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4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4

(역사.정치)

고운기, 김문식, 박종기, 박현모, 배우성, 신복룡, 이성무, 정구복, 허경진, 안대희, 신병주, 정긍식, 배병삼, 이태원, 정호훈, 이성혜, 정명현 (지은이)
휴머니스트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4 (역사.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8621331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06-10-09

책 소개

교과서 안팎을 넘나들면서 21세기 우리가 꼭 읽어야 할 한국고전문학 41편을 선정하였다. 역량있는 전문가들이 저마다의 새로운 독법으로 읽어 내림으로써, 녹록치 않은 고전읽기의 해법을 제시한다.

목차

제1권 고전문학上 신화.민담.여행기

Ⅰ.신화의 상상력과 상징
01 창세(創世)의 시절을 노래하다
-「창세가(創世歌)」/박종성
02 여성성의 신화적 상상
-「바리공주/이경하」
03 여러 얼굴을 지닌 단군신화
-「단군신화(檀君神話)」
04 우리 민족의 영웅서사시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이지영
05 국가의 정당성을 위해 만들어진 신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Ⅱ.민담과 야담의 세계
01 사랑의 시험과 회복,구렁이 신랑 신선비이야기
-「구렁덩덩 신선비」/서대석
02민담의 즐거운 상상, 그 속에 배인 한숨
-「우렁각시/신동흔」
03 500년 묵은,사대부들의 개그
-서거정(徐居正)의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骨稽傳)>/박경신
04 시정세태와 인간군상에 대한 방대한 서사정신
-유몽인의 <어유야담(於于野譚)> /신익철

Ⅲ.여행기와 세계로 향한 눈
01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효시,노정기와 서정시의 만남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심경호
02 중국과 일본에 떨친 조선 선비정신의 보고
-최부의 <표해록>/조영록
03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일본 기행록
-신유한의 <해유록>/최박광
04 문명의 길, 경계에 선 지식인
-홍대용의 <을변연행록>/박성순
05 열린마음으로 드넓은 세계를 보라
-박지원의 <열하일기>/김명호

제2권 고전문학中 옛소설.옛노래

Ⅰ. 소설에 담은 꿈
01 기이로 그려낸 고독과 울분
-김시습의<금오신화>/김종철
02 소외된 영웅의 빛과 그늘
-허균의 <홍길동전>/신병주
03 독자들, 영원한 승리를 꿈꾸다
-<유충렬전>/이창헌
04 조선시대 사대부의 꿈과 욕망
-김만중의 <구운몽>/송성욱
05 웃음과 우화로 엮어낸 민중의 정치의식
-<토끼전>/정출헌
06 사랑의 보편성과 역사성
-<춘향전>/서지영
07 대하소설의 원류를 찾아서
-<완월희맹연>/한길연

Ⅱ. 옛노래에 담긴 뜻
01 죽음의 한계를 뛰어 넘는 사랑의 노래
-월명사의 <제망매가>/정재영
02 몽골에 억눌린 시대의 저항의 노래
-<청산별곡>/임주탁
03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료
-이황의 <도산십이곡>/한형조
04 사대부 가사의 정점
-정철의 <관동별곡>/조세형
05 사대부가 노래한 시정 풍속도
-이정보의 사설시조 /신경숙
06 장르를 넘어선 노래, 시간을 가로지른 소리
'아리랑' /조해숙

제3권 고전문학下 성.사랑.일상

Ⅰ. 여성의 애환
01 왕실 가족이 겪은 비극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정병설
02 입장의 차이에 따른 험담과 하소연
-<계축일기>/이순구
03 여성기행 문학의 백미
-의유당 남씨의 <관북유람일기>/류준경
04 운명과 달관의 서사가사
-<덴동어미화전가>/박혜숙

Ⅱ. 남녀와 부부의 정
01 전란으로 인한 가족 이산과 재회
-조위한의 <최척전>/장효현
02 비극적 사랑, 그 이상의 메시지
-<운영전>/임치균
03 18세기 정감의 풍속화
-이옥의 <이언>/박무영
04 유배객이 부르는 그리움의 노래
-김려의 <사유악부>/강혜선

Ⅲ. 사대부의 일상
01 천재와 광기
-김시습의 <매월당집>/최인호
02 글쓰기의 세 가지 전범
-성현의 <부휴자담론>/이종묵
03 부부, 인생의 영원한 동반자
-유희춘의 <미암일기>/문숙자
04 유유자적한 삶에 대한 선망
-허균의 <한정록>/한영규
05 감성과 혜안의 소품산문집
-이덕무의 <이목구심서>/안대희
06 시로 읽는 북관의 풍속지
-홍양호의 <북새잡요>/진재교

제4권 역사.정치

Ⅰ. 왕조의 기록
01 삼국 흥망성쇠의 과정을 밝히다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三國史記)> / 정구복
02 사실과 사관(史觀)의 조화
-<고려사(高麗史)> / 박종기
03 UNESCO 세계 기록문화 유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이성무
04 국왕 비서실이 작성한 왕정의 기록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김문식
05 있는 그대로의 진실된 역사 기록을 위하여
-이긍익(李肯翊)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신병주

Ⅱ. 안타까운 역사, 잊혀진 인물
01 생활의 발견, 민족의 재발견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 / 고운기
02 여항인의 인물 역사서
-조희룡(趙熙龍)의 <호산외기(壺山外記)> / 이성혜
03 보고 듣고 느낀 대로 글쓰기
-황현(黃玹)의 <매천야록(梅泉野錄)> / 허경진
04 조선조 당쟁의 거울
-이건창(李建昌)의 <당의통략(黨議通略)> / 신복룡

Ⅲ. 국가제도와 시스템 개혁
01 국가경영의 원대한 기획
-<경국대전(經國大典)> / 정긍식
02 국가 개혁과 정부혁신을 위한 ‘제왕학 교과서’
-이이(李珥)의 <성학집요(聖學輯要)> / 배병삼
03 열린 마음으로 세계를 껴안다
-이수광(李?光)의 <지봉유설(芝峰類說)> / 신병주
04 새로운 국가를 구상하다
-유형원(柳馨遠)의 <반계수록(磻溪隨錄)> / 정호훈
05 정치의 본령으로서 보살핌의 정치와 그 실천방안을 제시하다
-정약용(丁若鏞)의 <목민심서(牧民心書)> / 박현모

Ⅳ. 경제와 산업 진흥
01 열린 사회를 꿈꾼 사회사상서
-박제가(朴齊家)의 <북학의(北學議)> / 안대회
02 ‘흙국, 종이떡’은 가라
-서유구(徐有?)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 정명현
03 흑산 바다에서 해양생물을 논하다
-정약전(丁若銓)의 <현산어보(玆山魚譜)> / 이태원
04 지리책에 담아 놓은 조선의 역사문화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 배우성

제5권 문화.사상

Ⅰ. 여성과 가정
01 중세기 한 여성의 담론 권력
-소혜왕후(昭惠王后)의 <내훈(內訓)> / 이숙인
02 한국 최고의 식경(食經)
-안동장씨(安東張氏)의 <음식디미방> / 정혜경
03 양반 여성의 방대하고도 체계적인 관심
-빙허각(憑虛閣) 이씨(李氏)의 <규합총서(閨閤叢書)> / 조혜란

Ⅱ. 전쟁과 개인
01 눈물과 회한으로 쓴 7년 전란의 기록
-유성룡(柳成龍)의 <징비록(懲毖錄)> / 김석근
02 인간 이순신의 속살, 그 연민과 감동의 텍스트
-이순신(李舜臣)의 <난중일기(亂中日記)> / 박현모
03 처절한 임진왜란 포로 체험의 세계
-강항(姜沆)의 <간양록(看羊錄)> / 이채연
04 얘들아, 370년 전에 나는 이렇게 살았단다
-남평조씨(南平曺氏)의 <병자일기(丙子日記)> / 박경신

Ⅲ. 과학 그리고 기술
01 조선 유학의 인간과학
-허준(許浚)의 <동의보감(東醫寶鑑)> / 김호
02 우리 민족의 보물이자 인류의 보물
-세종(世宗)의 <훈민정음(訓民正音)> / 박창원
03 조선왕조 예악정신(禮樂精神)의 최고 집대성
-성현(成俔) 외, <악학궤범(樂學軌範)> / 신대철
04 조선시대 후기 책판(冊版)에 대한 공식기록
-서유구(徐有?) 외, <누판고(鏤板考)> / 옥영정

Ⅳ. 자유로운 사고와 새 문물
01 도로 눈을 감아라
-박지원(朴趾源)의 <연암집(燕巖集)> / 정민
02 ‘하늘사람[天人]’으로 사는 길은 과연 무엇인가?
-최한기(崔漢綺)의 <기학(氣學)> / 손병욱
03 서양문명의 도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유길준(兪吉濬)의 <서유견문(西遊見聞)> / 정용화

Ⅴ. 오래된 지혜, 불교와 유교
01 한없이 크고 넓은 마음과 깨달음의 세계
-원효(元曉)의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 / 조은수
02 ‘돈오점수’, 오직 너 자신을 믿어라
-지눌(知訥)의 <수심결(修心訣)> / 한형조
03 주자학(朱子學)의 설계도
-이황(李滉)의 <성학십도(聖學十圖)> / 한형조
04 허위의 학문과 마음의 구속을 배격한 강화학파 지식인의 시문집
-이광사(李匡師)의 <두남집(斗南集)>과 <원교집선(圓嶠集選)> / 심경호

제6권 현대시

Ⅰ. 잃어버린 시대의 비가(悲歌)
1 상실감을 달래 주는 겨레의 노래
- 김소월(金素月)의 시 / 이남호
2 생명과 자유의 종ㆍ사랑과 평화의 종
- 한용운(韓龍雲)의 시 / 김재홍
3 선비 정신과 역사의식의 교차 지점
- 이육사(李陸史)의 시 / 김유중
4 순결한 영혼의 시대적 고뇌
- 윤동주(尹東柱)의 시 / 이남호

Ⅱ. 겨레의 기억과 서정의 진실
1 문명과 반문명에 관한 시적 담론
- 백석(白石)의 시 / 이동순
2 암울한 시대의 방랑자
- 이용악(李庸岳)의 시 / 감태준
3 서정주, 한국 현대시의 신화
- 서정주(徐廷柱)의 시 / 김수이

Ⅲ. 시적 자유의 가능성
1 도망칠 길 없는 존재의 감금과 분열의 노래
- 이상(李箱)의 시 / 김승희
2 근대를 향한 고독과 비애의 속도
- 김수영(金洙映)의 시 / 김명인

Ⅳ. 척박한 땅에서 생명의 바다까지
1 대지와 생명의 순결성을 옹호한 쟁기꾼의 노래
- 신동엽(申東曄)의 시 / 임동확
2 가난하고 못난 자들을 위한 사랑 노래
- 신경림(申庚林)의 시 / 임동확
3 추하고 가난한 시대와 생명의 화개(花開)
- 김지하(金芝河)의 시 / 임동확

Ⅴ. 시의 꿈, 그 감각의 실존
1 현대적 감각과 전통의 창조
- 정지용(鄭芝溶)의 시 / 최동호
2 거듭나는 시의 비밀
- 황동규(黃東奎)의 시 / 이광호
3 사물의 꿈, 생명의 꿈
- 정현종(鄭玄宗)의 시 / 이광호

제7권 현대소설上

Ⅰ. 근대의 풍경
1 계몽소설의 빛과 그림자
- 이광수(李光洙)의 <무정> / 김영민
2 식민지 서울의 고독한 산책자
- 박태원(朴泰遠)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 장수익
3 연민의 진실
- 이태준(李泰俊)의 <복덕방> / 양진오
4 고통을 이기는 해학의 힘
- 김유정(金裕貞)의 <동백꽃> / 김영민

Ⅱ. 역사의 수레바퀴
1 운명의 의미
- 김동인(金東仁)의 <젊은 그들> / 양진오
2 민중의 삶과 조선 정조(情調)의 파노라마
- 홍명희(洪命熹)의 <임꺽정> / 강영주
3 북간도에서 제2의 고향을 꿈꾸다
- 안수길(安壽吉)의 <북간도> / 공임순
4 일본론, 능동성론으로 읽는 긴 소설
- 박경리(朴景利)의 <토지> / 정현기

Ⅲ. 산업화의 그늘과 진실
1 민중의 전기 모음집
- 이문구(李文求)의 <관촌수필> / 최시한
2 대립과 초극의 뫼비우스 환상곡
- 조세희(趙世熙)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우찬제
3 고향 잃은 자들의 우울과 희망
- 황석영(黃晳暎)의 <삼포 가는 길> / 류보선
4 이 도시의 타락을 어찌할 것인가
- 박완서(朴婉緖)의 <도시의 흉년> / 김주언

Ⅳ. 여성성의 탈주
1 식민지 조선의 축도
- 강경애(姜敬愛)의 <인간문제> / 이상경
2 비누냄새 나는 사랑 이야기
- 강신재(姜信哉)의 <젊은 느티나무> / 김미현
3 낯선 시간의 얼굴, 낯선 타자의 얼굴
- 오정희(吳貞姬)의 <중국인 거리> / 허윤진

제8권 현대소설下

1. 가족과 탈가족
01. 깊은 슬픔의 세계
- 염상섭 <삼대>/정호웅
02 식민지 조선의 비극, 그 풍자적 형상화의 전형
- 채만식의 <태평천하>/우한용
03 귀향과 실천의 여로
- 이기영의 <고향>/정호웅
04 삶의 텃밭을 지키려는 주변부 인간의 몸부림
- 김정한의 <모래톱이야기>/황국명

2. 분단상흔과 초극의 상상력
01 전란의 거울에 반사된 인본주의의 문학
-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김존회
02 '광장'이라는 유토피아
- 최인훈의 <광장>/김인호
03 분단 현실을 바라보는 성숙한 시선
- 김원일의 <노을>/권오룡
04 전쟁의 비극을 넘어서 치유의 가능성 찾기
- 윤흥길의 <장마>/김동식

3. 운명과 존재
01 두 세계의 만남과 상호 침투, 그리고 융합
- 김동리의 <까치 소리>/이동하
02 우리들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 손창섭의 <잉여인간>/허윤진
03 죽음에 대한 소설적 탐색
-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김경수

4. 자유 혹은 자기 세계의 지평
01 오디세우스의 항해와 귀환
- 김승옥의 <무진기행>/김미현
02 현실적 절망과 낭만적 희망의 변주곡
- 서정인의 <강>/우찬제
03 '당신들의 천국'에서 '우리들의 천국'으로
-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우찬제
04 도시산업화 시대의 문학적 대응
- 최인호의 <타인의 방>/권성우

저자소개

고운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1961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한양대학교 국문학과와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문학박사). 학위논문은 〈一然의 세계인식과 詩文學 연구〉이다. 일본 게이오대학 문학부 방문연구원과 메이지대학 문학부 객원교수를 거치며 한일 고대문학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 《스토리텔링 삼국유사 1~5》 등을 출간하였다.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시인이기도 하다. 《밀물 드는 가을 저녁 무렵》, 《구름의 이동속도》, 《고비에서》 등의 시집을 냈다.
펼치기
김문식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학예연구사를 거쳐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장,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성호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실학학회 회장, 국가유산청 문화유산 위원으로 있다. 조선의 경학사상, 조선후기 사상가, 정조 시대, 국왕 교육, 국가 전례, 대외인식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다. 지은 책으로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정조의 제왕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왕세자의 입학식』, 『정조의 생각』, 『조선 왕실의 외교의례』, 『원행을묘정리의궤』,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학』 등이 있다. 공저로는 『조선의 왕세자 교육』,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조선 국왕의 일생』, 『왕실의 천지제사』, 『즉위, 국왕의 탄생』,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觀)』,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기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오랫동안 고려사를 연구하며 국민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새로 쓴 오백년 고려사》 《조선이 본 고려》 등을 썼습니다.
펼치기
박현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조正祖의 정치사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01년부터 25년간 한국학중앙연구원과 여주대학교에 재직하며 정조와 세종, 정도전, 최명길 등 왕과 재상의 리더십을 연구해 왔다.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와 일본 ‘교토포럼’ 등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리더십’을 강의했으며, 시민강좌 ‘실록학교’를 20여 년째 운영하고 있다(3,600여 명 수료). 현재는 세종국가경영연구원 원장으로서, 전 세계에 세종의 리더십을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정치가 정조》, 《세종처럼》, 《세종의 적솔력》, 《정조평전》, 《태종평전》, 《정조 사후 63년》 등이 있으며, 《몸의 정치》와 《휴머니즘과 폭력》을 우리말로 옮겼다. 〈경국대전의 정치〉, 〈정약용의 군주론: 정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등 9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배우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의 이름으로 살고 있다. 오랫동안 조선 후기 역사에 관한 글을 써 왔지만, 간간이 그 시대를 벗어나는 만용을 부리기도 했다. 좀 더 긴 호흡으로 읽어 내는 역사상을 추구해 왔기 때문이다. 주로 사상과 문화를 그 시대의 문맥 위에서 묘사해 왔지만, 때로는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그 시대 속 깊이 들어가 보고 싶기도 했다. 개성이 살아 있는 역사 글쓰기를 하고 싶다는 바람도 있었다. 글이 사람을 말해 주는 그런 글쓰기라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런 모든 바람들을 담은 결과물이기도 하다. 어느 때부터인가는 장소 친화적인 역사학의 가능성에 눈을 돌리기도 했다. 장소가 무대나 용기가 아니라 시간 속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역사적 실체라고 믿기 때문이다. 2001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에서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신복룡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청북도 괴산 출신/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동대학원 수료(정치학 박사)/ 건국대학교 교수(1979~2007)/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객원교수(1985~86)/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1999~2000)/ 건국대학교 중앙도서관장·대학원장/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상·학술원상 심사위원(1990, 2002)/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수상(2001)/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2007)/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서훈심사위원(장)(2009~23)/ 한국정치학회 인재 윤천주 학술상 수상(2011)/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좌교수(2007~12) ❙저 서 <한말 개화사상 연구>(평민사, 1987)/ <한국의 정치사상가>(집문당, 1999)/ <大同團實記>(선인, 2003)/ <한국정치사>(박영사, 2003)/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선인, 2006)/ The Politics of Sepa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Edison, NJ : Jimoondang International & Seoul : Jimmondang, 2008)/ <한국사에서의 전쟁과 평화>(선인, 2021)/ <이방인이 본 조선의 풍경>(집문당, 2022)/ <잘못 배운 한국사>(집문당, 2022)/ <전봉준평전>(글을 읽다, 2024)/ <해방정국의 풍경>(중앙Books, 2024)/ <한국분단사연구 : 1943~1953>(한울, 2025 : 개정증보판) ❙번역서 <민족자결주의>(National Self‑Determination, 광명출판사, 1968, 공역)/ <칼 마르크스>(Karl Marx, 평민사, 1982)/ <현대정치사상>(Political Ideologies, 평민사, 1984, 공역)/ <묵시록의 4기사>(Four Horsemen, 평민사, 1988)/ <외교론>(Diplomacy, 평민사, 1998)/ <한말외국인기록>(집문당, 1999~2000, 전10책, 23권, 일부 공역)/ <모택동자전>(Red Star over China, 평민사, 2001)/ <갑신정변회고록>(건대출판부, 2006, 공역)/ <군주론>(The Prince, 을유문화사, 2006)/ <정치권력론>(Political Power, 선인, 2006)/ <林董秘密回顧錄>(건국대학교출판부, 2007, 공역)/ <入唐求法巡禮行記>(선인, 2007)/ <삼국지>(집문당, 2021, 5책)/ <플루타르코스영웅전>(을유문화사, 2021, 5책)/ <한국분단보고서>(선인, 2023, 3책, 공역)/ <신·구약성경>(Naver/Blog)
펼치기
안대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동문화연구원장 및 한국한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15년 제34회 두계학술상, 2016년 제16회 지훈상 국학 부문을 수상했으며 2023년 SKKU-Fellowship 교수로 선정되었다. 2024년 제38회 인촌상 인문·사회 부문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한국시화사』, 『조선의 명문장가들』, 『담바고 문화사』, 『궁극의 시학』, 『천년 벗과의 대화』, 『벽광나치오』,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정조의 비밀편지』, 『선비답게 산다는 것』,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등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 『채근담』, 『명심보감』, 『만오만필』(공역), 『해동화식전』, 『한국 산문선』(공역), 『완역 정본 택리지』(공역), 『소화시평』, 『내 생애 첫 번째 시』, 『추재기이』, 『북학의』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성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문리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사학과를 거쳐 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민대학교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교수로 있으면서 미국 하버드 옌칭 연구소 연구교수와 독일 튀빙겐 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정신문화연구원 부원장, 연세대학교 용재석좌교수를 지냈고,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현재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남영학연구원장, 한국역사문화연구원장, 한국학 중앙연구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과거제도』 『조선 초기 양반연구』 『조선의 사회와 사상』 『조선양반사회연구』 『한국역사의 이해(1~7)』 『조선왕조사』 『조선시대 당쟁사』 『조선을 만든 사람들』 『명장열전』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허경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와 열상고전연구회 회장을 거쳐,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의 한시》 총서 외 주요저서로는 《조선위항문학사》, 《허균 평전》, 《허균 시 연구》, 《대전지역 누정문학연구》, 《성호학파의 좌장 소남 윤동규》,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편린들》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연암 박지원 소설집》, 《매천야록》, 《서유견문》, 《삼국유사》, 《택리지》, 《허난설헌 시집》, 《주해 천자문》, 《정일당 강지덕 시집》, 《허난설헌전집》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신병주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문화재재단 이사, 문화재청 궁·능 활용 심의위원 등을 지냈다. 현재 서울역사박물관 운영위원, 미래한강본부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으며, 역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KBS <역사저널 그날>, KBS라디오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신병주의 역사여행>을 진행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연산군과 광해군’ 편 외 다수, EBS <클래스 e> ‘조선 왕을 만나는 시간’ 시리즈, CJ ENM, 사피엔스 스튜디오의 ‘역사 읽어드립니다’ 시리즈 등에 출연했다. 주요 저서로는 《책으로 읽는 조선의 역사》, 《왕으로 산다는 것》, 《참모로 산다는 것》, 《왕비로 산다는 것》, 《우리 역사 속 전염병》, 《56개 공간으로 읽는 조선사》, 《서울의 자서전》 등이 있다.
펼치기
정긍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법학박사(서울대학교) 한국법제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법사학회 · 한국고문서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현) 주요 논저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한국 가계계승법제의 역사적 탐구』, 『조선의 법 치주의 탐구』, 『조선시대 법령 DB의 구축과 활용』(공저), 『근대법학 120주년』(공저), 「조선 후기 중국 법서의 수용과 활용」, 「조선 전기 ≪唐律疏議≫의 수용과 활용」, 「조선후기 刑曹受敎와 입법경향」, 「1907년 中樞院 <민법 입법요강>」 등.
펼치기
배병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다산 정약용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도회儒道會 부설 한문연수원에서 수학했고, 한국사상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유교 사상을 오늘날의 시각에서 번역하고 해설하는 일을 과업으로 삼고 있다. 지은 책으로 『논어, 사람의 길을 열다』, 『한글세대가 본 논어』(전2권), 『우리에게 유교란 무엇인가』, 『공자, 경영을 論하다』, 『풀숲을 쳐 뱀을 놀라게 하다』 등이 있고, 공저로 『고전 강연』, 『예술과 삶에 대한 물음』, 『고전의 향연』, 『글쓰기의 최소원칙』, 『유학, 시대와 通하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 경남 의령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2008년 현재 세화고등학교 생물교사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현산어보를 찾아서>가 있다.
펼치기
정호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7세기 北人系 南人 學者의 政治思想》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이다. 저서로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 《조선의 《소학》: 주석과 번역》, 《교화와형벌: 조선의 범죄대책과 《경민편》》이 있고, 역서로 《선각》, 《대학연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성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초기에 조선 후기 서화가의 삶과 예술에 골몰하여 『조선의 화가 조희룡』(한길아트, 2005)을 출간하였다. 이후 이들 조선 후기 서화가들이 중세가 해체된 근대전환기에 어떻게 자신의 존재를 입증하며 경제적 문제를 해결했는지에 대한 연구로 『한국 근대 서화의 생산과 유통』(해피북미디어, 2014)을 발간하였다. 최근에는 유구(琉球)에 대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지금은 일본 오키나와 현이지만 100여 년 전에는 독립왕국이었던 유구는 동아시아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조각이지만, 그동안 소외되었던 부분이기도 하다. 이 연구에 대한 결과물로 『유구 한시선(琉球漢詩選)』(소명출판, 2019)과 『유구 한문학(琉球漢文學)』(산지니, 2022 세종도서)을 출간하였다.
펼치기
정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유전공학과를 졸업하고, 도올서원과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을 공부했다. 서울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전통 과학기술사를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석사와 박사 논문은 각각 ?정약전의 <자산어보>에 담긴 해양박물학의 성격?과 <서유구의 선진농법 제도화를 통한 국부창출론>이다. <임원경제지> 중 <본리지>ㆍ<섬용지>ㆍ<유예지>ㆍ<상택지>ㆍ<예규지>ㆍ<이운지>를 공역했다. 또 다른 역주서로 <자산어보:우리나라 최초의 해양생물 백과사전>이 있고, <임원경제지: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을 민철기 등과 옮기고 썼다. 현재 임원경제연구소 소장으로 <인제지> 번역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맞다.「우렁각시」는 십중팔구 어렸을 적에 어른의 입을 통해서 듣는, 또는 그림책이나 만화를 통해서 만나는 어린이의 이야기다. 어린 그들은 우렁에서 각시가 나온다는 상상만으로 충분히 즐거워하고, 사내가 임금이 되어 각시와 살았다는 설정에 기꺼이 환호한다. 총각이 죽어 새가 되고 각시가 죽어 참빗이 되었다는 사연에 잠시 갸우뚱할지 모르나, 금방 잊고서 재잘대며 뛰어놀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끝이 아니다. 민담의 사연은 사라지지 않고 마음 깊은 곳에 스며든다. 하나의 화두가 되어 주인과 함께 움직여 나간다. 무심히 지내던 어느 날, 그는 이 이야기에서 문득 사내의 한숨을 발견할지 모른다. 만약 그가 여성이라면, 어느 날 문득 여인의 깊은 한숨과 대면할지도 모른다. 또 자신의 숨은 욕망과 만날지도 모른다. 성장이 이루어지는 순간들이다.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1> 본문 147쪽


온갖 모순으로 붕괴되기 직전인 봉건국가를 과연 자라처럼 끝까지 지킬 것인가, 토끼처럼 나 몰라라 달아날 것인가? 춘향가 이도령의 만남에 대해서는 모든 사람의 의견이 일치했고, 심청과 부친의 상봉에 대해서는 모든 사람의 의견이 일치했지만, <토끼전>에서 만큼은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사실, <토끼전>에서 제기한 물음은 국가와 개인의 관계로 바꾸어 생각해도 좋으리라.
사실 국가와 개인의 문제란 지금의 우리도 합치된 의견을 내기 곤란한 어려운 문제임이 틀림없고, 그래서 지금의 우리들에게도 곤혹스런 질문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우화가 갖는 양식적 장점을 십분 발휘하여, 첨예한 논제를 판소리의 장으로 끌어들인 <토끼전>의 소설사적 의의는 매우 값진 것이다.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2> 본문 121쪽


「이언」을 펼치면 생생한 표정을 지닌 다양한 여성이 등장해서 자신의 꿈과 욕망, 원망을 토로한다. 신혼의 단꿈에 젖은 새색시도 나오고, 외입하는 남편을 닦달하는 아내도 나온다. 그런가 하면 노골적으로 남성을 유혹하는 기녀도 등장하고, 적나라한 부부싸움의 장면을 배경으로 넋두리를 늘어놓는 아내도 등장한다.

초록빛 상사비단을 말라
쌍침질해 귀주머니 만들었죠.
삼층으로 나비매듭 맺어선
예쁜 손으로 낭군께 드려요.
-「아조 12」

(...) 그제나 이제나 남편을 생의 중심축으로 하여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여성 삶의 생생한 감정이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3> 본문 134~135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