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량의 과학

식량의 과학

(과학잡지 에피Epi 13호)

송민령, 이관수, 자크 프롤리, 전치형, 김태호, 정은정, 박재성, 김현태, 하미나, 한나 토마쉬, 이두갑, 오철우, 김초엽, 전용훈, 김덕희, 박범순 (지은이)
이음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000원 -10% 500원 8,500원 >

책 이미지

식량의 과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량의 과학 (과학잡지 에피Epi 13호)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72586200037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0-09-02

책 소개

기후변화와 코로나19로 인한 농업 생산과 유통에 대한 고민을 담아<식량의 과학>을 특집 주제로 잡았다. 식량 위기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현실에 적용하기 녹록치 않은 현상에 대해서도 진단했다.

목차

들어가며 | 송민령

EX-HA-LA-TION 숨
기업적 양돈 농장 방문기: 소로우가 양돈을 한다면 | 이관수
코로나19 팬데믹은 중국 야생동물 시장 탓일까? | 자크 프롤리
코로나19가 드러낸 한국 농업의 위기 | 김태호
새벽 배송, 전쟁 같은 쇼핑의 세계 | 정은정
농업의 현안 과제와 스마트팜 기술 | 박재성, 김현태

FAR-CAST 길
나의 우울은 몇 점인가요? | 하미나
언다크: 긴발톱멧새 이름에 스며든 인종차별 | 한나 토마쉬

FOUN-DA-TION 터
보스턴 생명공학단지에서 퍼져나간 코로나 바이러스 이야기 | 이두갑
오철우의 과학뉴스 전망대: 코로나 백신의 약진, 그리고 백신 이후의 세상 | 오철우
책리뷰: 당신의 몸은 전쟁터 | 이두갑
편집위원의 시선: 삶 속에 과학이, 과학 속에는 삶이 | 김초엽
물구나무 과학사: 홰기비와 진공청소기-진공에 관한 동서양의 생각들 | 전용훈
SF: 고문헌연구회 | 김덕희

AN-THRO-PO-CENE 인류세
그린뉴딜 블루-기후위기는 왜 ‘위기’로 인식되지 않는가 | 박범순

색인(INDEX)

저자소개

전용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천문학사 관련 연구 이외에도 한국 과학사의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하면서 『물구나무 과학』, 『천문대 가는 길』을 썼고, 옮긴 책으로 불교계 탄생점성술에 관한 『밀교점성술과 수요경』이 있다.
펼치기
전용훈의 다른 책 >
김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거쳐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현 과학학과)에서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를 전공하였다. 싱가포르국립대 아시아연구소 연구원, 미국 컬럼비아대학 한국학센터 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역사문화원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교수 등을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에서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 연구와 교육에 전념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2009)은 통일벼와 한국의 ‘녹색혁명’에 대한 것이었지만, 한글타자기의 역사에 대해서는 그보다 더 오랫동안 관심을 갖고 연구해왔다. 세벌식 자판의 사용자이지만 어떤 자판을 쓰든 공감할 수 있는 한글타자기의 역사를 쓰고 싶다는 생각을 간직한 채, 2003년 이후 꾸준히 한글타자기의 역사에 대한 자료를 모으고 글을 쓰며 강연을 했다. 저서로 『근현대 한국 쌀의 사회사』(들녘, 2017), 『오답이라는 해답: 과학사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창비, 2021), 『과학기술과 한국인의 일상』(들녘, 2022), 공저서로 『 ‘과학대통령 박정희’ 신화를 넘어: 과학과 권력, 그리고 국가』(역사비평사,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농촌과 농민의 삶에 관해 고민하는 농촌사회학을 공부하고 신문과 여러 매체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쓴 책으로 《그렇게 치킨이 된다》, 《밥은 먹고 다니냐는 말》, 《대한민국 치킨전》, 《아스팔트 위에 씨앗을 뿌리다》 등이 있습니다. 1977년 충주에서 태어나, ‘망우리 떡볶이 골목’이 있는 서울 중랑구 망우동에서 자랐습니다. 학창 시절 친구들과 함께 다니던 떡볶이집을 지금도 종종 드나듭니다. 그래서 어릴 때 먹었던 밀떡볶이를 아직도 좋아합니다.
펼치기
박범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의 여러 분야 사이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등장하고 사회에서 수용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과학사학자이며, 과학기술학의 방법론을 사용해 정책적 이슈를 다루고 있다. 최근에는 합성생물학, 인공지능, 인류세 등의 개념이 던진 인류 생존과 미래 문명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이자 인류세연구센터의 센터장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박범순의 다른 책 >
전치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공부했다. 미국 MIT에서 과학기술사회론 STS: Science, Technology & Society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독일 막스플랑크 과학사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밟았다. 현재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로서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있으며,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관계, 정치와 엔지니어링의 얽힘, 로봇과 시뮬레이션의 문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미세먼지, 세월호 참사, 지하철 정비, 통신구 화재 등의 사건으로부터 로봇과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인류세 등의 주제들까지 과학적 지혜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영역들을 주목하고 고민한다. 2017년 창간한 과학잡지 《에피》 편집주간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동안 펴낸 책으로 『사람의 자리』, 『로봇의 자리』, 『미래는 오지 않는다』(홍성욱과 공저), 『호흡공동체』(김성은, 김희원, 강미량과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전치형의 다른 책 >
송민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 뇌과학과가 드물던 시절부터 뇌에 관심이 많았다. 복잡한 뇌의 활동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과학의 언어인 수학을 전공하고, 뇌의 생물학적 원리를 탐구하기 위해서 생명과학을 복수 전공했다. 또 신경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전자공학과 수업을 들었다. 카이스트에서 학부 과정을 마친 뒤, 미국 애리조나대학에서 신경과학 전공, 수학 부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
펼치기
송민령의 다른 책 >
김초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대상 및 가작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지구 끝의 온실》, 《방금 떠나온 세계》, 《행성어 서점》, 《므레모사》, 《파견자들》 등이 있다. 국내에서 오늘의작가상, 젊은작가상, 한국여성지도자상 젊은지도자상, 한국출판문화상을 받았고, 중국 은하상 최고인기외국작가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오철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립 한밭대학교 강사. 대학에서 논리적 글쓰기와 과학 저널리즘, 과학 기술과 현대 사회를 강의하고 있다. 2016년 서울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 철학 협동 과정(현 과학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한겨레신문사에서 주로 과학 담당 기자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 『갈릴레오의 두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 태양계의 그림을 새로 그리다』, 『천안함의 과학 블랙박스를 열다』가 있고, 옮긴 책으로 『과학의 언어』, 『과학의 수사학』, 『온도계의 철학』 등이 있다.
펼치기
오철우의 다른 책 >
자크 프롤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오번대학교(Auburn University) 역사학과 교수. 과학-법-시장의 역사적 관계를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이 관계가 음식, 위험, 책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어떻게 형성해 왔는지에 관심이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역사에 대한 책을 집필 중이다.
펼치기
박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대 스마트팜 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 전공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일본 교토대학교 및 캐나다 맥길대학교에서 정밀 농업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업 분야에 ICT를 도입하고 접목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펼치기
김현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대학교 애그로시스템공학부 교수. 성균관대학교와 일본 교토대학교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5년간 스마트팜 분야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지정 스마트팜 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한나 토마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리랜서 과학기자
펼치기
하미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가. 서울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저술, 번역, 커뮤니티 빌딩, 방송,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동한다. 지은 책으로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아무튼, 잠수』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2021043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