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세트] 베스트 7종 세트 - 전7권](/img_thumb2/K532434198.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K532434198
· 쪽수 : 1397쪽
· 출판일 : 2002-10-30
목차
[공산당선언]
들어가는 말
제1장 공산당선언
1.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2.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
3.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문헌
1) 반동적 사회주의
2) 보수적 또는 부르주아-사회주의
3) 비판적-유토피아적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제2장 공산주의의 원칙
제3장 <공산당 선언>의 중판 및 번역본들의 서문
1. 1872년 독일어판 서문
2. 1882년 러시아어판 서문
3. 1883년 독일어판 서문
4. 1888년 영어판 서문
5. 1890년 독일어판 서문
6. 1892년 폴란드어판 서문
7. 1893년 이탈리어어판 서문 - 이탈리아의 독자에게
해제 - 철학자 마르크스, 공산주의에서 공생주의로
1. 자본주의의 보편화와 <공산당선언>의 의미
2. 마르크스의 생애와 사상
3. <공산당선언>의 철학적 기원
4. 공산주의 이념과 유토피아적 모더니즘
5. '운동'으로서의 공산주의와 시민 사회의 해부
6. <공산당선언>의 현대적 의미와 포스트모던의 공생주의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인간 불평등 기원론]
들어가는 말
제네바 공화국에 바치는 글
머리말
인간 사이의 불평등의 기원과 근거들에 대한 논문
제1부
제2부
해제 -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으나 도처에서 불평등에 시달리고 있다
1. 루소의 삶
2. 통념에 대한 도전, <학예론>과 <인간 불평등 기원론>
3. 인류의 역사에 대한 가설적 추론
4. 원초적 자연 상태의 인간
5. 인간 불평등의 원시적 기원들
6. 불행한 문명을 치유할 방법은?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자유론]
들어가는 말
제1장 머리말
제2장 생각과 토론의 자유
제3장 개별성 : 행복한 삶을 위한 중요한 요소
제4장 사회가 개인에 대해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의 한계
제5장 현실 적용
해제 - 진정한 자유의 의미를 고민한 사상가, 존 스튜어트 밀
1. <자유론> 애사
2. 아버지 제임스 밀의 영재 교육
3. 정치에 잠깐 발 담그다
4. 주요 저술들
5. <자유론> 읽기
(1) 다수의 횡포, 고사 위기의 개별성
(2) 사회성과 개별성
(3) 방향이 있는 자유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나는 고발한다]
들어가는 말
서문
쉐뤠르 케스트네르 씨
조합
조서
청년들에게 보내는 편지
프랑스에게 보내는 편지
나는 고발한다! - 공화국 대통령 펠릭스 포르 씨에게 보내는 편지
배심원들을 향한 최후 진술
정의
제5막
알프레드 드레퓌스 부인에게 보내는 편지
공화국 대통령 에밀 루베 씨에게 보내는 편지
해제 - 드레퓌스 사건과 지식인의 양심
1. 에밀 졸라
(1) 졸라의 문화사적 좌표
(2) 자연주의자 졸라
(3) 시대의 증인 졸라
2. 드레퓌스 사건
(1) 드레퓌스 사건의 역사적 배경
(2) 드레퓌스 사건의 진행 과정
ㄱ. 드레퓌스 재판과 유죄 판결
ㄴ. 피카르의 문제 제기
ㄷ. 에스테라지 재판과 무죄 석방
ㄹ. 졸라의 <나는 고발한다!>
ㅁ. 드레퓌스 사건의 재심과 사면
ㅂ. 드레퓌스의 완전한 복권
3. 드레퓌스 사건과 졸라
(1) <나는 고발한다!> 이전
(2) <나는 고발한다!>
(3) <나는 고발한다!> 이후
4. 멈추지 않는 진실
(1) 드레퓌스 사건의 역사적 의미
(2) 졸라에게 보내는 경의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에티카]
들어가는 말
제1부 신에 대하여
부록
제2부 정신의 본성과 기원에 대하여
정리 49의 따름정리와 증명 및 주석 - 의지와 지성은 동일한 것이다
제3부 정서의 기원과 본성에 대하여
서문
제4부 인간의 예속 혹은 정서의 힘에 대하여
서문
부록
제5부 지성의 역량 혹은 인간의 자유에 대하여
서문
해제 - 자연 속에서 자유를 추구한 철학자
1. 데카르트를 넘어선 스피노자
(1) 실체의 문제
(2) 정신과 신체의 관계 문제
(3) 자유의 문제
2. <에티카>는 무엇을 주장하고 있는가
(1) 신은 인격적 존재가 아니다 - 목적론과 의인론적 신관에 대한 비판
(2) 우리는 아는 만큼 긍정하고 긍정하는 만큼 안다 - 데카르트의 의지론 비판
ㄱ. 데카르트의 오류에 대한 설명 비판
ㄴ. 관념, 사물의 상, 개념의 구분
ㄷ. 가능한 반론과 그것에 대한 논박
(3) 인간은 자연의 일부다
(4) 만물은 자기 보존의 힘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동등하다
(5) 정념은 의지가 아니라 정신의 인식에 의해 치유될 수 있다
3. <에티카>는 서양 사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1) 17세기 - 무신론자 스피노자
ㄱ. <신학-정치론> 비판
ㄴ. 실체의 통일성과 결정론
ㄷ. 스피노자 서클
(2) 18세기 - 창조적인 오해의 시기
ㄱ. 범신론과 카발라주의
ㄴ. 전투적인 익명의 스피노자 추종자
ㄷ. 범신론 논쟁
(3) 19세기 - 다양한 이미지의 공존
ㄱ. 독일 낭만주의자와 관념론자 - 신에 취한 사람
ㄴ. 쇼펜하우어와 니체 - 고행자로서의 스피노자
ㄷ.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4. 스피노자 사상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부록 - <에티카> 차례
주
용어 해설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권리를 위한 투쟁]
들어가는 말
머리말
제11판 서문
제1장 법과 권리의 생성과 목적
제2장 법과 권리를 위한 개인의 투쟁
제3장 국민의 법감정
제4장 독일 보통법에서 권리를 위한 투쟁
해제 - 법학계 프로메테우스 예링의 권리를 위한 투쟁
1. 강렬한 자유정신의 소유자, 예링
2. 법과 권리의 존재 이유를 말한다
3. 예링이 후대에 미친 영향
4. 맺는말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파놉티콘]
들어가는 말
제러미 벤담이 프랑스 국민의회 의원 가랑에게 보내는 편지
파놉티콘―감시 시설, 특히 감옥에 대한 새로운 원리에 관한 논문
1. 파놉티콘의 건축
2. 파놉티콘의 본질적인 장점
3. 파놉티콘의 세부 사항
두 번째 부분―파놉티콘의 관리에 대하여
1. 계약에 의한 관리와 신뢰에 의한 관리의 비교
2. 성별 격리
3. 범죄 등급과 무리별 격리
4. 노동에 관하여
5. 식사 조절에 관하여
6. 의복에 관하여
7. 청결함과 건강에 관하여
8. 교육과 일요일 시간 활용에 관하여
9. 징벌에 관하여
10. 석방된 수감자들을 위한 준비에 관하여
11. 새롭고 간단한 건축 아이디어
해제―파놉티콘과 근대 유토피아
1. 벤담과 공리주의
2. 벤담과 파놉티콘
(1) 파놉티콘의 등장
(2) 18세기 말 감옥 문제
(3) 파놉티콘 구상
(4) 파놉티콘, 절반의 성공
(5) 파놉티콘 건설의 실패
3. 파놉티콘 건축
(1) 수정과 실현에 관하여
(2) 다양한 건축적 기원과 파놉티즘
(3) 파놉티콘의 후예
4. 파놉티콘 관리 방식과 노동
(1) 근대의 노동과 감옥
(2) 감옥의 노동과 분업
(3) 공동 노동과 수용실 체계
(4) 벤담의 관리 방식
(5) 파놉티콘에서의 노동
(6) 벤담식 유용성과 행봉
5. 파놉티콘과 푸코의 해석
(1) 실패한 파놉티콘의 의미
(2) 근대 권력과 파놉티콘
6. 파놉티즘과 새로운 권력 장치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