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족시인 신동엽

민족시인 신동엽

강은교, 강형철, 구중서, 김우창, 김종철, 김주연, 민병욱, 백낙청, 성민엽, 신경림, 염무웅, 이가림, 이동하, 조태일, 홍기삼, 김윤태 (지은이), 강형철, 구중서 (엮은이)
소명출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족시인 신동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족시인 신동엽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88375105
· 쪽수 : 728쪽
· 출판일 : 1999-04-07

책 소개

스물일곱 명의 학자가 모여 이루어낸 신동엽 30주기 학술 논문집. 그 동안 여기저기에 실렸던 각종 논문들을 모아 묵직한 하나의 단행본으로 묶어냈다. ...

목차

제1부
백낙청- 살아있는 신동엽/ 신경림- 역사의식과 순수언어- 신동엽의 시에 대해서/ 염무웅- 김수영과 신동엽/ 김종철- 신동엽의 도가적 상상력/ 구중서- 신동엽론/ 조태일- 신동엽론/ 강은교- 신동엽 연구/ 채광석- 민족시인 신동엽/ 성민엽- 민중적 자기긍정의 시- 신동엽의 시세계/ 김윤태- 신동엽 문학과 `중립`의 사상

제2부
김우창- 신동엽의 <금강>에 대하여/ 홍기삼- 신동엽론/ 김주연- 시에서의 참여 문제- 신동엽의 <錦江>을 중심으로/ 이가림- 만남과 동정- 신동엽에 있어서의 `귀향`의 의미/ 최유찬- <금강>의 서술양식과 역사의식/ 민병욱- 신동엽의 서사시세계와 서사정신/ 강형철- 신동엽 시의 텍스트 연구-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를 중심으로

제3부
김영무- 알맹이의 역사를 위하여- 신동엽의 시 / 조남익- 신동엽론/ 이동하- 신동엽론- 역사관과 여성관/ 신익호- 신동엽론/ 서익환- 신동엽의 시세계와 휴머니즘- 시적 감수성과 역사의식을 중심으로/ 김완하- 신동엽 시의 형식과 이미지/ 김응교- 신동엽 시의 장르적 특성/ 조해옥- 전쟁 체험과 신동엽의 시/ 박지영- 유기체적 세계관과 유토피아 의식/ 오윤정- 신동엽 시 연구- 물질적 상상력과 歸數性의 시학

저자소개

강은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월간 《사상계》 신인문학상에 시 「순례자의 잠」 외 2편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 『허무집』, 『빈자일기』, 『소리집』, 『우리가 물이 되어』, 『바리연가집』 등이 있고 산문집 『그물 사이로』, 『추억제』,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등이 있다. 한국문학작가상, 구상문학상 본상을 수상했다.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예창작학과 명예교수로 지내고 있다.
펼치기
강형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전북 옥구군 미면(현 군산시)출생 신풍초등학교, 군산남중, 군산상고를 거쳐 숭실대 철학과, 동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박사과정을 졸업했다.(문학박사) 1985년 민중시 2집에 『해망동 일기』 외 5편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했다. <5월시> 동인, 시집으로 『해망동 일기』 『야트막한 사랑』 『도선장 불빛 아래 서 있다』 『환생』 등이 있다. 평론집으로 『시인의 길 사람의 길』 『발효의 시학』 등이 있다. 『민족시인 신동엽』 『시로 읽는 환한 세상』 등의 편저가 있다. 한국작가회의 사무국장 상임이사등을 역임했고 문예진흥원 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숭의여자대학에서 교수를 역임 했고 2020년 정년퇴직을 했다. 현재 군산시 소룡동에 거주하면서 시를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구중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경기도 광주 출생. 중앙대 대학원 국문과 졸업(문학박사). 1963년 《신사조》에서 평론 활동 시작. 이후 가톨릭출판사 주간, 잡지 《창조》 창간인, 수원대 국문과 교수 · 인문대학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한국가톨릭문인회 회장,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등 역임. 비평서로 《한국문학과 역사의식》 《자연과 리얼리즘》 등 다수와 《김수환 추기경 평전 행복한 고난》 등의 저서가 있고, 시조집 《불면의 좋은 시간》 《세족례》 《인사동 게바라》 시선집 《모자라듯》이 있다. 요산문학상, 구상문학상 등 수상.
펼치기
김우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 대학에서 영문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에서 미국문명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학술원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세계의문학》 편집위원, 《비평》 편집인이었다.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있다. 저서로 『궁핍한 시대의 시인』, 『지상의 척도』, 『심미적 이성의 탐구』, 『풍경과 마음』, 『깊은 마음의 생태학』 등이 있고 역서 『가을에 부쳐』, 『미메시스』(공역) 등과 대담집 『세 개의 동그라미』 등이 있다. 팔봉비평문학상, 대산문학상, 금호학술상, 고려대학술상,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 인촌상, 경암학술상 등을 수상했고 2003년 녹조근정훈장을 받았다.
펼치기
김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9월 충남 연기(현재 세종시)에서 태어났고, 1968년 2월 서울대 문리대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인 1967년 11월에 동아일보사 기자로 입사했고, 1975년 3월 자유언론실천운동의 ‘주동자’ 가운데 한 사람이 되어 동아일보사에서 해직된다. 1984∼1988년에는 민중문화운동협의회 공동대표, 1985∼1988년에는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대변인과 사무처장, 1988∼1998년에는 한겨레신문사 논설위원, 1998∼2000년에는 연합뉴스 대표이사를 지냈다. 1995∼2005년에는 사단법인 ‘한국·베트남 함께 가는 모임’ 이사장, 2008∼2013년에는 인천재능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2013년 3월부터 동아자유언론수호 투쟁위원회 위원장, 2014년 2월부터 사단법인 유라시아문화연대 이사장, 2014년 10월부터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2015년 6월부터 민주주의국민행동 공동대표, 2016년 9월부터 2016민주평화포럼 상임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저 가면 속에는 어떤 얼굴이 숨어 있을까』(1992, 한길사), 『아픈 다리 서로 기대며』(1995, 창비), 『마침내 하나 됨을 위하여』(1999, 개마고원), 『오바마의 미국, MB의 대한민국』(2009, 시대의창), 『세시봉 이야기』(2011, 21세기북스), 『박근혜 바로보기』(2012, 프레스바이플), 『폭력의 자유』(2013, 시사in북)가 있다. 총서로는 종교, 교육, 글쓰기, 음악, 영화에 관해 성찰한 『문화의 바다로』 전5권(2011, 21세기북스), 『동아일보 대해부』 5권, 『조선일보 대해부』 5권(공동 집필, 2014, 빛두레)이 있다.
펼치기
김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버클리 대학과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독문학을 연구했다. 『문학과지성』 편집동인으로 활동했으며, 『그리운 문학 그리운 이름들』 『노발리스―낭만주의 기독교 메르헨』 등 최근까지 약 30여 권의 평론집과 연구서를 펴냈다. 30여 년간 숙명여대 독문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김환태평론문학상, 우경문화저술상, 팔봉비평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다.
펼치기
민병욱 (엮은이)    정보 더보기
2016년 현재 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대학원 예술문화와 영상매체 협동과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에 당선하여 문학 평론과 연극 평론 활동을 하면서 문화예술축제에 관련된 일들에 참여하기도 했다. 1991년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1920년 전반기 한국 희곡문학의 연극기호학적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일본 동북대학교, 태국 방콕대학교,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대학교에 방문교수 혹은 자문교수 등으로 재직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예술비평 활동을 하면서 부산지역 매체들에 문화기행을 여러 연재하기도 했다. 한국 현대 희곡 및 연극, 부산지역 문학과 예술에 관한 다수의 논저를 저술했고, 하고 있으며, <배낭에 문화를 담다>를 발간하는 등 문화여행을 계속하고 있다.
펼치기
백낙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생. 고교 졸업 후 도미하여 브라운대와 하바드대에서 수학. 후에 재도미하여 1972년 하바드대에서 D. H. 로런스 연구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6년 계간 『창작과비평』을 창간하고 2015년까지 편집인을 지냈으며, 서울대 영문과 교수,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시민방송 RTV 이사장,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1970년대 이래 민족문학론을 전개하고 분단체제론을 통해 한반도 문제의 체계적 인식과 실천적 극복에 매진해왔으며, 근대에 대한 탐구를 통해 새로운 문명전환의 사상을 연마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 계간 『창작과비평』 명예편집인, 한반도평화포럼 명예이사장으로 있다. 저서로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1 /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합본개정판)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2』 『민족문학의 새단계: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3』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4』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일: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5』 등의 문학평론집과 연구비평서 『서양의 개벽사상가 D. H. 로런스』 『D. H. 로런스의 현대문명관』을 냈고,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흔들리는 분단체제』 『한반도식 통일, 현재진행형』 『어디가 중도며 어째서 변혁인가』 『2013년체제 만들기』 등의 사회평론서와 『백낙청 회화록』(1~7) 『변화의 시대를 공부하다』 『문명의 대전환을 공부하다』 등 다수의 공저서 및 편저서가 있다. 제2회 심산상, 제1회 대산문학상(평론부문), 제14회 요산문학상, 제5회 만해상 실천상, 제11회 늦봄문익환통일상, 제11회 한겨레통일문화상, 제3회 후광김대중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성민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중문과 명예교수. 지은 책으로 학술서 『현대 중국의 리얼리즘 이론』 『무협소설의 문화적 의미』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보는 중국문학』 『언어 너머의 문학』 『비판적 계몽의 루쉰』 등과 문학비평집 『지성과 실천』 『문학의 빈곤』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문학의 숲으로』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아이칭 시선집 『중국의 땅에 눈이 내리고』, 왕멍 장편소설 『변신 인형』, 루쉰 소설선 『아Q정전』과 시·산문선 『부엉이의 불길한 말』 등이 있다.
펼치기
신경림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충주고와 동국대에서 공부했다. 1956년 『문학예술』에 「갈대」 등이 추천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농무』 『새재』 『달 넘세』 『남한강』 『가난한 사랑노 래』 『길』 『쓰러진 자의 꿈』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뿔』 『낙타』 『사진관집 이층』 등과 동시집 『엄마는 아무것도 모르면서』, 산문집 『민요기행』 『시인을 찾아서』 등이 있다. 만해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단재문학상, 대산문학상, 시카다상, 만해대상, 4·19문화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민족예술인총연합 의장, 동국대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다. 2024년 타계했다.
펼치기
염무웅 (엮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 속초에서 출생했고 서울대 독문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6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창작과비평사 대표,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국립한국문학관 관장을 역임했고 현재 영남대 명예교수로 있다. 평론집 『민중시대의 문학』 『혼돈의 시대에 구상하는 문학의 논리』 『모래 위의 시간』 『문학과 시대현실』 『살아 있는 과거』 『한국 현대시』(선집), 산문집 『자유의 역설』 『반걸음을 위한 현존의 요구』 『지옥에 이르지 않기 위하여』, 대담집 『문학과의 동행』, 공역서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등이 있다. 팔봉비평문학상, 요산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가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겸 불문학자로 본명은 이계진이다. 성균관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루앙대학교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등단했고 인하대학교 불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1993년 정지용문학상, 1996년 편운문학상, 2009년 한국펜클럽번역문학상을 수상했다. 루게릭병으로 투병하다 2015년 세상을 떠났다. 시집으로 《빙하기》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내 마음의 협궤열차》, 산문집 《사랑, 삶의 다른 이름》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가스통 바슐라르의 《촛불의 미학》 《물과 꿈》 《꿈꿀 권리》, 장 콕토의 《내 귀는 소라껍질》, 쥘 르나르의 《홍당무》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동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법학과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4년 대한민국문학상 신인상, 1990년 조연현문학상, 1991년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2007년 현재 서울시립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집 없는 시대의 문학>, <문학의 길, 삶의 길>, <우리 문학의 논리>, <현대소설의 정신사적 연구>, <물음과 믿음 사이>, <아웃사이더의 역설>, <혼돈 속의 항해>, <신의 침묵에 대한 질문>, <이광수>, <우리 소설과 구도정신>, <홀로 가는 사람은 자유롭다>, <한국문학과 비판적 지성>, <한 문학평론가의 역사 읽기> 등이 있다
펼치기
조태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전남 곡성 동리산 태안사에서 출생하여 경희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1년 제1회 편운문학상, 성옥문화대상을 수상했다. 주요 시집으로 <식칼론>, <국토>, <가거도>, <자유가 시인더러>, <산속에서 꽃속에서>, <풀꽃은 꺾이지 않는다> 등이 있다. 시론집으로 <고여있는 시와 움직이는 시>, 그외 <알기쉬운 시창작 강의> 등의 저서가 있다. 사단법인 민족문학작가회의 부이사장, 광주대 문예창작과 교수를 역임했다.
펼치기
홍기삼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40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났다. 호는 고우(古雨) 또는 육주(六州)다. 동국대학교 국문과와 동 대학원을 마치고 일본 쓰쿠바(筑波)대학 역사·인류학계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2년 ≪현대문학≫지에 평론으로 등단한 뒤 줄곧 현장비평에 주력하다가 1980년대 이후로는 강단비평과 국문학 연구에 더 치중했다. 1990년대 후반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책임을 맡기도 했다. 현대문학상, 서울시문학상 등 몇 개의 문학상을 수상했고, 2006년에는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상황문학론≫(1974), ≪문학사의 기술과 이해≫(1978), ≪북한의 문예이론≫(1981), ≪해금문학론≫(1991), ≪홍명희≫(1996), ≪문학사와 문학비평≫(1996), ≪佛敎文學이란 무엇인가≫(1997), ≪불교문학 연구≫(1997), ≪향가설화문학≫(1997), ≪민족어와 한국문학≫(2010) 등이 있다. 지금은 동국대 석좌교수로 있다.
펼치기
김윤태 (엮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1959년 경북 김천 출생. 서울대 국문과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저서로 『한국 현대시와 리얼리티』 등이 있으며, 엮은 책으로 『한국대표노동시집』 『신동엽 시전집』 『신동엽 산문전집』 등이 있다. 인하대 연구교수, 중국해양대학 초빙교수, 신동엽기념사업회 상임이사 및 신동엽문학관 사무국장 등을 역임했다.
펼치기
강형철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전북 옥구군 미면(현 군산시)출생 신풍초등학교, 군산남중, 군산상고를 거쳐 숭실대 철학과, 동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박사과정을 졸업했다.(문학박사) 1985년 민중시 2집에 『해망동 일기』 외 5편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했다. <5월시> 동인, 시집으로 『해망동 일기』 『야트막한 사랑』 『도선장 불빛 아래 서 있다』 『환생』 등이 있다. 평론집으로 『시인의 길 사람의 길』 『발효의 시학』 등이 있다. 『민족시인 신동엽』 『시로 읽는 환한 세상』 등의 편저가 있다. 한국작가회의 사무국장 상임이사등을 역임했고 문예진흥원 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숭의여자대학에서 교수를 역임 했고 2020년 정년퇴직을 했다. 현재 군산시 소룡동에 거주하면서 시를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구중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경기도 광주 출생. 중앙대 대학원 국문과 졸업(문학박사). 1963년 《신사조》에서 평론 활동 시작. 이후 가톨릭출판사 주간, 잡지 《창조》 창간인, 수원대 국문과 교수 · 인문대학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한국가톨릭문인회 회장,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등 역임. 비평서로 《한국문학과 역사의식》 《자연과 리얼리즘》 등 다수와 《김수환 추기경 평전 행복한 고난》 등의 저서가 있고, 시조집 《불면의 좋은 시간》 《세족례》 《인사동 게바라》 시선집 《모자라듯》이 있다. 요산문학상, 구상문학상 등 수상.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