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와 2분의 1

2와 2분의 1

(사람의 이혼 이야기, 여류 소설가 9)

배수아, 서하진, 이청해, 정길연, 차현숙, 박정요, 정지아, 은미희, 권지예 (지은이)
문학의문학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와 2분의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와 2분의 1 (사람의 이혼 이야기, 여류 소설가 9)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88943103507
· 쪽수 : 351쪽
· 출판일 : 2008-12-31

책 소개

소설가 9사람이 서로 다른 목소리로 이혼을 이야기한다. 이 시대에 여자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묻기도 하고, 한 순간의 실수로 돌이킬 수 없는 회한을 토로하기도 한다. 또 갈라섬 뒤에 남는 현실과 울퉁불퉁하는 철없는 젊은 이혼의 단상을 이야기하고, 중년의 묵고묵은 감정의 골을 일탈이라는 행위로 터트리기도 한다.

목차

첫 번째 이야기...... 2와 2분의 1-차현숙
두 번째 이야기...... 양갱-정지아
세 번째 이야기...... 울산엄마-정길연
네 번째 이야기...... 안개 속의 과녁-박정요
다섯 번째 이야기....... 산장카페 1km-권지예
여섯 번째 이야기....... 새들은 어디로 갔을까-은미희
일곱 번째 이야기....... 병든 애인-배수아
여덟 번째 이야기....... 그림자 여행-서하진
아홉 번째 이야기....... 머물고 싶은, 떠나고 싶은-이청해

저자소개

배수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소설가이자 번역가. 1993년 『소설과사상』에 「천구백팔십팔년의 어두운 방」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밀레나, 밀레나, 황홀한』 『올빼미의 없음』 『뱀과 물』 『멀리 있다 우루는 늦을 것이다』 『작별들 순간들』 『속삭임 우묵한 정원』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페르난두 페소아 『불안의 서』, 프란츠 카프카 『꿈』, W. G. 제발트 『현기증. 감정들』 『자연을 따라. 기초시』,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달걀과 닭』 『G.H.에 따른 수난』, 아글라야 페터라니 『아이는 왜 폴렌타 속에서 끓는가』 등이 있다. 2024년 김유정문학상, 2018년 오늘의작가상, 2004년 동서문학상, 2003년 한국일보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서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경희대 국문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9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으며, 소설집으로 『책 읽어주는 남자』 『라벤더 향기』 『사랑하는 방식은 다 다르다』 『비밀』 『요트』 『착한 가족』이, 장편소설로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나나』가 있다. <한무숙문학상> <김준성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1년 현재 경희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서하진의 다른 책 >
이청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중편소설 「강」으로 KBS 방송문학상을 수상했다. 이듬해 《세계의 문학》에 단편소설 「빗소리」를, 《문학사상》에 단편소설 「하오」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장편소설 『초록빛 아침』, 『아비뇽의 여자들』, 『체리브라썸』, 『오로라의 환상』(전2권), 『그물』, 『막다른 골목에서 솟아오르다』가 있으며 소설집 『빗소리』, 『숭어』, 『플라타너스 꽃』, 『악보 넘기는 남자』, 『장미회 제명 사건』을 비롯해 장편동화 『내 친구 상하』 등이 있다. 사진출처 : (c)허명욱
펼치기
정길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에서 글쓰기를 고민했다. 1984년 중편소설 「가족수첩」으로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다시 갈림길에서』, 『쇠꽃』, 『나의 은밀한 이름들』, 『우연한 생』, 『달개비꽃』 등 다수의 소설집이 있다. 『내게 아름다운 시간이 있었던가』, 『변명』, 『그 여자, 무희』, 『달리는 남자 걷는 여자』 등 다수의 장편소설이 있으며, 그 외에 다수의 산문집과 장편동화가 있다. 2016년 가톨릭문학상 본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차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4년 「소설과사상」에 단편소설 「또 다른 날의 시작」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나비, 봄을 만나다』(1997) 『오후 3시 어디에도 행복은 없다』(2000) 『자유로에서 길을 잃다』(2008), 장편소설 『블루 버터플라이』(1996) 『안녕, 사랑이여』(2002)를 펴냈다.
펼치기
박정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9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 중편소설「무적(霧笛)」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 시작. 장편소설 <어른도 길을 잃는다> 등.
펼치기
박정요의 다른 책 >
정지아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전라남도 구례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9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어른들을 위한 소설로는 『아버지의 해방일지』, 『빨치산의 딸』, 『행복』, 『봄빛』, 『숲의 대화』, 『자본주의의 적』 등을 썼습니다. 어린이를 위한 책으로는 『하늘을 쫓는 아이: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 권기옥』, 『노구치 이야기』, 『임종국, 친일의 역사는 기억되어야 한다』 등이 있습니다. 만해 문학상, 이효석 문학상, 김유정 문학상, 오영수 문학상, 한무숙 문학상 등을 수상하였습니다.
펼치기
은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9년 문화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 「다시 나는 새」 당선. 삼성문학상 수상. 광주대학교 인문사회대학 문예창작학과 및 같은 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졸업. 동신대 한국어교원학과 박사과정 수학. 소설집 『만두 빚는 여자』, 장편소설 『소수의 사랑』ㆍ『바람의 노래』ㆍ『18세, 첫경험』ㆍ『바람남자 나무여자』ㆍ『나비야 나비야』ㆍ『흑치마 사다코』 등 출간. 전 동신대 강사.
펼치기
은미희의 다른 책 >
권지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7년 〈라쁠륨〉으로 등단했다. 작품으로는 장편소설 《사임당의 붉은 비단보》, 《유혹 1~5권》, 《4월의 물고기》, 《붉은 비단보》, 《아름다운 지옥 1, 2》, 소설집 《베로니카의 눈물》, 《퍼즐》, 《꽃게무덤》, 《폭소》, 《꿈꾸는 마리오네뜨》, 그림소설집 《사랑하거니 미치거니》, 《서른일곱에 별이 된 남자》, 산문집 《권지예의 빠리, 빠리, 빠리》, 《해피홀릭》 등이 있다. 2002년 이상문학상, 2005년 동인문학상을 받았다.
펼치기
권지예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선인장은 베란다에 놓여 있고 무열은 주방에서 치즈를 넣은 오믈렛을 만들고 있었다. 나는 무열의 아들 군에게 스웨터와 코트를 입히고 우유를 마시게 했다. 군은 여섯 살이었다. 결혼이 갑자기 실패로 끝나고 만 다음 무열은 군을 맡아서 돌봐 줄 시설을 구하기 위해서 별 고생을 다 했다. 24시간 운영하는 탁아소를 간신히 찾아냈을 때 이제 한숨 돌리겠구나 했는데, 아이는 위탁되는 물건이 아니었던 모양이다. 군은 밤이나 낮이나 울고,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지도 못했고, 보모들을 괴롭혔고, 탁아소에서 주는 밥을 먹지 않았다. 그래서 상사들과 술을 마시거나 지방으로 출장을 가 있거나 월요일 아침 일곱 시의 미팅에 참석해 있는 무열의 전화기가 사정없이 울리게 했다. 화가 머리끝까지 난 무열은 군을 힘껏 때렸다. 그래서 여섯 살 난 아이가 엄마를 찾아간다고 가출을 시도한 적도 있었다. 군 때문에 무열도 속이 상했다. 그러나 무열은 여섯 살 난 아이가 엄마에게서 바라는 것이 되어 줄 수는 없었다. 삼 개월 동안의 그런 처절한 전쟁 같은 얘기를 다 쏟아 놓은 다음에 무열은 한숨을 쉬었다.
“군은 보육 시설을 싫어하는 거야. 그러니까 심술을 부리는 거지. 자기가 나를 괴롭힐수록 엄마가 빨리 돌아올 거라고 믿고 있는 거야. 그러니까 어린 게 영악하기만 해서 잔머리를 굴리고 있어. 미치겠다. 나는 자정 전에는 집에 올 수가 없는데."
“글쎄. 난 너보다 빨리 퇴근하니까, 가끔이라면 아이를 봐 줄 수는 있어."
나는 귀를 만지면서 마침내 이렇게 말해 주고 말았다.
“그래 준다면 내가 너에게 선인장을 줄게." - '병든 애인(배수아)' 중에서


남편과 난 아주 평범하고 평온한 부부였어요. 마치 ‘사랑의 추억’에 나오는 쟝과 마리처럼. 그에게 여자가 생긴 걸 알고부터 내 안에 그렇게 큰 분노가 숨겨진 걸 알고 당황한 것은 오히려 나였으니까요. 남편은 우유부단했어요. 우유부단함, 그것은 남자로서 취할 수 있는 최악의 방법이었어요. 나는 견딜 수가 없었지만, 남편은 여자와 헤어지는 것도 이혼도 원치 않았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나는 남편을 받아들일 수 있게 내 마음이 변하는 것을 느꼈지요. 난 이미 오래전부터 남편을 용서하고 있었던가 봐요. 그 말을, 그 표현을 못했던 것뿐이지. 폭우가 쏟아지던 밤, 남편의 차가 교량을 들이받으며 범람하던 강물 속으로 뛰어드는 사고가 나지 않았다면 이제는 난 남편을 용서하고 좀 더 평안해졌을까요? 아니, 남편의 시신을 강물 속에서 찾아내기라도 했다면 지금의 내가 좀 더 달라져 있을까요? 난 그날 남편이 내게 오고 있는 줄도 몰랐지요. 그렇게나 비가 쏟아지는 날 말이에요. 남편을 용서할 수 없어 뛰쳐나왔던 내게, 갑자기 왜 남편은 그 새벽에 나를 향해 차를 몰고 왔던 걸까요? 참 이상한 일이죠? 왜 또 그 시간에 나는 잠들지 못하고 그를 용서한다는 편지를 썼을까요…… 그 편지란 어쩌면 내 아픔에서 벗어나고자 쓴 안간힘이었는지 모르지만……. 그 새벽, 남편은 홍수가 난 강물로 그렇게 사라졌어요. 그러니 시간은 거기서 영원히 멈추어버린 채 나는 남편을 영영 용서할 수 없게 되어 버렸지요. 그것이 더 큰 고통이 되어 내게 부메랑처럼 돌아오고. 아아, 결국 누군가를 용서하지 못하는 것은 이 세상에서 받는 가장 큰 천형이에요. - '산장카페 설국 1km(권지예)'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