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가르치는 민주주의를 넘어)

홍윤기, 호야, 하승우, 쥬리, 조영선, 조성실, 정은균, 정용주, 이정희, 오진식, 배이상헌, 박복선, 박동준, 밀루, 공현, 고영주 (지은이)
교육공동체벗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000원 -10% 350원 5,950원 >

책 이미지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가르치는 민주주의를 넘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800429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7-10-30

책 소개

현재 민주주의교육의 한계를 되짚어보고, 민주시민교육 방법론을 넘어 학교가 민주주의를 실천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제언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민주주의와 민주주의교육, 그 영원한 떨림

1부 / 학교는 민주주의를 원하는가

학교와 민주주의? | 박복선
민주주의는 탁월함에 대한 저항이다 | 정용주
실패 없는 민주주의는 없다 | 하승우
없으면 절대 안 되는 정치와 권력을 왜 안 가르치나 | 홍윤기

2부 / 교육과 민주주의, 그 사이의 긴장들

‘학급공동체’에 대한 동상이몽 | 조영선
학교는 모든 문제를 꼭 해결해야 하는가 | 이정희
나는 민주적인 교사가 아니다 | 조성실
우리는 평등해질 수 있을까 | 박동준

3부 / 민주주의를 교육하라?

파인 홈을 지우는 민주시민교육 | 고영주
민주시민교육을 그만두는 것이 가장 민주적이다 | 호야
당신은 나를 민주 시민으로 만들 수 없다 | 밀루
학교에 ‘진짜’ 민주주의교육을 허하라 | 정은균

4부 / 가르치는 민주주의를 넘어

먼저 민주주의를 묻는다 | 쥬리
학교 민주주의, 학생의 정치적 권리 보장 없이는 불가능하다 | 오진식
학교는 ‘정치판’이 되어야 한다 | 공현
학교 민주주의, ‘학생 사회’를 상상하라 | 배이상헌

저자소개

홍윤기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철학과 명예교수.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최우등점(summa cum laude)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은 책으로 《변증법 비판과 변증법 구도》(박사학위논문), 《하버마스의 사상》(공저), 《한국 도덕윤리 교육 백서》(편저) 등, 옮긴 책으로 하버마스의 《이론과 실천》, 《의사소통의 철학》 및 막스 베버의 《힌두교와 불교》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조성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서울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고 공부하는 것을 가장 큰 행복으로 여기며, 체육 시간에 아이들과 함께 놀거나 수학 놀이하는 시간을 아주 좋아한다. 저서로는 수학 학습 지도서 〈아이들과 함께하는 놀이수학〉이 있다.
펼치기
하승우 (해제)    정보 더보기
정치학을 전공했고 현재 이후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여러 시민 단체의 회원이기도 합니다. 불평등한 사회에서 이점을 누리는 것보다 평등한 사회에서 불이익을 감수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며 살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청(소)년 정치 참여 길라잡이》(공저)《공정함 쫌 아는 10대》《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시민권 이야기》등이 있고, 번역한 책으로는 《래디컬 데모크라시》(공역)《프루동 평전》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공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투명가방끈 활동가. 고등학생 때부터 청소년인권운동을 쭉 해 왔으며 그 와중에 대학거부와 병역거부도 했다. 청소년인권운동은 10대만이 아니라 어린이도 포함해 나이 어린 사람들의 인권을 말하는 운동이라고 생각하며 책을 기획하고 글을 썼다.
펼치기
박복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크리킨디센터 전환교육연구소 소장. 전교조 결성으로 해직되면서 선생을 하지 않아도 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복직한 학교를 나온 것도 그 덕분입니다. 《우리교육》에서 편집장을 했고, 성미산학교에서 교장을 했고, 지금은 크리킨디센터 전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있습니다. 경계를 넘나드는 재미로 살고 있습니다. 저서로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공저)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박복선의 다른 책 >
쥬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0대일 때 페미니즘을 접했고 청소년운동을 시작했다. 청소년 해방을 향한 목소리와 운동을 만들고 싶다. 청소년인권연대 추진단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연애와 사랑에 대한 십 대들의 이야기》, 《소녀들》 등을 함께 썼다.
펼치기
배이상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등 교사 chamtear@hanmail.net 어눌하지만 진실한 교육 해방의 방랑자, 성평등의 미래를 꿈꾸는 원시인, ‘차이’를 하나님으로 섬기며 나누기를 갈망하는 도덕윤리 교사. 학급과 학교에 걸쳐 학생 사회를 회복해 내는 것이 교사상과 교육의 제자리 찾기를 위한 알파와 오메가라고 생각한다. 자치공동체교육을 교육의 지향으로 꿈꾼다. 함께 쓴 책으로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이 있다.
펼치기
조영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년 차 고등학교 국어 교사. 5년 차부터 학생 인권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2010년 서울에 학생 인권 조례가 생길 때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하게 된 지 벌써 10년이 되었다.
펼치기
정은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군산영광중학교 교사 중.고등학교 국어 교사로 살고 있다. 학교 민주주의와 학생 인권에 대한 관심이 크고, 수업 시간에 글쓰기와 독서 교육에 애쓰고 있다. 최근에는 교사, 시민과 함께하는 ‘글쓰기의 민주주의’를 깊이 고민하고 있다. 좋은 책을 읽고, 이런저런 잡다한 글을 쓰는 게 큰 즐거움 중 하나다. 글쓰기 사이트(브런치)와 사회 관계망 서비스(페이스북)에서 세상 사람들을 만나 소통하고 있다. 그동안 펴낸 책으로 『나의 교육 고전 읽기』, 『학교 민주주의의 불한당들』,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시 공부의 모든 것』, 『국어와 문학 텍스트의 문체 연구』, 『국문 서사체의 문체론』, 『한글이야기』 들이 있다.
펼치기
호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소년활동가 neojacobin@naver.com
펼치기
이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등 교사 bluejh04@hanmail.net
펼치기
오진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jinsik105@naver.com
펼치기
박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등 교사 amoo1019@naver.com
펼치기
고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등 교사 ericrow@hanmail.net
펼치기
밀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에서 중학교 졸업할 무렵부터 4년째 활동 중이다. 이렇게 오래할 줄 몰랐는데, 이제는 어떻게 그만둘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 아주 옛날부터 글을 쓰면서 살아가고 싶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본래 민주주의는 아르케(arche, 원리)를 갖지 않는다. 이것은 민주주의가 인민에 의한 지배라는 원리 이외에는 속이 비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평등, 자유, 권리, 관용 등의 가치는 교육을 통해 채워야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민주주의와 민주주의교육 사이의 긴장이 발생한다.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라고 하여 인민에 의한 지배라는 원칙이 훼손당해서도 안 되지만, 민주주의에 대한 교육 없이 속이 빈 민주주의는 지속되기 어렵다. 특히나 지금처럼 어마어마하게 복잡해진 사회에서 민주주의는 교육받고 사려 깊고 민주적인 감각을 지닌 인민을 필요로 한다. 민주주의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에 필요한 교육을 받은 인민이 존재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교육에는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판단력이 포함된다.
이는 교육이 민주주의에 늘 내재된 것은 아니지만, 민주주의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민주주의교육은 인민에 의한 지배라는 민주주의의 이상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시민의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가 서로 만나면서 긴장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점에서 민주주의를 가르친다는 것, 그리고 민주주의를 넘어선다는 것은 영원한 떨림이다.
- 〈책을 펴내며〉


민주주의가 ‘민중의 힘’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좋은 교육은 그 자체로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가 학교에서 민주주의를 꽃피우지 못하는 것은 좋은 교육을 하지 못하는 이유와 다를 게 없다. 좋은 교육을 할 수 없게 하는 사회, 그리고 그에 순응하는 학교가 문제다. 물론 여기서 학교는 바로 우리다.
- 박복선, 〈학교와 민주주의?〉


본래 민주주의는 탁월함에 저항하는 것이다. 탁월한 소수의 사람들만이 나라를 다스리고 정치를 하는 것에 저항하는 것이다. 자격이 없다고 여겨져 온 사람들이 평등하게 권리를 주장하는 것으로부터 정치는 시작된다. 정치는 열등한 존재에 대한 우월한 존재의 지배를 전제하는 아르케(arche) 논리와의 단절이며, 유식한 정신과 무지한 정신, 똑똑한 자와 바보 같은 자로 분할되어 있는 신화 속에서 무지하고 바보 같다 여겨지는 자에게서 정치의 가능성을 찾는 일이다. 그러므로 정치의 조건은 평등이고, 평등은 해방을 향해 나아간다. 스스로 지능에서 열등하다고 믿는 자들을 일으켜 세우고, 그들을 그들이 빠져 있는 늪, 즉 자기 무시의 늪에서 빼내는 것이 바로 교육이 해야 할 일이다.
- 정용주, 〈민주주의는 탁월함에 대한 저항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8801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