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추리소설 걸작선 1

한국추리소설 걸작선 1

강형원, 김내성, 김성종, 서미애, 오현리, 이상우, 이원두, 정현웅, 황세연, 이경재, 이가형, 방재희, 류성희, 김차애, 김상윤, 이수광, 노원, 권경희, 황미영, 현재훈, 문윤성, 현정 (지은이), 한국추리작가협회 (엮은이)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900원 -10% 0원
1,050원
17,850원 >
18,9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90원
17,0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추리소설 걸작선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추리소설 걸작선 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추리/미스터리소설 > 한국 추리/미스터리소설
· ISBN : 9791160079180
· 쪽수 : 744쪽
· 출판일 : 2023-03-30

책 소개

한국추리작가협회는 1983년에 창립하여, 국내 유일한 장르 전문지 『계간 미스터리』를 펴내는 등 현재에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한국추리소설 걸작선> 1, 2권은 이러한 30년 가까운 협회 활동의 결산물이라 할 수 있다.

목차

발간사

김내성, 가상범인
현재훈, 절벽
김성종, 회색의 벼랑
문윤성, 덴버에서 생긴 일
이상우, 첫눈 속에 영혼을 묻다
이가형, 비명(非命)
이경재, 광시곡
이원두, 정력 전화
이수광, 그 밤은 길었다
황미영, 함정
황세연, IMF 나이트
김상윤, 드래구노프
노원, 위기의 연인들
방재희, 교환일기
권경희, 내가 죽인 남자
정현웅, 정형외과 의사 부인 실종사건
오현리, 포커
류성희, 인간을 해부하다
현정, 포말
김차애, 살인 레시피
서미애, 반가운 살인자
강형원, 7번째 신혼여행

저자소개

강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2년 현재 한국추리작가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소설가이며 변호사이다. 1987년 월간 소설문학 장편 추리소설 공모에 『증권살인사건』이 당선되었고, 1989년 장편소설 『푸른빛 왕관』으로 한국추리문학 신인상을, 1992년 장편소설 『서울 에펠탑』으로 한국추리문학 대상을 받았다. 그 밖의 주요 작품으로 단편소설 「신혼여행, 이번이 몇 번째?」 「황금거위」 「샤갈의 눈 내리는 밤」 등이 있으며, 꽁트집 『청와대를 임대합니다』가 있다.
펼치기
강형원의 다른 책 >
김내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는 아인(雅人). 평안남도 대동 출신. 아버지 김영한(金榮漢)과 어머니 강신선(康信仙)과의 3남4녀 중 2남이다. 어려서는 엄격한 아버지에 의하여 한문을 수학하였고, 강남보통학교 재학 중에 결혼한 뒤 평양공립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하였다. 문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시와 소설 등을 열심히 읽는 한편, 『서광(曙光)』 동인으로 동요·시·소설 등을 발표하였다. 이 무렵부터 탐정소설을 탐독하기 시작하였고,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기 1년 전에 조혼의 아내와 이혼하였다. 1931년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제2고등학원 문과를 거쳐 동대학 독법과(獨法科)에 입학하여 한때 변호사가 되고자 하였으나 결국 문학 쪽을 택하였다. 이론적이고도 체계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는 법률공부가 후일 탐정소설가로서의 그에게 많은 도움을 준듯하다. 1936년 졸업과 동시에 귀국, 김영순(金泳順)과 재혼하고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하면서 조선일보사에 입사하였으나, 1941년에 직장을 화신상회(和信商會)로 옮겼다. 광복 후에도 계속 작품활동을 하였으며, 『경향신문』에 「실낙원(失樂園)의 별」(1956.6.∼1957.2.)을 연재하던 도중 뇌일혈로 작고하였다. 그는 재학 중이던 1935년 일본의 탐정소설 전문지인 『프로필』에 「타원형의 거울」과 「탐정소설가의 살인」을, 『모던 일본(日本)』지에 「연문기담(戀文綺譚)」을 각각 투고하여 당선됨으로써 탐정소설가로 데뷔하게 되었다. 귀국한 후에도 계속해서 『조선일보』에 「가상범인(假想犯人)」·「마인(魔人)」, 『소년』에 「백가면(白假面)」, 등을 발표하여, 우리나라 유일의 탐정소설가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광복이 되자 여성문제를 다룬 「행복의 위치」(1946)와 애정문제 및 인생문제를 다룬 「인생안내(人生案內)」(1946)·「청춘극장(靑春劇場)」(1949) 등을 발표하여, 지금까지의 탐정소설적 경향을 벗어나 본격적인 대중소설을 개척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특히 사건구조의 치밀성과 인생문제를 대중적 관심에서 이끌어가는 탁월한 솜씨 때문에 대중작가로서 성공을 거두었다. 그에 의하면, 통속성과 대중성은 구별되어야 하는바, 통속성은 배척되어 마땅하지만 대중성은 소설적인 문학성으로서 중요시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일본의 중간소설에 영향받고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한 의도로 보여진다. 이처럼 우리나라 문학의 폭넓은 전개를 위해 그가 시도하고 주장했던 탐정소설이나 본격적인 대중소설이라는 분야는 깊이 논의되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순수문학 선호경향이 짙은 문단풍토에 의해 아직도 소외된 위치에 놓여 있다. 그 밖의 작품으로 「살인예술가(殺人藝術家)」(1938.3.∼5.)·「백(白)과 홍(紅)」(1938.9.)·「유곡지(幽谷誌)」(1946)·「인생화보(人生?報)」(1953)·「애인(愛人)」(1954)·「사상의 장미」(1956)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내성 [金來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펼치기
김성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196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경찰관」이 당선돼 등단했으며, 1974년 [한국일보] 창간 20주년 기념 장편소설공모에 『최후의 증인』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평균 시청률 44.3%를 기록하며 국민 드라마로 큰 인기를 끌었던 [여명의 눈동자]의 원작자이며, 명실공히 한국 추리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다. 주요 작품으로 『최후의 증인』 『여명의 눈동자』 『일곱 개의 장미송이』 『제5열』 『미로의 저쪽』 『제5의 사나이』 『아름다운 밀회』 『국제열차 살인사건』 『백색인간』 『비밀의 연인』 『세 얼굴을 가진 사나이』 『봄은 오지 않을 것이다』 『안개의 사나이』 『후쿠오카 살인』 『늑대소년 다루』 『달맞이언덕의 안개』 『해운대, 그 태양과 모래』 등 50여 편이 있으며, 소설집으로는 『회색의 벼랑』 『어느 창녀의 죽음』 『고독과 굴욕』 등이 있다. 후학 양성과 추리문학 발전을 위해 부산 해운대 달맞이언덕에 세계 최초의 ‘추리문학관’을 세웠으며, 이는 우리나라 문학관 1호로 해운대의 명소로 자리 잡았다. 한국추리문학대상, 봉생문화상, 부산시문화상, 부산MBC문화대상 등을 수상했고, 한국추리작가협회 회장, 부산소설가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추리문학관 관장으로, 4층에 있는 그의 작업실에서 작품 구상에 골몰하고 있다.
펼치기
서미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친구보다 책을 더 좋아했던 청소년기를 지내며 결국 글쓰기를 평생 직업으로 삼았다. 대학 시절 스무 살의 나이로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어 작가의 길로 들어섰고, 졸업과 동시에 방송 일을 시작했다. 서른이 되면서 드라마와 추리소설을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해 「남편을 죽이는 서른 가지 방법」이라는 다소 과격한 제목의 소설로 신춘문예에 당선이 되었다. 그뒤 30년 가까이 드라마와 추리소설,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들며 미스터리 스릴러 전문 작가로 자리잡았다. 홈스보다는 미스 마플을 좋아하고, 트릭보다는 범죄 심리에 더 관심이 간다. 이런 취향은 작품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대표작으로 장편소설 『당신의 별이 사라지던 밤』 『잘 자요, 엄마』 『모든 비밀에는 이름이 있다』, 소설집 『반가운 살인자』 『남편을 죽이는 서른 가지 방법』 『별의 궤적』 등이 있다. 장편소설 『인형의 정원』으로 2009년 대한민국 추리문학대상을 수상했고, 「반가운 살인자」 「남편을 죽이는 서른 가지 방법」 「그녀의 취미생활」 등 여러 작품이 드라마와 영화, 연극으로 만들어졌다.
펼치기
오현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현세 만화 『검은 천사』의 원작이 된 추리소설 『블랙 엔젤』을 썼으며, 동양학을 비롯한 여러 깊이 있는 학식과 정보력을 갖춘 수십 종의 저서를 냈다. 주요 저서로 『21세기 CEO 고사성어』 『정통 관상 대백과』 『부적 대사전』 『세계의 명탐정 77인과 떠나는 특급 추리여행』 『강호무림 최종분석』 『병법 36계』 등이 있다. 수만 종의 만화와 서적, 비디오 등을 보유한 컬렉터로도 유명하다.
펼치기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언론인, 소설가. 한국디지털문인협회 이사장(현). 한국추리작가협회 이사장(현). 한국소설가협회 이사, 국제펜클럽한국본부이사 역임. 국민일보 대표이사, 서울신문 발행인, 한국일보 부사장, 파이낸셜뉴스 사장, 일간스포츠 사장, 스포츠서울 편집국장, 경향미디어그룹(goodday) 회장 역임. 중앙대학 객원교수, 추계예술대학, 대진대학교 강의. 2022.4∼ 한국디지털문인협회 이사장(현) 2015.1∼ 한국추리작가협회 이사장(현) 2010.1∼ 한국증권신문 회장(현) 2009.9 투데이 프로덕션 회장 2005.1 한국추리작가협회 명예회장 2001.9 굿데이스포츠 대표이사 회장 2001.6 경향미디어그룹 회장 2001.3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2001.1 한국소설가협회 이사 2000.11 아쉐뜨넥스트미디어(ELLE) 사장 2000.7 국민일보 사장 2000.6 파이낸셜뉴스 사장 1999.3 스포츠투데이 사장 1999.1 서울특별시 문화예술진흥위원회 위원 1998.1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 부회장 1997.3 일간스포츠 사장 1995 3 문학의해 조직위 감사 1995.1 한국일보 부사장 1994.8 추계예술학교 문예창작과 강사 1991.3 서울신문 사장직무 대행 1991.3 서울신문 전무이사 1990.3∼2003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객원교수 1987.1 한국추리작가협회 회장 1985.3 스포츠서울 편집국장 1983.2 주간한국 편집국장 1969.4 한국일보 부국장겸 종합편집부장 1958.4 영남일보 기자 장편소설(역사) 북악에서 부는 바람(1994, 동아출판사) 정조대왕 이산(2007, 로크미디어) 김종서는 누가 죽였나(2007, 청어람) 역사에 없는 나라(상·하)(1995, 새로운사람들) 해동 육룡이 나르샤(2015, 로크미디어) 세종대왕 이도(1·2·3)(2016, 시간여행) 장편소설(추리) 화조 밤에 죽다(1986, 소설문학사) 악녀 두 번 살다(1987, 해냄) 안개도시(1988, 여원출판국) 악녀시대(1989, 명지사) 여자는 눈으로 승부한다(1989, 여원출판국) 안개 섬의 비밀(1989, 현대추리사) 초능력 살인(1991, 현대추리사) 컴퓨터 살인(1990, 명지사) 우리 시대 마지막 숙녀(1990, 명지사) 모두가 죽이고 싶던 여자(1990, 명지사) 악녀의 성(1993, 고려원) 여자는 눈으로 승부한다(1995, 해난터) 사랑의 알리바이(1996, 신원문화사) 개와 시인(1997, 해난터) 여자대통령(2013, 문지사) 바이오킬러의 사랑(온라인, 2016) 신의 불꽃(2016, 시간여행) 단편집 파혼여행(1988, 행림출판사) 미스터리 셋(공저)(1988, 백양출판사) 반달곰은 알고 있다(1990, 인의) 악녀와 함께 여행을(1992, 명지사) 미스터리 북(2010, 새파란상상) 한국추리 걸작선(공저)(2012, 한스미디어) 언론 평론, 에세이 한글신문 연구(공저)(1969, 한국편집기자회) 신문 가로짜기(공저)(1989, 한국언론연구원) 현대신문 제작론(공저)(1992, 아남출판사) 굿데이 굿맨 이상우(2001, 신풍출판사) 권력은 짧고 언론은 영원하다(2010, 커뮤니케이션북스) 도둑질에도 철학이 있다(2014, 신아출판사) 추리 평론, 에세이집 이상우의 추리소설 탐험(1991, 한길사) 이상우와 함께 미스터리 완전 돌파(2013, 지식을만드는지식) 추리소설 잘 쓰는 공식(2014,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스터리 문학은 성립될 수 있나(2022, 인문360, 온라인) 드라마화 화조 밤에 죽다(1987, KBS TV미니시리즈) 안개 도시(1988, 김성수 감독, 영화) 모두가 죽이고 싶던 여자(1989, 김영수 연출, 연극) 모두가 죽이고 싶던 여자(1992, 최야성 감독, 영화) 여섯 번째 사고(1989, MBC 라디오 드라마) 여섯 번째 비밀(1994, KBS TV 미니시리즈) 수상 대한민국 문화포장 중앙언론문화대상 한국신문협회 신문상 한국추리문학 대상
펼치기
이원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언론인이자 번역가, 소설가이다. 『폭군의 아침』으로 1989년 제5회 추리문학대상을 받았다. 장편소설 『찬란한 음모』 『아빠의 함정』 『잃어버린 항로』 『바람언덕의 살인』 등을 발표했으며, 주요 번역 작품으로 『인간의 증명』 『오토의 아들』 『그녀는 돌아왔는가』 등이 있다.
펼치기
정현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대 정책대학원 졸업, 여원기자, 여고시대 편집장, 출판사 현음사 대표역임, JJ미디어그룹(영화제작사) 대표이사 역임, 한국문인협회 감사 역임, 한국소설가 협회 이사 역임, 한국 펜클럽 특별위원 역임, 한국추리작가 협회 이사 역임, 한국농민문학 협회 이사 역임하였다. 수상경력으로는 1974년 영화진흥공사 시나리오 현상공모 수상(수상 작품 : 시나리오 <골고다의 언덕>), 1976년 중앙일보사(삼성문예재단)제정 제6회 道義文化 著作賞 수상(수상작품 : 장편소설 <외디프스의 초상>), 1986년 한국추리작가협회 제정 추리문학상 수상(수상작품 : 장편소설 <여대생 살인사건>), 2011년 제7회 류주현 문학상 수상(수상작품 : 장편소설 <그리고 마루타에게 묻다>), 2013년 제10회 유승규 문학상을 수상(수상작품 : 단편소설집 <고행>)했다. 주요작품으로는 1980년 현대문학지 단편소설 <死者의 목소리> , <잃어버린 세대>추천 문단 데뷔, 장편소설 <그리고 촛불처럼 타다> KBS 2TV, 10부작 미니시리즈 방영, 장편소설 <전쟁과 사랑> MBC TV,24부작 미니시리즈 방영, 장편소설 <마루타>, <전쟁과 사랑>, <족보>,<다라니>,<그대 아직도 거기에 있는가> 등 70여편과 중단편 소설집 <불감시대>, <어느 여공의 죽음>, <고행>이 있다.
펼치기
황세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포츠서울 신춘문예에 당선하며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소설 몇 권을 출간한 뒤 출판사에 취직해 편집자로 일하다가 회사 합병으로 잘린 뒤 다시 열심히 소설을 쓰고 있다. ‘교보문고 스토리 공모전’ 대상, ‘한국추리문학상’ 신예상과 대상, 황금펜상을 수상했다. 장편 추리소설 《내가 죽인 남자가 돌아왔다》, 《삼각파도 속으로》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황세연의 다른 책 >
이경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28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치대를 졸업했다. 1954년 기독교 방송국에 단막극 「코」가, 195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라디오 드라마 극본 「산승」이, 1956년 KBS 신춘문예에 「밀고자」가 당선되었다. 방송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추리소설가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주요 방송 작품으로 <섬마을 선생님> <다큐멘터리 재일동포> <형사수첩> <손오공>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 『검은 꽃잎이 질 때』 『앰뷸런스 살인』 『추적』 『비정의 사나이』 『일본을 재판한다』, 서울 정도 600년의 역사를 엮은 『서울 정도 육백년』 등이 있다.
펼치기
이가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는 안부(雁夫). 1921년 전남 목포시 죽동에서 태어났다. 1942년 일본 구마모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쿄제국대학 문학부를 졸업했다. 1946년 목포고등학교 교사를 시작으로 이후 전남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로 가르쳤다. 전공은 영미 비교문학이다. 1956년 미국 윌리엄스대학에서 유학했고, 이후 중앙대학교와 국민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에서는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한국영어영문학회장과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49년 소설 《마지막 밤의 대화》를 발표하면서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더불어 영미 문학의 번역 소개 작업도 활발하게 전개했다. 1979년부터 1990년까지 한국추리작가협회장을 지내면서 한국 추리문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1993년에는 일제의 학도병 징집과 포로수용소 경험을 토대로 쓴 장편 자전소설 《분노의 강》을 한국어와 일본어로 동시 출간했다. 1972년 앙드레 말로의 《희망》으로 한국번역문학상을 받았고, 1978년에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상했다.
펼치기
방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2년 스포츠서울 신춘문예 SF 부문에 「최후의 실험」이 당선되었다. 단편소설 「시간여행」 「사육사」 「나는 왓슨」 「그녀의 펫」 등을 발표하였다. SF소설 집필 외에 번역가로도 활동 중이다.
펼치기
류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포츠서울 신춘문예 추리소설 부문에 〈당신은 무죄〉가 당선되었고, MBC 베스트극장 극본 공모에서 〈신촌에서 유턴하다〉로 최우수상을, SBS 미니시리즈 극본 공모에 〈진실게임〉으로 가작을 수상했다. 장편소설 《장미가 떨어지는 속도》, 《사건번호 113》이 있으며, 단편집 《나는 사랑을 죽였다》, 단편으로는 〈인간을 해부하다〉, 〈첫 섹스에 관한 보고서〉, 〈나는 악마를 죽였다〉 등이 있다.
펼치기
김차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4년 『미스터리 매거진』 2호에 「밀회」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소설을 쓰는 한편 드라마 작가, 방송작가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단편소설 「열대어를 사랑한 남자」 「하이에나 살인」 「아틀란티스의 연인」 「행복한 남자들의 죽음」 「SAD BLUE」 등이 있고, 단편집 『이별의 목적』이 있다.
펼치기
김상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하고 게임 기획자로 일했다. 하이텔문학관 이용자문학공모 단편소설 부문, 일간스포츠 신춘대중문학상 공포스릴러소설 부문에 당선됐고, 「속도의 맛」으로 2023 SF스토리 공모전 장려상 및 메타버스 과학동아 특별상을 수상했다. 2022년 과학 판타지 장편동화 『뒤집힌 세계, 신비한 시간』을 썼다.
펼치기
이수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바람이여 넋이여》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제14회 삼성문학상 소설 부문(도의문화저작상) 수상을 시작으로 그 후 영화진흥공사의 시나리오상 당선, 미스터리클럽 제2회 독자상, 제10회 한국추리문학 대상을 수상했다. 대표 작품으로 단편 《바람이여 넋이여》《어떤 얼굴》《그 밤은 길었다》《버섯구름》, 그리고 장편 《나는 조선의 국모다》《유유한 푸른 하늘아》《초원의 제국》《소설 미아리》《왕을 움직인 소녀 차랑》《천년의 향기》《신의 이제마》《왕의 여자 개시》《그 밤은 길었다》《실미도》《조선 명탐정 정약용》《무사 백동수》등이 있다.
펼치기
노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 두만강이 가까운 두메산골인 함경남도 풍산에서 태어나 1943년 서울로 이주하여 이듬해 보성중학교에 입학했다. 연세대학교 영문과 재학 당시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1031고지전을 비롯해 주로 중동부 전선의 전투에 참여했다. 1979년 미국의 반 다인처럼 추리 마니아에서 추리 작가로 변신하여, 1988년 제4회 한국추리문학대상을 수상했다. 작품으로는 『악마의 일력』 『야간 법정』 『3호청사』 『바람의 여신』 『사미라에게 장미를』 등이 있다.
펼치기
현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 전남 광주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59년 『사상계』 신인상에 단편 「분노」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초기에는 죽음, 종교, 절망 등 형이상학적인 주제에 집중하여 「분노」 「자욱한 강변」 「사자의 말」 등의 작품을 썼다. 문학 작품에 추리소설 기법을 사용하여 주제의 무게를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추리소설을 한국에 뿌리내리게 하기 위해 평생을 고군분투하였다. 주요 장편소설 및 작품집으로 『환』 『묵회설』 『기만』 『유적지』 『십자로』 『새』 『달마대사』 『절벽』 『누가 도요새를 쏘았나』 등이 있으며, 중단편집 『절벽』으로 제1회 한국추리문학 대상을 받았다
펼치기
문윤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김종안(金鐘安). 1916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났다. 일제 강점기 시절 지금의 경복고등학교의 전신인 경성제2고보에 재학 중 일본인 교사에게 반항하다 퇴학당하고, 홀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공사장, 광산 등에서 노동자로 일하며 소설과 시를 썼다. 독학으로 설계와 배관을 익혀 뒤에 ‘대승기업사’라는 공조회사를 차려 운영하기도 했다. 1946년 단편 <뺨>을 <신천지>에 발표하였으나 문단 활동을 이어가지는 못했다. 51세가 되던 1965년 <주간한국>의 제1회 추리소설 공모전에 《완전사회》로 당선, 1967년 같은 제목의 책으로 출간했다. 《완전사회》는 한국 최초의 본격 SF 장편소설로 평가받으며, 당시 기성 문단에도 큰 충격을 주었다. 작가는 한국추리작가협회의 초창기 멤버로도 활발히 참여하며 ‘추리소설의 과학화’를 늘 주장했고 탄탄한 과학적 설계를 바탕으로 많은 중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장편소설로 《완전사회》, 《일본심판》, 《사슬을 끊고》가 있으며, 희곡 《상속자》와 장편 서사시《박꽃》을 내기도 했다. 80년대와 90년대에 발표한 중단편을 묶어 소설집 《월드컵 특공작전》을 출간했다. 2000년 8월 24일 수원에서 별세했다. 향년 85세.
펼치기
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 스포츠서울 신춘문예 추리 부문에 「거울 여자의 죽음」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추리 단편소설 「가면유희」 「활자」 「분홍신」 「야수」 「어느 갠 날」, 추리동화 「소라섬의 비밀」 「어릿광대의 비극」 등이 있다.
펼치기
한국추리작가협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추리작가협회의 전신은 1960년대 말부터 추리소설 작가와 번역가, 독자가 함께 하는 대화의 무대였던《한국미스터리클럽》으로, 1983년에 작가협회로 발족하여 한국 추리소설계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협의체가 되었다. 협회는 1985년부터 한국추리문학상을 제정하여 신예상과 대상을 엄선하여 시상하고 있다. 대표 수상작품으로는 2019년에 한국추리문학상 대상으로 선정되어 작년에 단행본으로 출간된 황세연의《내가 죽인 남자가 돌아왔다》가 있으며 그밖에 이상우의 《악녀 두 번 살다》, 최혁곤의 《B파일》, 서미애의 《인형의 정원》 등이 있다. 2007년부터는 최우수 단편상에 해당하는 ‘황금펜상’을 신설하여, 지금 한국 추리문학계를 지탱하고 있는 많은 작가들을 배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