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88994006949
· 쪽수 : 150쪽
· 출판일 : 2013-10-25
책 소개
목차
31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김소진
32 오후, 가로지르다-하성란
33 나는 봉천동에 산다-조경란
34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박민규
35 성탄특선-김애란
36 무자년의 가을 사흘-서정인
37 유자소전-이문구
38 향기로운 우물 이야기-박범신
39 월행-송기원
40 협죽도 그늘 아래-성석제
41 아겔다마-박상륭
42 내 영혼의 우물-최인석
43 당신에 대해서-이인성
44 회색 時-배수아
45 브라운 부인-정영문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런데 나는 왜 구린내가 진동하는 깨진 항아리 속에서 똥을 누는 데 울고 싶어졌을까? 늙은 어머니와 아내 그리고 이제 막 초콜릿 맛을 안 네 살배기 아이, 이렇게 세 사람의 식솔을 거느린 가장이 비록 속눈썹이나마 이렇게 주책없이 적셔서야 되겠는가, 아아. 하지만 여태껏 나를 지탱해왔던 기억, 그 기억을 지탱해온 육체인 이 산동네가 사라진다는 것이 아니겠는가, 나를 이렇게 감상적으로 만드는 게. 이 동네가 포크레인의 날카로운 삽질에 깎여 가면 내 허약한 기억도 송두리째 퍼내어질 것이다. 그런데 나는 기껏 똥을 눌 뿐인데…… 그것 밖에 할 일이 없는데…….
But why did I feel like crying while shitting in a broken jar swirling with a foul stink? How could the head of a household of four, with an old mother,
a wife, and a four-year-old toddler, who had just discovered chocolate, get wet around his eyes, so undignifiedly, even if it was only his eyelashes that got wet? Ah. Still, we were talking about the imminent disappearance of this slummy town in the hills, the physical body that had sustained my memory, which in turn had sustained me. That is what was making me sentimental. As the excavators
carved up the town, they would also gouge out my frail memories of this place. But I was only taking a dump here... there was nothing else I could do...
-김소진,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중에서-
세상 달라졌다는 말 나는 믿지 못합니다. 민주화, 새천년, 인터넷, 모두 웃기는 얘기예요. 달라진 건 겉옷뿐이지요. 상생이라고 하던가요. 너 죽고 나 살자 하지 말고, 너 죽고 나 죽고 하지 말고, 너 살고 나도 살아 상생, 예전엔 더불어, 라고 했던 말, 공동체, 라고 했던 말, 이제 민주화 세계화했으니, 보통 사람도 제각각 제몫몫, 말할 거 말하고 요구할 거 요구하게 됐으니, 옳거니, 새 세상에 맞추어야지, 얼른 얼른 새로운 말 덮어씌워 상생, 서로 상(相) 날 생(生) 상생, 하고 보면 우리 사는 세상, 가야 할 방향으로 잘 가고 있구나, 모두들 제 빛깔로, 억울할 거 없는 제몫의 삶을 살고 있다고 느끼지만요, 개뿔이나, 겉옷을 바꿔 입었을 뿐이라는 거, 나는 알아요. 나무양판이 쇠양판되남요?
They call it “sang-saeng,” don’t they? Cohabitation. It’s not you die and I die, and it’s not you die and I live, it’s you live and I live, too. It’s everyone living together. We used to call it communal living, but now, in this age of democracy and globalization, now that even ordinary folks can look out for their own best interests, now that everyone can say what they have to say and demand what they want to demand, well, we have to adapt to this new reality,
to evolve with the times. “Sang” for one another,
“saeng” for life; thinking about it it feels like this world we’re living in isn’t so bad, that we’re all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each of us getting to be our own hue, each of us in charge of our own destiny. What garbage. The only thing that’s changed is the outer garment, like I said. Wood doesn’t just turn into metal, you know?
-박범신, 『향기로운 우물 이야기』중에서-
크리스마스를 며칠 앞둔 날, 남자는 도서관 휴게실에 앉아 자판기 커피를 마시고 있었다. 남자는 여자가 졸업 선물로 준 만년필을 꺼내, 종이컵 위에 성탄절에 드는 하루 데이트 비용을 적어보았다. 저녁식사 약 2만 원, 영화 관람료 1만 4천 원, 선물 2만 원, 찻값 1만 원, 모텔비 4만 원…… 얼추 10만 원이 넘었다. 여자가 찻값이나 영화 관람료를 낸다고 해도 적은 돈이 아니었다. 돈을 꾸어볼까 생각해봤지만, 그럴 만한 곳에서는 이미 빚을 진 상태였다. 남자는 여자와 크리스마스를 함께 보내고 싶었다. 저녁도 먹고, 선물도 주고, 와인이나 칵테일도 마시고, 평소 가던 곳보다 조금쯤 더 비싼 모텔에서 근사한 섹스도 하고 싶었다. 그러니까…… 남들처럼. 남자는 돈을 구할 수 없었다. 그렇다고 크리스마스 날까지 여자에게 모든 비용을 부담하게 만드는 형편없는 남자는 되고 싶지 않았다. 결국 남자는 거짓말을 했다. ‘어머님이 편찮으시다.’ 그것이 자신과 여자에게 해줄 수 있는 유일한 크리스마스 선물이었다.
A few days before Christmas, he was drinking coffee from a vending machine in the rest area of a library. He pulled out the fountain pen the woman had given him as a graduation present and started to jot down projected expenses for a Christmas date. Dinner: 20,000 won. Movie Tickets: 14,000 won. Present: 20,000 won. Coffee: 10,000 won. Motel
Fee: 40,000 won. It came to over 100,000 won. Even if she were willing to take care of the coffee and movie tickets, it was still quite a lot of money. He thought about borrowing money from people, but he had run out of people to borrow from. He wanted to spend Christmas with her. He wanted to dine with her, give her presents, drink wine or cocktails, and have fantastic sex at a slightly more upscale motel than usual...like other people do. He couldn’t come up with the money for a Christmas date, but he didn’t want to be the pathetic loser who made his girlfriend pay for everything on Christmas. In the end, he lied. “My mother’s sick.” That was the best Christmas gift he could give his girlfriend and himself.
-김애란, <성탄특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