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 커뮤니케이션

과학 커뮤니케이션

(과학잡지 에피Epi 15호)

이두갑, 이영희, 윤신영, 신견식, 김소형, 남궁석, 강연실, 강순이, 김세정, 심채경, 문성실, 장수진, 신희선, 강미량, 전치형, 전준, 오철우, 조경숙, 송민령, 전용훈, 최명애 (지은이)
이음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680원
15,32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과학 커뮤니케이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 커뮤니케이션 (과학잡지 에피Epi 15호)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72586200112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21-03-05

책 소개

키워드 숨(EX-HA-LA-TION) 섹션 [과학 커뮤니케이션]에서 실험실의 혼돈이 한 편의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실로 생산되고, 그것이 논문에 담겨 세상에 전파되는 과정을 다뤘다.

목차

들어가며 이두갑

키워드-숨(Exalation) 과학커뮤니케이션
그림|과학 일러스트레이터의 세계 | 이영희
검증|과학 출판의 독특한 특징: 동료평가를 중심으로 | 윤신영
번역|언어는 변한다. 번역도 변한다 | 신견식
공유|쉬운 듯 어려운 오픈액세스 | 김소형

특별기획-포스트 코로나
코로나바이러스의 과학, 숨쉬기, 그리고 삶의 연약함 | 이두갑
코로나19 방역의 열쇠가 된 mRNA 백신 | 남궁석
라운드테이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과학자의 일과 삶 | 강연실, 강순이, 김세정, 심채경, 문성실, 장수진

이슈-길(Farcast)
걸음의 재구성: 장애인과 공학자와 로봇은 어떻게 함께 걸었나 | 강미량, 신희선, 전치형
헬로 바이든, 바이 트럼프: 미국의 과학자들은 다시 중흥기를 꿈꾸는가 | 전준

뉴스-갓(Ansible)
과학뉴스 전망대|과학이 다양성과 포용성에 주목하는 이유 | 오철우
편집위원의 시선|과학 잡지를 들춰 보다 | 전치형
‘이루다’를 보내기 전, 우리가 짚어야 할 ‘차별’에 대해 | 조경숙

컬처-터(Foundation)
북리뷰| 약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송민령
물구나무과학|밥을 먹어야 가는 시계: 시간 측정의 과학사 | 전용훈

인류세(Anthropocene)
인문사회, 생태학, 공학 연구자의 ‘AI생태학자’ 함께 만들기 | 최명애

색인(INDEX) 색인

저자소개

전용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천문학사 관련 연구 이외에도 한국 과학사의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하면서 『물구나무 과학』, 『천문대 가는 길』을 썼고, 옮긴 책으로 불교계 탄생점성술에 관한 『밀교점성술과 수요경』이 있다.
펼치기
전용훈의 다른 책 >
신견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25개 이상 언어를 우리말로 옮긴 한국의 ‘언어 괴물’.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언어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기술번역에서 출판번역까지 다양한 부문의 번역 일을 한다. 여러 언어의 말맛을 즐기는 어도락가(語道樂家)이며, 다수의 미디어 업체와 출판사의 언어 자문 및 감수를 맡고 글도 쓴다. 비교언어학, 언어문화 접촉, 전문용어 연구 등 언어와 관련된 다방면의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불안한 남자》 《블랙 오로라》 《박사는 고양이 기분을 몰라》 《미친 듯 푸른 하늘을 보았다》 《언어 공부》 《파리덫》 등을 옮겼고 《콩글리시 찬가》 《언어의 우주에서 유쾌하게 항해하는 법》 등을 썼다.
펼치기
윤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잡지 《에피》 편집위원, 연세대학교에서 도시공학과 생명공학을 공부했다. 과학 기자로 글을 쓰면서 4년간 《과학동아》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생태환경전환잡지 《바람과 물》 편집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2009년 로드킬에 대한 기사로 미국과학진흥협회 과학언론상, 2020년 대한민국과학기자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사라져 가는 것들의 안부를 묻다』와 『인류의 기원』(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신영의 다른 책 >
전치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공부했다. 미국 MIT에서 과학기술사회론 STS: Science, Technology & Society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독일 막스플랑크 과학사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밟았다. 현재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로서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있으며,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관계, 정치와 엔지니어링의 얽힘, 로봇과 시뮬레이션의 문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미세먼지, 세월호 참사, 지하철 정비, 통신구 화재 등의 사건으로부터 로봇과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인류세 등의 주제들까지 과학적 지혜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영역들을 주목하고 고민한다. 2017년 창간한 과학잡지 《에피》 편집주간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동안 펴낸 책으로 『사람의 자리』, 『로봇의 자리』, 『미래는 오지 않는다』(홍성욱과 공저), 『호흡공동체』(김성은, 김희원, 강미량과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전치형의 다른 책 >
전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KAIST를 졸업하고 동 대학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에서 사회학과 환경학Environmental Studies 공동 박사학위과정에 있다. 과학사회학과 환경사, 환경사회학의 접점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장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남방큰돌고래 행동생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어요. 남방큰돌고래를 연구하던 김미연 연구원과 함께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 MARC를 만들어 해양 포유류 연구와 보전 활동을 어어 가고 있어요. 돌고래가 있는 바다가 그렇지 않은 바다보다 멋지고 아름답다고 굳게 믿고 있으며 오래오래 연구할 수 있기를 꿈꿉니다. 쓴 책에 『저듸, 곰새기』 『마린 걸스』(김미연 공저)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조경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개발자, 테크-페미 활동가. 가치 있는 프로젝트를 기술로 지원한다. <아무튼, 후드티>,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닌텐도 다이어리>를 썼고, <웹툰 내비게이션>을 함께 썼다.
펼치기
송민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 뇌과학과가 드물던 시절부터 뇌에 관심이 많았다. 복잡한 뇌의 활동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과학의 언어인 수학을 전공하고, 뇌의 생물학적 원리를 탐구하기 위해서 생명과학을 복수 전공했다. 또 신경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전자공학과 수업을 들었다. 카이스트에서 학부 과정을 마친 뒤, 미국 애리조나대학에서 신경과학 전공, 수학 부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
펼치기
남궁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농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생화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예일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마치고 이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축산식품생명과학부 초빙교수로 근무했다. 과학 저술과 연구 컨설팅을 비롯해 구조 기반 신약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다양한 플랫폼과 강연을 통해 생명과학에 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과학자가 되는 방법》 외에, 《대사질환에 도전하는 과학자들》, 《바이러스, 사회를 감염하다》, 《암 정복 연대기》, 《세포: 생명의 마이크로 코스모스 탐사기》 등이 있다.
펼치기
문성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 시절 우연히, 세계 최초로 한타 바이러스를 발견하신 고故 이호왕 박사님의 강연을 듣고 바이러스의 매력에 빠졌다. 대학원 시절 감염면역학을 전공하며 다양한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을 접했고, 이를 방어할 수 있는 인류 무기인 백신 개발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미생물학자로서 백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부터 시작해 임상 시험을 진행하기까지 20여 년의 시간을 보냈다. 코로나19 이후 바이러스와 백신에 대한 정보를 알려야겠다는 생각으로 글을 쓰는 과학자가 되었다. 이방인, 엄마, 과학자로서의 삶을 살며 뒤에 오는 여성 과학자들을 위한 활동을 해왔다. 현재는 재미여성과학자협회 회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사이언스 고즈 온』을, 공저서로는 『여기서 끝나야 시작되는 여행인지 몰라』 『호모사이언스』 『내일은 내 일이 가까워질 거야』를 썼다.
펼치기
오철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립 한밭대학교 강사. 대학에서 논리적 글쓰기와 과학 저널리즘, 과학 기술과 현대 사회를 강의하고 있다. 2016년 서울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 철학 협동 과정(현 과학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한겨레신문사에서 주로 과학 담당 기자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 『갈릴레오의 두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 태양계의 그림을 새로 그리다』, 『천안함의 과학 블랙박스를 열다』가 있고, 옮긴 책으로 『과학의 언어』, 『과학의 수사학』, 『온도계의 철학』 등이 있다.
펼치기
오철우의 다른 책 >
이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큐브3D그래픽 대표다. 과학일러스트와 플랜트3D분야가 전문이다. 작곡과 전공을 목표로 음악을 공부하다 오른손에 장애를 입고 음대에 진학하지 못했다. 안동과학대학 도시계획정보과 졸업 후 사회복지사로 근무했다. 유년 시절부터 취미로 하였던 그림, 디자인에 집중하기 위해 퇴사 후 사진, 컴퓨터그래픽, 영상 편집, 플랜트모델링 등을 독학하였다. 2009년 ‘함께하는 노인’ 사진 공모전 대상 및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상, 2010년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 자연 부문 대상을 받았다.
펼치기
김소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연구재단 학술데이터분석팀 팀장으로 재직 중이다. 정부 지원 R&D 조사분석, 학술연구 실태조사, 학술지인용색인 DB 등 총괄관리 업무를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문헌정보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표준화위원회 메타데이터프로젝트그룹 전문위원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202104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