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82223211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08-1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8
무엇을 쓸 것인가
도정일·사회: 김수이
삶의 경험에서 글감을 끌어오라 | 공포로부터의 해방, 글쓰기의 첫걸음 | 문장 훈련은 생각하기 훈련 - 수사 장치 활용하기 |‘히틀러가 죽었다’와‘독일의 심장이 멎었다’- 책과 문학에서 얻는 글쓰기의 자원 | 책읽기와 글쓰기 교육, 성숙한 시민사회의 뿌리
문학적 글쓰기는 하나의 전략이다
김훈·사회: 이문재
말하는 자만 있고, 듣는 자가 없다 | 우리 모국어의 본질은‘조사’(助詞) 에 있다 | 동어반복의 지옥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 물리적 거리, 음악성 그리고 영상적 표현 | 칼럼은 보편타당한 진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 대학을 황폐화시키는 주범은 청년 실업 문제
글쓰기로 아름다운 사회를 디자인하다
박원순·사회: 김동식
절박감과 열정, 진실이 글을 쓰게 한다 | 글은 실천하는 삶의 궤적 - 역사적 통찰력과 공공문화에 대한 관심 | 틈새 없는 실천, 글쓰기의‘즉결처분주의’|“나는 세상을 디자인해 실천하는 사람”
정확성과 경제성과 우아함, 그리고 치열성
최재천·사회: 김광일
통섭, 생물학적 합침 | 여럿이 깊고 넓게 파는 통섭학문의 시대 |“속속들이 알면 사랑한다”| 정확성과 경제성과 우아함을 살려 치열하게 쓰다 | 대학, 일생의 기초체력을 다지는 곳
고전, 현재형으로 끊임없이 다시 써야 할‘ 오래된 미래’
배병삼
왜 고전을 읽어야 하나 | 고전을‘이해’하는 길 | 고전 읽기에서 쓰기로 | 고전 글쓰기의 유의점 | 고전을 현재형으로 쓰는 법
'결핍'과 '잉여'에서 '사랑'과 '상상'으로
김수이
말하기의 욕망과 글쓰기의 욕망은 하나 |‘결핍’과‘잉여’에서‘사랑’과‘상상’으로 | 수사법, 문학적 기교 이전의 삶의 원리 | 한 줄의 문장을 잘 쓰는 능력은 한 편의 글을 잘 쓰는 능력과 다르지 않다 | 문학, 인간과 세계에 대한 질문
‘사이 공간(in-between)’으로서의 글쓰기
민승기
문화‘와’글쓰기 | 욕망의 글쓰기 | 이미지로서의 글쓰기
정확해야 아름다울 수 있다
이문재
왜 저널리즘적 글쓰기인가?|저널리즘적 글쓰기가 갖고 있는 몇 가지 미덕|기사, 노력한 만큼 잘 쓸 수 있다|개성적 글쓰기를 위한 기초체력 다지기|개성적인 글쓰기를 위한 세부지침|‘30-3-30 법칙’을 명심한다
생명공학의 사회적 의미 이해와 글쓰기
이필렬
과학과 기술의 친밀한 관계 | 인간생활을 뒤흔든 현대 과학기술 | 생명공학의 경계 흩트리기와 정체성 문제 |생명공학에 위협받는 민주주의의 미래 | 과학기술의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라
글쓰기 작업으로 구성되는 법의 세계
차병직
생활 속의 법 그물망 - ‘난장판’을‘질서’로 | 법, 인간 중심의 필요와 욕망의 산물 | 법의 현실적 적용 - ‘법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 작업’과‘경쟁하는 해석들의 각축장’|‘글쓰기 작업’으로 구성되는 법의 세계
y=f(x)로 풀어보는 사회과학 글쓰기
최태욱
사회과학 글쓰기의 기본 틀|종속변수와 설명변수 설정|종속변수 소개와 설명변수 분석|기존 주장 비판과 새로운 주장 제기|y=f(x)로 써보자
존재·삶·글쓰기
김영하·사회: 김수이
자기 즐거움과 해방감을 위한 글쓰기 |‘평범함의 콤플렉스’넘어서기, 이야기 만들기의 재미 | 소설 쓰기, 이미 쓰인 소설들에 대한 응답과 질문 | 인간의 운명에 관한 존재론적 질문과 이야기의 영속성 | 글쓰기, 삶의 무의미에 맞서는 일 | 자신감, 행복한 글쓰기와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엔진
편집자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관찰은 모든 글쓰기의 스타트 라인입니다. 관찰은 대상에 대한 집중입니다. 자신을 완전히 비우고 대상에 몰입했다가, 다시 대상으로부터 나오는 것입니다. 상상력은 이 관찰 단계에서 나옵니다.
-p.209 중에서
좋은 글은 메모지에서 나옵니다. 메모지가 ‘상상력 발전소’ 입니다. -p.210 중에서
글쓰기는 다른 공부와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자기 손으로 자기 글감을 찾고 주제를 만들거나 발견하는 기쁨, 그 발견의 기쁨과 연결돼야 합니다. -p.1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