국고대학회와 한국선사고고학회 부회장, 한국박물관학회 회장으로 봉사 하였고, 2010년 현재는 국제박물관위원회(ICOM) 한국위원장과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자문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새로운 천년이 시작되는 21세기에 선보일 과학기술의 모습을 예견하는 일은 조심스럽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과학기술이 자연과 물질의 본질을 밝혀낸 20세기와는 달리 새로운 세기에는 우리 개개인 안에 숨겨진 본성의 비밀이 탐구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과학기술을 물질적 진보라는 좁은 울타리보다는 인류 문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가치의 일부분이라는 관점에서 보지 않으면 안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