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56620495
· 쪽수 : 108쪽
· 출판일 : 2014-11-14
책 소개
목차
76 언니를 놓치다 - 이경자
Losing a Sister - Lee Kyung-ja
77 아들 - 윤정모
Father and Son - Yoon Jung-mo
78 명두 - 구효서
Relics - Ku Hyo-seo
79 모독 - 조세희
Insult - Cho Se-hui
80 화요일의 강 - 손홍규
Tuesday River - Son Hong-gyu
<미의 사제들 Aesthetic Priests>
81 고수 - 이외수
Grand Master-Lee Oisoo
82 말을 찾아서 - 이순원
Looking for a Horse - Lee Soon-won
83 상춘곡 - 윤대녕
Song of Everlasting Spring-Youn Dae-nyeong
84 삭매와 자미 - 김별아
Sakmae and Jami-Kim Byeol-ah
85 저만치 혼자서 - 김훈
Alone Over There-Kim Hoon
86 감자 - 김동인
Potatoes-Kim Tong-in
87 운수 좋은 날 - 현진건
A Lucky Day-Hyon Chin'gon
88 탈출기 - 최서해
Escape-Ch'oe So-hae
89 과도기 - 한설야
Transition-Han Seol-ya
90 지하촌 - 강경애
The Underground Village-Kang Kyong-ae
저자소개
책속에서
병 걸리지 말고 미치지 않고 빼들빼들 말라 죽지 않으려면 죽는 걸 겁내지 말아야 하고, 죽는 걸 겁내지 않으려면 죽음과 잘 사귀어야 하는 거야. 죽음이 사람을 살리는 이치를 알아야 해. 죽은 애들이 너를 살렸듯이, 니가 살아야 걔들 죽음이 헛되지 않게 되는 거잖아. 헛되지 않으면 걔들은 살아 있는 거야. 걔들을 잊어버리면 슬슬 죽는 게 겁나고 도망치고 싶고, 그러다 보면 니가 병들어 죽어서 애도 죽는 거야. 피하지 말고 사귀어야 돼. 삼켜서 몸 안에 고이, 길이길이 간직해. 잊지 말라니까. 불망!
“If you don’t wanna get sick or go mad or shrivel up and die, you can’t fear dying. And if you don’t want to fear dying, you have to befriend death. Death needs to know why it should let you live. Your dead children saved you. If you don’t live, their death is good for nothing. As long as it’s not in vain, they still live. If you forget about ‘em, you start to fear death, and you wanna run away. Then you become sick and die. And so does the child. Don’t run from your fear. Befriend it. Swallow it up and guard it in yourself for a long, long time. Don’t forget, you hear? Don’t forget!”
-구효서, <명두> 중에서-
이제부터 완전히 다른 세상이 전개되는 것이다. 나이도 무시되고 신분도 무시되고 근엄한 표정도 무시되고 긴 턱도 무시되고 무시될 수 있는 것은 모조리 무시되고 다만 무시되지 않는 것은 끗발과 돈뿐이다. 지하실 밖에 있는 도덕과 법률은 이제 개떡도 못 되는 것이다.
From that point on, we entered a world where age, status, facial expression, chin length, or anything else didn’t matter. All that mattered was luck and money. The laws and morals of the world beyond that basement didn’t matter at all to us.
-이외수, <고수> 중에서-
도라지꽃 하얀색의 먼 저쪽에서 삶이 죽음에 스며 있다는 늙은 수녀의 환상은 죽음 안에 신생을 약속하신 하느님의 뜻을 벗어난 것이 아닌가를 생각하다가 김요한 주교는 생각을 그만두었다. 신학생 시절에 기숙사 뒷산에 도라지는 지천으로 피어 있었다. 김요한 주교는 그 하얀색을 떠올렸다. 하얀색이 아니라, 이름 지을 수 없는 색이었다. 색은 멀리서 흔들리면서 다가왔다. 색은 보이지 않는 강물처럼 시간과 공간을 흘러서 사람의 시선이 닿을 수 없는 곳에서 스스로 전진하고 있었다.
Bishop Kim Johann cut short his musing after it led him to wonder whether the old nun’s vision―that life seeps into death on the far side of the white of the bellflowers―was in conflict with the will of God, who promises a new birth within death. When he was a student at seminary, the hill behind the dormitory teemed with bellflowers. He recalled their white color. It was not really white, but something that defied being named. The color came forward, swirling from afar. It flowed through space and time like the water of an invisible river, and was marching on by itself in a place unreachable by human sight.
-김훈, <저만치 혼자서>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