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양 미술 사전

서양 미술 사전

이은기, 김미정, 고종희, 강영주, 최범, 정연심, 조은정, 하지은, 홍상현, 김정은, 임성훈, 이종우, 손수연, 윤희경, 전한호 (지은이)
미진사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0% 0원
2,250원
42,750원 >
4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4,500원
4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양 미술 사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양 미술 사전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40804933
· 쪽수 : 972쪽
· 출판일 : 2015-01-15

책 소개

서양 미술에서 중요한 1400여 개 이상의 용어와 인명 설명과 해당 도판을 담고 있는 사전이다. 집필진은 자신의 분야에서 꼭 알아야 할 키워드(인명, 용어, 개념, 기법, 사조 등)를 각각 뽑아 총 1,400여 단어를 최종 선별하였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기타

참고 문헌
도판 저작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자소개

김미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에서 19세기 서양 미술사 석사와 한국 현대 미술사 박사를 마쳤으며, 현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전쟁의 기억, 역사와 문학』(2005, 공저), 『서양 미술사』(2006, 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바로크와 로코코』(1998), 『에곤 실레』(1999), 『베네치아의 르네상스』(2001), 『피렌체의 르네상스』(2001)가 있다. 「1950-60년대 한국 전쟁 기념물」, 「한국 산업화 시대의 유토피아적 비전」, 「국가주의와 모더니즘의 패러독스」를 비롯하여 한국 현대 미술에 대한 정치.사회적 맥락의 논문을 주로 써 왔다. 홍익대학교, 서울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고종희 (해설)    정보 더보기
1983년 이탈리아 국립피사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서양미술사를 전공했으며 1993년 동 대학 문과대학에서 르네상스 판화를 주제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한길사에서 펴낸 『명화로 읽는 성서』 『르네상스의 초상화 또는 인간의 빛과 그늘』 『미술사학자 고종희와 함께 이탈리아 오래된 도시로 미술여행을 떠나다』 『명화로 읽는 성인전』 『모든 것은 사랑이었다: 조각가 전뢰진의 삶과 예술』을 비롯하여 『고종희의 일러스트레이션 미술탐사』 『미켈란젤로를 찾아 떠나는 여행』 『천재들의 도시 피렌체』가 있다. 공저로는 『인생교과서 미켈란젤로』 『서양미술사전』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줄리오 페라리의 『형태와 색채의 양식』(전 4권), 스테파노 추피의 『깊게 보는 세계 명화』가 있으며, 한길사에서 펴낸 조르조 바사리의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전 6권)에 해설을 썼으며 르네상스 미술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2015년 밀라노세계엑스포를 기념해 밀라노국립미술대학의 마리아 만치니(Maria Mancini) 교수와 ‘THE WOLF AND THE TIGER’를 밀라노 주립미술관에서 개최한 것을 비롯해 다수의 전시를 기획했다. 현재 한양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며,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문화예술위원회 위원이다.
펼치기
강영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를 졸업하고 파리I대학 조형미술대학원에서 예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7년 이후 서울대 미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사 논문으로 『파울 클레의 작품에서 기호의 문제』를 썼으며, 「문자와 이미지의 관계를 통해 본 현대 화가들의 전략」, 「19세기 프랑스 미술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과 민족성 문제」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 「미지의 기호를 찾아서」, 『李聖子, 예술과 삶』(2007, 공저), 역서로 『앙리 포시용의 형태의 삶』(2001)이 있다.
펼치기
최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홍익대 산업디자인학과와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90년대 초 대학원을 마친 이후 지금까지 크게 두 갈래의 삶을 살아왔다. 평론가와 운동가. 전자는 월간 <디자인> 편집장으로 시작하여 미술, 공예, 디자인 등 시각예술 전 분야에 걸친 비평 활동과 함께 대학 강의, 전시 기획, 각종 공공부문의 정책 참여 등으로 이루어졌다. 후자는 1990년 대의 10년간 민족미술협의회(민미협) 편집실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 편집실장 및 부설 문예아카데미 기획실장 등 민중문화운동, 2000년대의 10년간 문화연대 회원, (사)미술인회의 이사장, 희망제작소 부설 간판문화연구소 소장 등 시민문화운동으로 밟아왔다. 이후 10여 년간의 휴지기를 가진 뒤 현재 한국 근대연구 모임인 서래포럼 대표, 자유우파 문화운동 단체인 (사)문화자유행동 공동대표, 민주화운동동지회 회원으로 활동을 재개하고 있다. 여기에는 문재인 정권을 거치면서 기존의 좌파 정체성에 심각한 회의를 갖고 자유우파로의 사상적 전회를 한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저서로는 『문제는 근대다』 외 여러 권이 있다.
펼치기
정연심 (옮긴이)    정보 더보기
뉴욕대학교에서 예술행정과 근현대미술사, 비평이론을 공부했으며, 뉴욕대학교 인스티튜트 오브 파인 아츠(Institute of Fine Arts, New York University)에서 미술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 개최된 <백남준 회고전>의 리서처로 일했고 국내외에서 시각예술을 다룬 글을 쓰며 미술이론과 시각예술비평 및 전시기획에 관심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이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 《이인성 탄생 100주년 기념전》《임충섭: 달, 그리고 월인천지》《스페인 문화순례(공저)》《비평가 이일 앤솔로지》《현대공간과 설치미술》《한국동시대미술을 말하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고갱의 스커트》《비정형: 사용자 안내서》《미디어 비평용어 21》 등이 있다.
펼치기
조은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립 목포대학교 미술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 그리스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교 역사와 고고학부에서 선원근법의 기원을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Korean Painting: From Modern to Contemporary, 1945-1980s (Hollym, 2015), 『혼자 읽는 세계미술사 1, 2』(다산초당, 2015, 공저), 『서양미술사전』(미진사, 2015, 공저) 등의 저서와 『그리스 미술』(예경, 2004), 『로마 미술』(예경, 2004), 『상징과 비밀, 명화를 만나다』(예경, 2006) 등의 역서가 있다. 최근의 연구 논문으로는 「게인즈버러의 영상 상자와 18세기 광학 장치에 관한 연구」(조형교육, 2016), 「고전기 그리스 사회의 가족 개념과 이미지」(미술사학보, 2015), 「리시포스의 사례를 통해서 본 그리스 조각의 개인 양식과 논란들」(미술사학,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하지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홍익대학교 문화예술 평생교육원에 출강중이며 미술해설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키라의 박물관 여행 4)』 『오르세 미술관(키라의 박물관 여행 9)』 『서양미술사전』(공저) 등을 썼으며 『바로 보는 여성 미술사』 『인상주의 Impressionism』 『어쩌다 현대미술』 『그림이 들려주는 이야기』 『빈 미술사 박물관』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홍상현 (사진)    정보 더보기
현재 GIST(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Post-Doc. 선임연구원으로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 학문인 CT(Culture & Technology) 분야에 대한 연구와 R&D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겸임교수이다. 문학특기생으로 입학한 연세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고, 홍익대학교대학원 사진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홍익대학교대학원 사진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한양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등에서 사진과 예술에 대한 강의를 했고, 저서로 『서양미술사전(공저)』(미진사, 2015), 『미학의 외출(공저)』(흙과생기, 2010)이 있으며, 『미술관에 간 붓다』(나무를심는사람들, 2014), 『서울, 문학의 도시를 걷다』(터치아트, 2014)의 사진을 담당했다.
펼치기
김정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예술학 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홍익대학교와 용인대학교에서 강의하였다. 저서로는 『SeMA Collection 200』(공저, 서울시립미술관, 2016), 『단색화 미학을 말하다』(공저, 마로니에북스, 2015), 『서양 미술 사전』(공저, 미진사, 2015), 『비평가, 이일 앤솔로지』(공편, 미진사,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임성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훔볼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교양교육대학 교수(미학 강의 전담)로 재직 중이며 주로 미학, 미술사, 예술 이론, 문화 이론, 근현대 철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미술과 공공성」(2008), 「예술은 긍정한다 ― 니체 미학에 나타난 숭고의 계기」(2009), 「공통 감각과 미적 소통」(2011), 「예술은 철학이 되었는가?」(2012), 「칸트 미학이 대중의 현대미술 감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2014), 「모세스 멘델스존의 미학」(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대학(Paris-Est)에서 장 루이 코엥(Jean-Louis Cohen) 교수의 지도 하에 프랑스 1960-1970년대 건축 문화의 변화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숭실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양대학교에서 박사 후 국내연수 수행 중이다. 프랑스 건축 잡지의 사회-문화적 역할에 관한 논문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송현논문상을 수상(2012)했고, 20세기 이후 대중 사회와 건축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손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수 |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예술학과와 대학원 미술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종교개혁 미술에 관한 글로 「루터는 미술에 반대하였는가」, 「종교개혁과 16세기 화가들」, 「17세기의 종교미술」을 『기독교 사상』 (2016년 3, 4, 5월)에 기고하였고, 종교미술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펼치기
윤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대학에서 미술사학, 문화학, 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 미술사학과에서 현대 미술 전공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객원 연구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 고려대, 중앙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Tanz in der deutschen Kunst der Moderne: Wandlungen des bewegten Korperbilds zwischen 1890 und 1950(2007)가 있으며, 「생태주의로 본 요셉 보이스의 미술」, 「쇤베르크의 무조음악과 칸딘스키의 추상」, 「쿠르트 슈비터스의 메르츠바우에 나타난 균열된 일상의 기억」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전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에서 미술사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민속학, 사회학 부전공). 현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몸 이미지 권력』(2010, 공저),『천사』(2007, 공저)가 있으며,「그림과 틀(frame) : 뒤러의 란다우어(Landauer) 제단화 다시 보기」,「문밖에 서 있는 악마들 : 무아삭 수도원 교회 포탈에서의 기능과 의미」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은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원대학교 명예교수, 서양 중세와 르네상스 미술사학자. 홍익대학교 서양화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하였고, 이탈리아 피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세와 르네상스 미술을 통해 보는 여성상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은 책으로 『르네상스 미술과 후원자』, 『서양미술사』(공저), 『욕망하는 중세』, 『권력이 묻고 이미지가 답하다』, 『중세의 침묵을 깬 여성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클릭 한 번이면 원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 시대에 종이 사전을 간행하다니, 어쩐지 구태의연한 느낌마저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니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정식 사전이 필요하다. 익명의 수많은 정보는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미술 전문 사전을 찾아보면 너무 오래전에 출판되었거나, 번역체 문장에 고개를 돌리게 된다. 이러한 풍요 속 빈곤이라는 현실적인 답답함에서 이 사전 작업은 시작되었다. …… 녹록지 않은 집필 일정과 촉박했던 출간 기한 등으로 인해 기획 당시의 의도가 다 이루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이 정도 방대한 내용을 함께 담아냈다는 것만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최신의 믿을 만한 지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뜻깊은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머리말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