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내 인생의 취재기

내 인생의 취재기

(기자와 PD, 세상을 기록하다)

강기석, 김보근, 김준범, 박래부, 안종주, 오기현, 원희복, 유숙열, 윤승용, 이승호, 이채훈, 조병래, 조성호, 최홍운 (지은이)
자유언론실천재단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내 인생의 취재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내 인생의 취재기 (기자와 PD, 세상을 기록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인
· ISBN : 9791196810511
· 쪽수 : 271쪽
· 출판일 : 2019-10-10

책 소개

1979년 야학 시설 폐쇄와 민주 인사 석방 취재기부터 1980년 광주민중항쟁, 1987~1988년 민주화대투쟁, 2003년 북한 신천박물관 취재, 2005년 조용필 평양 공연, 그리고 2016년 촛불혁명 현장 취재기까지를 다루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박래부 금지와 감금의 시대
1979 야학 시설 폐쇄와 민주 인사 석방

조성호 보도되지 못한 기사
1980 광주민중항쟁

김준범 그날 광주에 있었다
1980 광주민중항쟁

조병래 영화 속 1987, 현실 속 1987
1987 6월항쟁

윤승용 노동자의 권리 찾기와 언론의 민주화
1987 노동자대투쟁과 언론노조의 부활

안종주 세상을 바꾼 직업병 참사
1988 원진레이온 직업병 참사

이승호 ‘삼청교육대 수기’를 대필하다
여자 삼청교육대 증언

최홍운 세계의 개혁 현장에 가다
1993 남미 4개국 개혁 현장

유숙열 여기자에서 페미니스트 기자로
1997 <페미니스트 저널 if> 창간

이채훈 혐오와 거짓은 민주주의가 아니다
2002 미국 9·11 그 후 1년

김보근 ‘두 개의 역사’를 보여주는 박물관
2003 황해도 신천박물관

강기석 죽음의 공포와 고독감
2004 이라크 전쟁 종군기

오기현 가수, 평양에 서다
2005 조용필 평양 공연

원희복 촛불 광장을 기록하다
2016 촛불혁명

저자소개

원희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향신문>에서 주로 정치, 공무원, 재난 관련 기사를 많이 썼다. 특히 ‘원희복의 인물탐구’라는 제목으로 모두 211명 인물의 내면을 탐구하는 연재물을 썼다. (재)자유언론실천재단 기획편집위원장을 지냈고, 현재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기관지 <민족화해> 편집인, (사)민족일보기념사업회 이사장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 《민족일보 사장 조용수 평전》(1995), 《국가가 알려주지 않는 공무원 승진의 비밀》(2011), 《한국인 안전사전》(2013), 《보물선 돈스코이호 쫓는 권력 재벌 탐사가》(2015), 《사랑할 때와 죽을 때》―한·중 항일혁명가 부부 김찬 도개손 평전(2015), 《르포히스토리아》―서대문형무소에서 팽목항까지(2016), 《촛불민중혁명사》(2018) 등이 있다.
펼치기
박래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났다. 서울고등학교, 국민대학교 법학과,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게이오(慶應)대학 신문연구소에서 공부했다. 한국일보 사회부·외신부·문화부 등에서 근무했고, 부국장 겸 문화부장, 심의실장, 논설위원실장 등을 거치며 ‘박래부칼럼’을 썼다. 언론 현장을 떠난 뒤 한국언론재단 이사장, 새언론포럼 회장을 지냈다. 지금은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로 있다. 저서로『작가의 방』, 『김훈·박래부의 문학기행』, 『한국의 명화』, 『화가 손상기 평전』,『분노 없는 시대, 기자의 실존』, 『좋은 기사를 위한 문학적 글쓰기』 등이 있다.
펼치기
안종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진해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에서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삼성에서 유전공학을 연구했다. 1983년부터 일간지 기자로서 언론인 생활을 시작했으며 기자로 있으면서 보건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민(초등)학교 시절 우연히 전국순회동시대회에 참가해 입상한 것이 계기가 돼 학창시절 시인이 되는 꿈을 꾸어왔다. 그리고 마침내 50여 년의 세월이 흘러 첫 시집을 냄으로써 그 꿈을 이루게 됐다. 그는 올해 안으로 두 번째 시집을 낼 예정이다. 이와 함께 그가 오랫동안 해왔던 사회 비평을 중심으로 가짜뉴스, 음모론, 사이비 과학의 실체를 파헤치는 언론인으로서, 전문가로서의 작업과 저술도 계속할 것이다. 그의 대표적 저술로는 <빼앗긴 숨> <석면, 침묵의 살인자> <인간 복제, 그 빛과 그림자> <위험 증폭 사회> <한국 의사들이 사는 법> <에이즈 엑스화일> <코로나 19, 인간과 인간의 전쟁> <인포데믹 도는 정보감염병> <코로나19와 감염병 보도 비평> 등이 있다.
펼치기
강기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에서 정치외교학, 언론홍보대학원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했다. 1977년 《경향신문》에 입사해 편집국장(2002∼2003)을 지냈고, 신문유통원장(2005∼2008), 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2018∼2021)을 지냈다. 지금은 〈시민언론 민들레〉의 상임고문 겸 칼럼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2015년에 걸친 검찰의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표적수사와 재판 과정을 빠짐없이 기록하고 검언유착의 참담한 실상을 고발한 《무죄-한명숙의 헝거게임》(2016)을 펴냈다.
펼치기
오기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한 전문 피디. 한국피디연합회 통일특위위원장. 경주문화재단 대표이사. 1998년 이래 평양, 신의주, 개성, 금강산 등 북한을 28차례 다녀왔다. 1999년, 최초로 남북한 당국의 공식 승인을 받아 다큐멘터리 <조경철 박사의 52년 만의 귀향>을 연출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2000년 ‘SBS 8뉴스’ 팀이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4일간 진행한 SBS <평양 뉴스 2000>을 기획했다. 2005년 <조용필 평양 공연>을 기획하고, 그 전 과정을 다큐멘터리로 엮은 <조용필, 평양에서 부르는 꿈의 아리랑>을 연출했다. 2018년 5월, 북한 장마당의 실태와 김정은 위원장의 경제개혁 전망을 분석한 ‘SBS 스페셜’ <84년생 김정은과 장마당세대>를 공동 제작해 통일언론대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그해 여름, 그들은 왜 조용필을 불렀나?》 《평양 걸그룹 모란봉 악단》 등이 있다. 성균관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에서 통일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 CBS 피디로 입사해 <시사자키, 오늘과 내일> 등을 연출했다. 1991년 SBS 창사 멤버로 참여해 <출발 모닝와이드> <혈액형의 진실> <물은 생명이다> 등을 연출했으며, <그것이 알고 싶다> 팀장을 지냈다. 한국피디연합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피디연합회 통일특위위원장으로 피디들과 함께 새로운 남북 방송 교류를 모색하고 있다.
펼치기
김보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한겨레평화연구소장,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사무처장 2019년 현 한겨레 섹션 <서울&> 편집장, 북한연구학회 이사
펼치기
윤승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 한국일보 정치부장·사회부장, 국방홍보원장, 노무현 정부 청와대 홍보수석 2019년 현 남서울대학교 총장, (재)한국기원 부총재, 노무현재단 운영위원 지은 책으로는 『다시, 원칙과 상식 위에 선 대한민국을 꿈꾸며』, 『언론이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 『10권의 책으로 노무현을 말하다』(공저), 『신세대, 그들은 누구인가』(공저) 외 다수가 있다. 옮긴 책으로는 『전쟁, 총, 투표』(공역), 『약탈 당하는 지구』(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유숙열 (옮긴이)    정보 더보기
표지의 중심 인물이 바로 저자 유숙열이다. 합동통신 기자로 재직 중 1980년 5·18 관련 포고령 위반으로 강제해직 당하고 결혼 후 남편과 함께 미국으로 가게 되었다. 〈미주조선일보〉에서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일하면서 헌터컬리지와 뉴욕시립대 대학원에서 여성학 석사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흑인 페미니스트 시인 ‘오드리 로드’를 만나 그녀의 제자가 되어 시를 쓰게 되었다. 그렇게 뉴욕에 사는 동안 나는 기자(미주조선일보: 1984-1990)와 학생(헌터컬리지와 뉴욕시립대 대학원:1984-1991) 신분을 유지하면서 일과 육아 그리고 공부까지 세 가지를 병행하는 워킹맘 학생으로 정말 바쁘게 살았다. 한국으로 돌아와 ‘유숙열’로 이름을 고쳐 사용하며 1991년부터 2004년까지 〈문화일보〉에서 국제부 차장, 생활건강 부장, 여성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2003년~2006년 2기 방송위원회 위원이었다. 1997년에 페미니스트저널 이프를 창간했고 2017년에는 〈이프북스〉 출판사를 설립해 현재 대표이다.
펼치기
최홍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언론중재위원회 수석부위원장. 서울신문 편집국장, 논설실장 역임. 경북 영천 출생으로 사제가 되기 위해 신부 수업을 받다가 신문 기자가 되었다. 말씀으로 세상을 구하는 교회와 진실로 써 세상을 이끄는 언론의 사명이 같다고 믿고 진로를 바꿨으나 그 사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매일 반성하며 살아간다.
펼치기
김준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동양방송(TBC) 기자, 중앙일보 정치부장대우, 국방홍보원 원장 2019년 현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공동대표,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
펼치기
이승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엔터프라이즈 기자, 스포츠조선 기자 2019년 현 NS 홈쇼핑 상무, 자유언론실천재단 기획편집위원
펼치기
이채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MBC PD 2019년 현 한국PD연합회 정책위원
펼치기
조병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동아일보 기자, 동아닷컴 콘텐츠부장, 국정홍보처 포털운영단장, 서울시 시민감사관 2019년 현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사외이사
펼치기
조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한국일보 전국부장, 뉴시스 편집국장 이사,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장, 새언론포럼 초대 회장 2019년 현 자유언론실천재단 감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