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1세기 평화학

21세기 평화학

강순원, 김석근, 문정인, 최상용, 함택영, 현인택, 김영호, 김명섭, 한용섭, 이근, 신욱희, 전재성, 이신화, 이혜정, 김기정, 이기범 (지은이), 하영선 (엮은이)
풀빛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1세기 평화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1세기 평화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74748852
· 쪽수 : 518쪽
· 출판일 : 2002-12-31

책 소개

한국평화학회에서 펴낸 평화학회 회원들을 연구 논문 모음집이다. 21세기의 안녕과 평화를 바라는 마음에서 한국의 평화학, 평화교육, 평화운동의 이론적 기초를 세우고자 기획하였다.

목차

제1부 평화의 개념과 의미
근대 서양의 평화사상 (최상용)
이슬람의 평화사상 (문정인)
한국 전통사상에서의 평화 관념 - '사대'와 '중화'를 중심으로 (김석근)
근대 한국의 평화 개념의 도입사 (하영선)
평화학의 현황과 전망 (김명섭)

제2부 세계화시대의 평화
전쟁과 평화 - 역사와 전망 (데이비드 헬드 외)
평화의 군사안보 (한용섭)
평화와 안보의 정치경제 (라즐로 랑)
평화의 새로운 위협 - 환경, 난민, 분쟁의 역학 (이신화)
평화의 문화 구축을 위한 시론 (야누스 시모니데스 & 키쇼르 싱)
평화와 안보의 거버넌스 (글로벌 거버넌스 위원회)
평화운동의 조직 형태 - 평화문화의 모태 (엘리스 보울딩)

제3부 21세기 한반도의 평화와 동아시아
한반도 평화의 군사안보 - 이론적 접근 (현인택)
한반도 평화의 정치경제 - 군축 및 경제협력을 통한 민족공동체의 가능성 (함택영)
한반도 평화실현을 위한 사회문화적 재구성 (강순원)
한반도 평화의 거버넌스 (김기정)
한반도 평화운동과 평화교육 (이기범)

저자소개

강순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심리아동학부 명예교수이다. 2023년 2월 정년퇴임 후에는 평화교육에만 전념하며 자원활동하고 있다. 『한국교육의 정치경제학』, 『평화인권교육』, 『또래중재』, 『강순원의 대안학교기행』, 『북아일랜드 통합학교기행』, 『교육회복과 적극적 시민교육』 등의 저서와 『교육과 사회구조』, 『자본주의사회의 교육』, 『우리 시대를 위한 교육사회학 다시 읽기』, 『정동 적 평등』, 『극단주의에 맞서는 평화교육』, 『포괄적 평화교육』 등의 번역서를 출판하였다.
펼치기
김석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교수를 지냈다.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해왔으며, 아산서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양철학사, 한국정치사상, 그리고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한국정치사상사』, 『한국문화대탐사』, 『선비정신과 한국사회』 외 다수가 있다. 아울러 『일본정치사상사연구』,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마루야마 마사오: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등 일본 사상사 관련 저작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해왔다.
펼치기
문정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제임스 레이니 석좌교수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제정치학자다. 영문 계간지 〈Global Asia〉의 편집인, 한겨레 통일문화재단 이사장 등을 맡고 있다.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부터 2021년 2월까지 문재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로 활동했다. 2000년, 2007년, 2018년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에 모두 참가한 유일한 학자로, 현실에 기초해 평화를 추구하는 ‘진보 현실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메릴랜드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켄터키대학교와 윌리엄스대학교 교수직을 역임했으며, 캘리포니아대학교(UCSD)와 듀크대학교에서도 강의했다. 1994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부임했고, 2016년 정년퇴직했다. 외교·안보·통일 분야의 싱크탱크인 세종연구소 이사장, 대통령 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 김대중도서관장과 다보스포럼 교수 요원, 한반도 평화포럼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문정인의 미래 시나리오》, 《평화의 규칙》, 《일본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 《중국의 내일을 묻다》, 《The Sunshine Policy》 등 60여 권의 국영문 저서, 편저와 300여 편의 국영문 학술논문을 출간했다.
펼치기
최상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 대학 옌칭 연구소 객원교수,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장, 아세아문제연구소장, 한국정치학회장, 한국 평화학회창립회장, 주일본국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했으며,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였으며, 그리고 호세이대학, 셍케이대학 교수, 릿교대학에서 평화연구로 명예인문문학박사,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미군정과 한국민족주의』, 『평화의 정치사상』, 『정치가 정도전』, 『중용의 정치』, 『중용의 삶』, 『A Political Philosophy of Peace』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신흥국 근대화론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평화의 인식」, 「정치가 정도전 연구」, 「플라톤의 중용사상」, “Democracy and Peace in Korea”,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Asian NIES” 등이 있다.
펼치기
현인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로 지난 30여 년 동안 국제정치를 연구하고 교육해왔다. 특히 국제정치이론, 한국외교정책, 미국외교정책, 한국의 통일정책, 동아시아국제정치, 안보연구, 비전통안보연구를 가르치고 연구해왔다. 특히 지난 수십 년 동안 한미관계, 한일관계 및 한국과 동아시아 관계에 관해서 주요 Track II 회의(민관합동회의)를 기획하고 주도함으로써 한국외교정책의 수립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해왔다. 고려대 기획예산처장 및 일민국제관계연구원장을 역임하였다. 제35대 통일부장관(2009-2011) 및 대통령통일정책특별보좌관(2011-2013)을 역임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및 재단법인 국제정책연구원 이사장으로 재임 중이다. 고려대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UCLA)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최근 저서로는「헤게모니의 미래」(고려대 출판문화원, 2020)가 있으며 이외에도 영문 및 국문 저서 및 논문 수십 편이 있다.
펼치기
김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 후 미국 보스턴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이화여대 강사, 세종연구소 상임 객원연구위원을 역임한 후 2009년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한다. 저서로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 <통일한국의 패러다임>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신현실주의의 비판적 고찰>, <동아시아와 케난의 딜레마>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명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Paris 1 Panth?on-Sorbonne 대학교 박사 제19대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국제학술지 Geopolitics 편집위원 연세대 통일연구소장, 이승만연구원장 역임 [주요 논저]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및 ICAS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상을 받은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을 비롯 “Two Koreas in International History”, Northeast Asia and the Two Koreas(공저),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공저)』, 『한국외 교사와 국제정치학(공저)』, 『해방전후사의 인식(공저)』, 『한국사(공저, 국사편찬위원회)』, 『푸랜시스카 사진의 한국사 I』 등과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학회보』, 『국제정치논총』,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Issues and Studies, Korea Observer, Pacific Focus, 『韓國硏究論叢』 (復旦大學韓國硏究中心) 등에 게재한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한용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하버드대 정책대학원 석사 미국 랜드대학원 안보정책학 박사 제21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국방부 한미연례안보협의회 담당 국방부 핵정책담당관 및 남북핵통제공동위 전략수행요원 국방장관 정책보좌관 국방대 교수 국방대 부총장,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장 통일부, 외교부, 국방부, 보훈처, 합참, 육군, 해군, 공군 정책자문위원 한국핵정책학회 회장, 한국평화학회 회장, 한중 싱크넷 부회장 한·미·중 전략대화 부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노르웨이 국제문제연구소와 미국 몬테레이 비확산연구소 객원연구원 미국 랜드연구소와 유엔군축연구소 객원연구원 미국 포틀랜드대학교 및 샌디에고대학 교환교수 중국 상하이 푸단대 및 중국 외교학원, 일본 게이오대학 교환교수 現在 국제안보교류협회 회장, 우리국익가치연구회 대표경남대 초빙교수, 국방대 명예교수, 중앙일보 한반도평화워치칼럼니스트 수상 국무총리상(1992), 국제정치학회 저술상(2004) 세종문화상(외교안보통일분야)(2008), 문화관광부 우수도서(자주냐 동맹이냐, 200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국방정책론, 2012), 한국연구재단 우수학자(2015-2020) 홍조근정훈장(2012), 황조근정훈장(2020) 주요저서 『우리국방의 논리』(2019), 『북한 핵의 운명』(2018),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전정판』(2015),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2004), 『국방정책론』(2012, 2016), 『동북아시아의 핵무기와 핵군축』(2001), 『자주냐 동맹이냐』(2004, 편저), 『동아시아 안보공동체』(2005, 공저), 『미중경쟁시대의 동북아평화론』(2010, 편저), 『미일중러의 군사전략』(2018, 공저), 『신외교안보방정식』(2020, 공저) 등 South Korea’s 70 Year Endeavor for Foreign Policy, National Defense, and Unification(co-authored in 2018), Peace and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2005), Sunshine in Korea(2002), Nuclear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in Northeast Asia(1995), Conventional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1991) 등 국제공동연구 한반도 재래식 군비통제방안 연구(2019) 한미동맹의 미래 비전 연구(2005) 북한체제의 근대화 방안 연구: 목적, 방법, 적용(2003) 한반도 신뢰구축방안 연구(2001)
펼치기
이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소재)에서 정치학 석사 및 ‘미일 반도체 협정과 주권 정체성’에 관한 구성주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 교수를 거쳐 2000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학연구소 소장, 국제대학원 부원장, 국제협력본부 본부장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정치경제, 소프트파워, 테크놀로지와 국제질서이며, 정책 관련하여 남북관계, 한미관계, 미중관계, 비전통안보, 기후변화, 핵억지, 공공외교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시론을 썼다. 노무현 정부 출범과 함께 한국 최초의 온라인 네트워크형 싱크탱크인 미래전략연구원 발족에 참여했고, 2대 원장을 지냈다.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 포럼)의 한반도위원회 부위원장과 위원장을 역임했고, 동 포럼의 글로벌어젠다포럼 멤버로도 활동했다.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에서 자문위원을 지냈으며, 경기도 글로벌위원회 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이사장으로 활동하면서 테크놀로지와 미래에 관한 다양한 어젠다를 만들었다. 가장 최근에는 한국의 공공외교를 담당하는 한국국제교류재단(KF) 이사장으로 활동하면서 전 세계에 한국의 K-소프트파워를 알리는 일을 했고, 4차 산업혁명 테크놀로지와 한류 등의 대중문화를 공공외교와 문화외교에 접목하는 시도를 했다. 2012년 〈동아일보〉 선정,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된 바 있으며, 2022년에는 프랑스 라로셸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도발하라』(이와우, 2016)와 공저로 참여한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21세기북스, 2023)이 있으며 이외 국제정치 관련 다수의 국·영문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펼치기
김기정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코네티컷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 [시와 현장]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시집 [꿈꾸는 평화] [귀향] [나는 무수히 발원한다], 학술서 [김기정의 전략 디자이닝] [한국 외교 전략의 역사와 과제] [외교 정책 공부의 기초] 등, 산문집 [1800자의 시대 스케치] [풍경을 담다] [생각의 최전선] 등을 썼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을 역임했다. 지금은 사회적 협동조합인 미들클래스소사이어티(MCS) 이사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기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미국일리노이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4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교수로 근무하면서 교무처장, 입학처장, 산학협력단장으로 일했다. 미국 오리건대학교 철학과 방문교수, 한국다문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어린이어깨동무〉를 설립하여 한반도 분단의 경계를 낮추는 일에 힘쓰고 있고, 사단법인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을 통해서 새로운 교육현장을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저서로 『루소의 「에밀」 읽기』, 『남과 북 아이들에겐 철조망이 없다』, 『현대사회와 교육의 이해』(공저), 『한반도 평화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인정정의와 분배정의에 의한 능력주의 비판과 변혁방향 모색」, 「합당한 인정을 지향하는 공동탐구로서의 평화교육」, 「제도교육의 재구조화를 위한 ‘좋은’ 학교의 교육철학·문화의 비교문화연구」가 있다.
펼치기
하영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