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억하는 인간 호모 메모리스

기억하는 인간 호모 메모리스

(기억과 망각에 관한 17가지 해석)

이진우, 김진택, 김기흥, 한상훈, 박상준, 김민정, 윤혜신, 우정아, 신혜수, 고정휴, 육영수, 김춘식, 정근식, 김정기, 임경순, 강봉균, 한승기 (지은이)
책세상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억하는 인간 호모 메모리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억하는 인간 호모 메모리스 (기억과 망각에 관한 17가지 해석)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0138923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4-10-31

책 소개

다양한 문제설정과 주제, 방법론 등을 바탕으로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유효한 기억과 망각에 관한 해석들을 담고 있다. 기억과 망각은 우리의 삶을 주조하고, 우리 삶에 동반하며, 우리 사회의 성격을 문화적으로 구성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
기억과 망각에 관한 17가지 해석

1장 기억과 망각의 삶 :
살기 위해 잊고 살기 위해 기억한다
기억의 병과 망각의 덕 _ 이진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기억과 재기억 그리고 분열과 생 _ 김진택 (포스텍 창의IT융합공학과)
망각의 병리화와 의료화 현상 _ 김기흥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기억과 망각의 목적 _ 한상훈 (연세대 심리학과)

2장 기억과 망각의 문화 :
기억과 망각의 예술적 탐사
문학사와 문학의 기억과 망각 _ 박상준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전쟁을 기억하는 문학의 방식 _ 김민정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에로티즘과 망각 _ 윤혜신 (연세대 국문학과)
돌이킬 수 없이 잃어버린 것에 대한 기억 _ 우정아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소리의 기억과 현대 음악 _ 신혜수 (서울대 서양음악연구소)

3장 기억과 망각의 역사 :
누가 우리의 기억을 결정하는가
봉인된 가해의 기억 _ 고정휴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기억과 망각의 투쟁 _ 육영수 (중앙대 역사학과)
역사 소환과 기억 정치 _ 김춘식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 그 궤적을 따라서 _ 정근식 (서울대 사회학과)

4장 기억과 망각의 과정 :
진화되고 있는 기억과 망각의 미로
수면과 기억의 심리학 _ 김정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기억술과 근대과학 _ 임경순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기억의 생물학적 기질 _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기억은 뇌 계산의 산물이다 _ 한승기 (충북대 물리학과)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

저자소개

이진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독일 아우크스부르크대학교에서 철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거쳐 동 대학 총장, 한국니체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포스텍 명예교수다. 지은 책으로 《니체의 인생 강의》, 《한나 아렌트의 정치 강의》, 《인생에 한번은 차라투스트라》, 《의심의 철학》, 《불공정사회》, 《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착각》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권력에의 의지》, 《인간의 조건》, 《공산당선언》 등이 있다. 고통과 불평등 속에서도 어떻게 사유해야 인간답게 살 수 있는지를 끊임없이 천착해온 이진우 교수가 AI 시대의 소크라테스를 찾아나선다. 기계는 생각할 수 있는가? 기계는 느낄 수 있는가? 기계는 의식을 갖고 있는가? 이진우 교수는 이 세 가지 질문을 던짐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AI 시대 또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조건을 성찰하게 해준다. 갈수록 인간에 가까워지는 듯한 기계를 마주하는 우리에게 소크라테스의 지혜가 필요하다는 지은이의 제안을 따라가보자.
펼치기
박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원장, 문학평론가. 전문학술서로 《현대 한국인과 사회의 탄생》,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과 이상, 최재서》, 《형성기 한국 근대소설 텍스트의 시학》 등이 있다. 그 외 문학비평집으로 《스토리 오브 스토리》, 《문학의 숲, 그 경계의 바리에떼》, 인문 교양서로 《에세이 인문학》, 《꿈꾸는 리더의 인문학》 등이 있다.
펼치기
강봉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신경생물학 및 행동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을 거쳤다. 국제 학술지 <몰레큘러 브레인(Molecular Brain)> 편집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연구대상(2007), 과학기술부 우수과학자상(2007),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술상 생명과학상(2008), 서울대학교 우수연구상(2011), 생화학분자생물학회 동헌생화학상(2012),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2018), 삼성호암상(2021)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국가과학자’로 선정됐다. 저서로는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공저) 《뇌약구체》(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시냅스와 자아》 《신경과학》(공역) 《신경과학의 원리》(공역) 등이 있다. 《내가 처음 뇌를 열었을 때》를 함께 감수했다.
펼치기
정근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전남대학교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하버드·옌칭연구소, 교토대학, 시카고대학, 타이완 중앙연구원, 베를린자유대학 등에서 방문교수로 활동했다. 한국사회사학회, 비판사회학회, 한국냉전학회, 한국구술사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해체』(2018), 『북한의 대학: 역사, 현실, 전망』(2017), 『냉전의 섬, 금문도의 재탄생』(2016), 『전쟁 기억과 기념의 문화정치: 남북한과 미국ㆍ중국의 전쟁기념관 연구』(2016) 등의 저서와 「On the Ruins: Forgetting and Awakening Korean War Memories at Cheorwon」(2017)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육영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대학원 문화연구학과, 독일유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시애틀)에서 근현대 서양지성사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어쩌다 서양사에서 출발해 한국사를 보듬어서 새로운 세계사로 갈무리하려는 모험적인 지적 항해를 한 세대 동안 계속하고 있다. 네덜란드 레이던대학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 강의파견교수(2009~2010)를 지냈으며, 미국 코넬대학교와 독일 자유베를린대학교 및 튀빙겐대학교,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등지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한국출판학술상 대상을 수상하고(2010), 한국서양사학회 회장(2018~2020)을 역임했다. 저서로 『근대유럽의 설계자: 생시몽·생시몽주의자』, 『지식의 세계사: 베이컨에서 푸코까지, 지식권력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해왔는가』, 『혁명의 배반, 저항의 기억: 프랑스혁명의 문화사』, 『책과 독서의 문화사: 활자인간의 탄생과 근대의 재발견』 등이, 공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트랜스내셔널 역사학 탐구』, 『기억은 역사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등이 있다. 최근에 쓴 논문은 「‘자랑스러운 민족’을 넘어 ‘행복한 개인’으로 살아남기: 독일 튀빙겐 한인 여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이다. 지금은 『근대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후속편(2부작)에 해당하는 『트랜스내셔널 20세기 한국문화사』를 집필 중이다.
펼치기
임경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졸업.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박사.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및 물리학과 교수(과학문화연구센터장 및 과학기술진흥센터장) 역임. 현재 포스텍 명예교수이자 포스텍 인공지능대학원 연구교수로 인공지능의 역사에 대해 강의한다. 주요 도서로 『현대물리학의 선구자』, 『과학을 성찰하다』 등이 있다.
펼치기
고정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한국근대사 전공(문학박사, 1991).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와 학부장 지냄(1990~2021). 역사학회, 한국사연구회,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등의 이사 또는 편집위원 역임. 현재는 포스텍 명예교수로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저서 집필에 몰두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2004, 학술원 우수도서, 월봉저작상), 《현순: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숨은 주역》(2016, 세종도서), 《태평양의 발견, 대한민국의 탄생》(2021), 《태평양의 발견과 근대 조선: 세계와 마주하다》(2022), 《태평양시대의 서막과 신대한의 꿈》(2023, 세종도서) 등이 있다. 한국 근대사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는 《이화장소장 우남 이승만문서》(동문편, 전 18권)와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전 51권) 편찬에도 참여했다. 작가 홈페이지: 고정휴.com
펼치기
김기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다. 서강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대학교에서 과학기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학 분야에서 사회구성론을 바탕으로 광우병으로 알려진 질병에 관한 과학자들의 연구와 지식의 구성 과정을 연구했다. 포항지진이나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인간-동물-질병의 관계를 연구하면서 팀 잉골드의 인간-동물 관계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저서로는 광우병을 포함한 프리온 질병에 관한 연구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한 ≪광우병 논쟁≫(2010)과 ≪질병의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2007)이 있다. 공저로는 ≪포항지진 그 후: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2020), ≪로보스케이프≫(2016), ≪역사 속의 질병, 사회 속의 질병≫(2015), ≪기억하는 인간 호모 메모리스≫(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윤혜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옛것을 익혀 새롭게 한다/새로운 것을 알아낸다’는 溫故而知新은 나의 모토.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방편으로 문학, 역사, 철학, 미학, 정신분석학 등을 두루 섭렵하되, 생동감 넘치는 인간을 통시적으로 관찰하기에 적합한 고전문학을 깊이 공부하였다. 특히 인간이 왜 각종 정신적 표상인 신, 여신, 귀신 등을 상상했는지 궁금하여 그 메커니즘을 연구했으며, 문학 장르의 서사적 문법과 형식을 태동시킨 역사적, 심리적 상황을 입체적으로 포착하고자 애써 왔다. 최근에는 잊을 만하면 자꾸 신경을 곤두세우는 현대 사회의 이슈에 피할 수 없는 관심을 두고 있다. 그 배경에 세계관과 심리적 욕망이 은밀한 동력으로 작동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사회적 이슈가 반영된 문학, 문화창작물에 작동하는 세계관, 심리 기제를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책도 이러한 정황 가운데 태어났다. 너 나 할 것 없이 불충분한 의사소통, 고통스러운 폭력으로 변질되는 사랑, 일찌감치 사랑과 결혼을 포기하는 모습 등을 보면서 한 줄 두 줄 써 내려갔다. 사랑만큼 사람을 귀찮도록 뒤흔드는 게 있을까? 내 인생의 고독한심한 사랑이 낳은 이 책을 당신 곁에 슬쩍 밀어 둔다. 당신의 주머니 속 작은 친구가 되고 싶다는 욕망을 숨기지 않겠다. 오랫동안 비슷한 관심의 사람들 속에서 살아왔으나 인생의 강에서 노를 젓다 보니 신라의 연오랑 세오녀처럼 두둥실 다른 문화권으로 떠가게 되었다. 이왕 여러 민족이 어우러져 사는 미국에 온 김에 시각의 지평을 넓혀 볼 심산이다. 어떤 풍경이 펼쳐질지 알 수 없으나 섬과 섬을 잇는 다리처럼 두 문화권의 소통의 다리 역할을 작게나마 할 수 있다면 바랄 것이 없으리라. 한국 대학에서 학생들과 이야기할 때와 달리 캘리포니아 대학생들과는 어떤 이야기를 나누게 될까? 언제나 지향하는 바는 실험정신에 충만한 기쁨, 편안한 열정이다.
펼치기
김춘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신대 에너지융합대학 교수, 에너지융합기술연구소 소장. 독일 함부르크대에서 역사학과 교육학ㆍ정치학으로 석사학위를, 독일과 중국관계사로 철학박사학위(서양근현대사)를 취득한 후 동 대학 역사학부 초빙교수와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독일의 문화제국주의와 중국》(Deutscher Kulturimperialismus in China), 《독일과 한국의 직업교육과 고등직업교육》 등이 있다.
펼치기
우정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에서 미술사를 가르치고 있다. 1960년대 이후의 현대미술을 연구한다. Archives of Asian Art, Oxford Art Journal, World Art, Art Journal 등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고, Interpreting Modernism in Korean Art : Fluidity and Fragmentation(New York : Routledge, 2021)을 공동 편집했으며, 지은 책으로 『오늘 그림이 말했다』(2018), 『남겨진 자들을 위한 미술』(2015), 『명작, 역사를 만나다』(2012) 등이 있다. 『조선일보』에 전문가 칼럼 「우정아의 아트스토리」를 연재하는 등 다양한 글쓰기와 강연을 통해 미술사의 대중적 소통에도 주력하고 있다.
펼치기
김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 문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로 있다. 논저로는《한국 근대문학의 유인과 미적 주체의 좌표》《한국 현대소설이 걸어온 길》(공저)〈1970년대 여성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연구〉등이 있다. 최근에는 문학에서의 윤리 문제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한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심리학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인지심리학 석사 듀크대학교 대학원 심리뇌과학 박사 듀크대학교 인지신경과학센터 박사후 연구원 현재 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심리학과 교수 40여 편의 국내외 심리뇌인지과학 논문 집필
펼치기
김진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IT융합공학과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다. 철학과 매체미학이 전공이고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몸과 이미지, 매체와 인간의 관계에 주목하는 연구를 하고 있고, Value Design, Design Thinking, ESG Problem Solving 분야로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포스텍 미래IT융합연구원 가치디자인 연구센터장, 포스텍 혁신인재4.0사업단 부단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 전문위원, 삼성멀티캠퍼스 초빙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La tension esthétique de la visibilité et de l'invisibilité dans la corporalité de Merleau-Ponty」 「The computational robotic body through reasoning of exsitiential automacity」 등 다수의 논문과 『가치를 디자인하라』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신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에서 음악학을 전공하고 베를린 자유대학교 음악학과에서 1920년대 현대음악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베를린 자유대학교와 데트몰드 음악대학교에서 연구와 강의를 했고, 2012년까지 포스텍 대우조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에 있다. 주요 논저로 Kurt Weill, Berlin und die zwanziger Jahre, Sinnlichkeit und Vergnugen in der Musik, Busoni in Berlin(공동편집) 등이 있으며, 현재 청각과 시각의 상호관계 및 아날로지에 관해 연구 중이다.
펼치기
김정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부룩에서 기억상실증에 관한 인지신경심리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심리학 교수로 있다. 기억상실증을 통해 인간의 기억에 관한 이론을 검증하는 연구를 해왔으며, 한국 최초의 신경심리학적 기억검사인 K-CVLT(김정기 & 강연욱, 1999)를 제작했다. 근래에는 수면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한승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입자물리학의 게이지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북대 물리학과 교수로 있으며, 카오스와 비선형동력학, 신경계의 동기화 현상에 대한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최근에는 복잡계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거시적 두뇌 신경계의 구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