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뉴레프트리뷰 6

뉴레프트리뷰 6

에티엔 발리바르, 장 폴 사르트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베네딕트 앤더슨, 볼프강 슈트렉, 닐 데이비슨, 마르코 데라모, 토마스 피케티, 호세 에밀리오 부루쿠아, 스벤 뤼티켄, 크리스틴 수락, 션 스타즈, 크리스토퍼 존슨, 글렙 파블롭스키, 에밀리 모리스 (지은이), 변광배, 진태원, 정병선, 박형준, 정재원, 홍기빈, 김성경, 김영아, 장진범, 김영선 (옮긴이)
길(도서출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뉴레프트리뷰 6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뉴레프트리뷰 6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4451182
· 쪽수 : 442쪽
· 출판일 : 2015-09-15

책 소개

영국에서 격월간으로 출간되는 진보저널 <뉴레프트리뷰> 한국어판 제6호. 자본주의 문제, 현대 프랑스 사상의 어제와 오늘, 각 지역의 쟁점들, 문화와 예술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목차

편집자 서문 5

제1부 국제 정치경제
1. 자본주의는 어떻게 종언에 이를까 / 볼프강 슈트렉 25
2. 지구적 수렴이라는 불가능한 상상 / 션 스타즈 63
3. (인터뷰) 불평등의 동학: 토마 피케티와의 인터뷰 85

제2부 (특집) 현대 프랑스 사상: 어제와 오늘
4. (인터뷰) 저무는 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와의 인터뷰 107
5. 모두 다 상연되었다?: 레비스트로스의 역사철학 / 크리스토퍼 존슨 128
6. 마르크스주의와 주체성: 1961년 로마 강연 / 장-폴 사르트르 150
7. 알튀세르와 윌므가(街) / 에티엔 발리바르 190

제3부 각 지역의 쟁점들
8. 푸틴의 세계관: 톰 파핏과의 인터뷰 / 글렙 파블롭스키 217
9. 스코틀랜드의 분수령 / 닐 데이비슨 236
10. 당신이 모르는 쿠바의 실상 / 에밀리 모리스 273

제4부 문화와 예술
11. 이중(二重)의 부재: 실종자를 표현하는 방식 / 부루쿠아ㆍ키아트콥스키 329
12. 문화혁명: 펑크부터 뉴 프로보타리아트까지 / 스벤 뤼티켄 352
13. 노벨상이 외면한 지역과 작가들 / 베네딕트 앤더슨 378
14. 유네스코가 도시를 죽이고 있다 / 마르코 데라모 394

제5부 서평
15. 일본을 다시 판다: 데이비드 필링의 『역경을 이겨낸다』 / 크리스틴 수락 409

출전 428
지은이 소개 431
옮긴이 소개 437

저자소개

에티엔 발리바르 ()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해 스승인 루이 알튀세르와 조르주 캉길렘에게 철학을 배웠고, 동료이자 선생인 자크 데리다와 미셸 푸코에게도 큰 영향을 받았다. 알튀세르의 충실한 제자로서 그의 마르크스주의 개조 작업을 추수하며 1965년에는 알튀세르, 자크 랑시에르, 피에르 마슈레, 로제 에스타블레와 함께 『“자본”을 읽자』를 공동 저술했다. 이후에도 알튀세르의 영향하에 마르크스주의 개조 작업을 이어 나가 1974년 『역사유물론 5연구』와 1976년 『프롤레타리아독재에 관하여』를 저술했다. 하지만 1980년 알튀세르가 아내 엘렌 리트만을 교살하고 정신병원에 유폐된 뒤에는 독자적인 마르크스주의 해체 작업에 착수해 그 결과물을 1997년 『대중들의 공포』 등으로 출간했으며, 1990년대 이후 세계화 및 유럽 건설이라는 이중의 정세 속에서 대중운동의 확장 및 시민권 헌정의 민주주의적 전화를 모색하려는 이론적 작업을 수행해 그 결과물을 2001년 『우리, 유럽의 시민들』 등으로 출간했다. 파리 낭테르 10대학 철학과 교수와 명예교수를 지낸 뒤 미국으로 이주해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어바인) 특훈교수를 지냈으며, 코로나19 감염증 사태를 전후로 파리로 돌아와 자신의 지적 여정 전체를 여섯 권의 ‘에크리’로 정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본서인 『개념의 정념들』(에크리 2권)을 포함해 『끝날 수 없는 역사』(에크리 1권)와 『세계정치』(에크리 3권)가 현재 출간되었으며, ‘공산주의’, ‘인종주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관한 나머지 에크리의 출간을 준비 중이다.
펼치기
에티엔 발리바르의 다른 책 >
장 폴 사르트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5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두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외조부모와 편모 슬하에서 성장했다. 프랑스 고등사범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1929년에는 교수자격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했다. 1939년 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참전해 포로가 되었다가 1941년 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 1945년 《현대》를 창간해 참여문학을 주창하고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지식인으로 명성을 날렸다. 후설 현상학의 영향 아래 쓴 『자아의 초월성』(1936)을 시작으로 『존재와 무』(1943), 『변증법적 이성 비판』(1960) 등을 저술한 철학자이자 소설 『구토』(1938), 『자유의 길』(1945~1949)의 저자이며, 『문학이란 무엇인가』(1947), 『집안의 천치』(1970) 등으로 문학비평에서도 한 획을 그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사상가이다. 다양한 정치평론은 물론 열 편의 희곡도 남겼으며 자서전 『말』을 집필했다. 1964년에 노벨 문학상 수상을 거절했다. 1980년 사망하여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펼치기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벨기에 브뤼셀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자랐다. 소르본대학에서 철학과 법학을 공부하고 1931년 철학 교수자격시험에 합격한 뒤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철학을 가르치는 일에 흥미를 느끼지 못할 무렵, 로버트 로위의 『원시 사회』를 읽고 인류학으로 방향을 돌렸다. 지도교수였던 셀레스탱 부글레의 추천을 받아 1935년 브라질 상파울루대학의 사회학 교수가 되어 1939년까지 머물며 남아메리카 원주민 사회를 현장 조사했다. 이 시기의 경험은 훗날 대중적 명성을 안겨준 『슬픈 열대』(1955)의 토대가 됐다. 나치 점령기인 1941년에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의 ‘신사회조사연구소’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지식인들과 폭넓게 교류했다. 특히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과의 만남은 구조주의 인류학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1948년 프랑스로 돌아와 박사학위 논문 『친족 관계의 기본구조』(1949)를 출간해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이후 구조주의를 선도하며 세계적인 학자의 반열에 올랐다. 인류박물관 부관장(1945~50), 파리고등연구원 종교학 분과 책임자(1950~74), 콜레주 드 프랑스의 사회인류학 교수(1959~1982)를 지냈고, 1973년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이 됐다. 2009년 10월 30일 파리에서 세상을 떠났다. 주요 저서로 『인종과 역사』(1952), 『구조인류학』(1958), 『오늘날의 토테미즘』(1962), 『야생의 사고』(1962), 『신화론』(전 4권, 1964~1971), 『멀리서 본 시선』(1983) 등이 있다.
펼치기
베네딕트 앤더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윈난 성의 쿤밍에서 태어나 베트남인 보모의 손에 자랐으며, 캘리포니아?아일랜드?영국에서 학교를 다닌 후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고전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코넬대학교 대학원생으로서 일본 점령기와 그 직후의 인도네시아에 대해 여러 해 동안 현지에서 수집한 자료로 자바의 ‘해방 3년사’에 관한 박사학위논문을 완성했고, 1967년부터 2002년까지 같은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정치학과 동남아시아학을 가르쳤다. 1970년대 초 인도네시아의 군사 정권에 의해 입국이 금지된 후에는 태국과 필리핀도 연구했다. 영국 국적을 포기하면서 아일랜드 국적을 취득했고, 1970년대 후반에는 인도네시아의 공산당 출신 정치범들과 인도네시아 점령 하 동티모르인들이 겪는 현실에 대해 미국 의회에서 증언했다. 대표작 『상상된 공동체』 외에도 역사와 정치, 문화, 문학 분야에 걸쳐 수많은 연구를 남겼으며, 자전적 회고록 『경계를 넘은 삶』(A Life Beyond Boundaries, 2016?/?일본어판 『코코넛 껍질 밖으로』(ヤシガラ椀の外へ, 2009))을 출간했다. 미국 사회과학연구위원회의 앨버트 O. 허시먼 상(2011)을 비롯해 학술상을 다수 수상했다. 유럽과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에 능통했으며, 동남아시아 작가와 혁명가들의 글 다수를 영미권에 소개하면서 때로는 직접 번역했다. 2015년 12월 인도네시아 동부자바에서 영면했다.
펼치기
볼프강 슈트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렝에리히 출생. 사회경제학자. 쾰른 막스플랑크사회연구소 명예소장을 지냈다. 비교정치경제학을 바탕으로 ‘제도의 역사적 변화’를 연구하고 있으며, 영국 학술지 「뉴레프트 리뷰」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시간 벌기(Gekaufte Zeit)』 등이 있다.
펼치기
마르코 데라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태어났다. 로마 대학에서 2년간 이론물리학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파리로 가서 피에르 부르디외와 함께 사회학을 연구하고 있다. 『일 메니페스토』(Il manifesto)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하고 있기도 하다. 주요 저서로는 마이크 데이비스(Mike Davis)와 함께 쓴 The Pig and the Skyscraper: Chicago: A History of Our Future(2002)가 있다.
펼치기
토마 피케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경제대학교 교수. 소득과 불평등에 대해서 연구하는 경제학자이자 역사를 탐구하는 사회과학자다. 재분배와 글로벌 자본세를 내세운 《21세기 자본》으로 세계적인 명사로 떠올랐다. ‘21세기의 마르크스’로 불리며, 2013년에는 유럽 경제 연구에 탁월한 기여를 한 45세 이하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이리외 얀손 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자본과 이데올로기》 《평등의 짧은 역사》 《불평등 경제》 등이 있다.
펼치기
호세 에밀리오 부루쿠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6년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나 미술사와 과학사를 공부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에서 철학과 문학 박사 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교 현대사 전임교수로 임명되었다. 지금은 미술품과 문헌의 보존과 복원에 대한 연구 및 제작 센터의 공동 책임자이자, 제네랄 산마르틴 국립대학의 전임교수로 있다. 유럽의 여러 대학과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의 객원교수이고 아르헨티나 국립 미술 아카데미 회원이기도 하다. 원근법의 역사 그리고 이미지와 개념의 역사적 관계 등에 관한 책과 글을 발표했다.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의 웃음의 역사에 대한 연구서인 『어린 양과 코끼리』(Corderos y elefantes)가 가장 잘 알려진 저작 가운데 하나다.
펼치기
스벤 뤼티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 독일 켐펜(Kempen)에서 태어났다.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과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예술사를 공부했다. 2004년에 암스테르담의 BKVB 재단의 예술비평 부문에서 수상했다. 현재 암스테르담 자유대학에서 예술사와 예술비평을 가르치고 있고, De Witte Raaf의 편집자이다. Jong Holland, Artforum, New Left Review, Afterimage, Texte zur Kunst, Camera Austria 같은 잡지에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으며, 작가나 초청 큐레이터로서 전시회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Life, Once More: Forms of Reenactment in Comtemporary Art(공저, 2005), Secret Publicity(2006), Idols of the Market: Modern Iconoclasm and the Fundamentalist Spectacle(2009) 등이 있다.
펼치기
크리스틴 수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UCLA, 뒤스부르크-에센 대학 등에서 강의를 했으며, 현재 런던 대학 동양·아프리카학부의 일본정치학 부교수로 일하고 있다. 이주 체제나 임시 노동 이주 프로그램 면에서 동아시아 내에서의 이주와 세계로의 이주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연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동아시아의 내셔널리즘, 정치, 문화 등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Making Tea, Making Japan: Cultural Nationalism in Practice(2012)이 있으며, 이 책으로 2013 미국사회학회 동아시아학 부문에서 주는 우수 도서상을 받았다.
펼치기
션 스타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2년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유럽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온타리오 주(州) 요크 대학에서 정치학으로 다시 석사과정을 마친 다음에 2014년 “The Persistence of American Economic Power in Global Capitalism: From the 1960s into the Twenty-First Century”라는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과정 수료 후 홍콩 시립대학 국제관계학부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미국 MIT 대학의 국제연구센터에서 비상임 연구원으로 등록되어 노엄 촘스키의 연구 지도를 받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으로 2013년에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에 수록된 “American Economic Power Hasn’t Declined--It Globalized!”를 꼽을 수 있는데, 그해 Foreign Policy의 지구정치경제학 부문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이 밖에도 “State and Capital: False Dichotomy, Structural Super-Determinism, and Moving Beyond”가 The Capitalist Mode of Power: Critical Engagements with the Power Theory of Value(2014)에 수록되었다.
펼치기
크리스토퍼 존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노팅엄 대학의 불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장-폴 사르트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자크 데리다를 비롯한 현대 프랑스 사상에 관해 많은 연구를 발표했다. 또한 사이버네틱스,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기계번역 등과 관련된 기술철학의 문제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System and Writing in the Philosophy of Jacques Derrida(1993), Claude L?vi-Strauss: The Formative Years(2003) 등이 있다.
펼치기
글렙 파블롭스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러시아의 정치학자이자 언론인으로 1951년 우크라이나 오데사에서 태어났다. 1968년부터 1973년까지 오데사 대학 역사학부에서 공부했으며, 소련 시기 내내 좌파적 반체제 운동가로 활동했다. 21세 때 정치단체를 조직하고 오데사 내 반체제운동 단체의 연대 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대학에서 발행하는 신문에 처음으로 기고한 글로 인해 ‘극좌파-무정부주의적 경향’으로 낙인찍혀 소련 공산당 정치국에 의해 발간이 금지되었다. 1970년대 모스크바로 이주한 후 반체제 인사를 규합하고 반체제 지하신문을 발행하는 등 주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1982년 반(反)소비에트 활동 혐의로 3년 형을 받고 러시아연방 내 코미 공화국으로 추방되어 집 수리공으로 일하기도 했다. 소련 붕괴 이후 최근까지 Kommersant, Russian Journal, Europe 등 여러 신문과 잡지의 편집장, 출판사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Foundation of Effective Politics’를 창립했다. 이를 바탕으로 Lenta.ru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인터넷 언론 매체들을 창립하거나 재정 지원하고 있기도 하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NTV의 유명한 주말 시사평론 프로그램인 ‘Real Politics’를 진행하기도 했다.
펼치기
에밀리 모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을 연구하는 발전경제학자이다. 2008년부터 2012년 사이에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미주학 연구소(Institute for the Study of the Americas)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박사 학위논문을 완성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칼리지 런던 대학(University of College London)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신자유주의 이후의 라틴아메리카 경제’, ‘쿠바의 이행’ 등의 과목을 가르쳤다. 2014년 9월부터는 워싱턴의 미주개발은행에서 벨리즈와 중앙아메리카의 국가 경제 전문가로 일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Cuba’s new relationship with foreign capital: economic policymaking since 1990”(2008), “Alternative scenarios for Cuba: Ch?vez, oil, US sanctions”(2011), “How Will U.S.-Cuban Normalization Affect Economic Policy in Cuba?”(2015) 등이 있다.
펼치기
변광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 3대학에서 사르트르 연구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프랑스 인문학 연구모임 ‘시지프’를 이끌고 있다. 『『존재와 무』: 실존적 자유를 향한 탐색』, 『『제2의 성』: 여성학 백과사전』, 『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 읽기』, 『사르트르 vs. 보부아르』, 『폭력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등을 짓고, 『자살: 사회학적 연구』, 『롤랑 바르트, 마지막 강의』, 『사르트르 평전』, 『레비나스 평전』, 『마르셀 모스 평전』, 『데리다, 해체의 철학자』, 『사르트르와 카뮈: 우정과 투쟁』, 『상상적 마르크스주의들』 등을 옮겼다.
펼치기
정병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수학, 사회물리학, 진화생물학, 언어학, 신경 문화 번역학, 나아가 인지와 계산, 정보 처리, 지능의 본질을 연구한다. 『무기 대백과사전』, 『비행기 대백과사전』, 『수소 폭탄 만들기』, 『타고난 반항아』, 『렘브란트와 혁명』, 『주석과 함께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앨리스의 놀라운 세상 모험』 등 수십 권의 책을 한국어로 옮기거나 썼다. 영어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박형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환사회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서섹스대학교에서 사회정치사상 석사과정을 마친 후 캐나다 요크대학교에서 국제정치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과 진보금융네트워크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재벌, 한국을 지배하는 초국적 자본》을 썼으며, 옮긴 책으로 《미국의 불평등은 돌이킬 수 없는가》, 《유로》, 《성장을 넘어서》, 《경제성장과 사회보장 사이에서》, 《GDP는 틀렸다》, 《스티글리츠 보고서》, 《불경한 삼위일체》(공역)가 있다.
펼치기
정재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를 잠시 다니다가 중단하고, 서울대 국제지역원(현 국제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친 뒤,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대학 사회학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2008년 12월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사회학연구소에서 「세계화 영향 아래에서의 러시아 노동시장과 노동이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체제 전환기 러시아 사회계층화, 노동, 젠더, 민족, 이주 문제 등에 대한 여러 편의 러시아어 논문을 썼으며, 현재 러시아 노동문제에 관한 저술과 사회운동에 관한 번역을 준비하고 있다. 러시아 여성, 인권운동, 전쟁 전 이라크 현지 반전운동 등에 참여하기도 했다. 현재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로 있다. 논문으로는 「세계화 영향 아래 러시아 노동시장에서의 젠더적 측면 연구」, 「세계화 과정 속에서의 러시아 고용구조 변화」, 「새로운 경제체제 아래 러시아 사회구조의 변화」, 「세계화 맥락 속에서의 러시아 노동이주 문제 연구」(이상 러시아어),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노동시장: 고용구조 변화를 중심으로」(우리말) 등이 있다.
펼치기
홍기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외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요크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치경제학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재)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어나더 경제사1, 2》,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 등이 있 으며, 옮긴 책으로는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개럿 스테드먼- 존스의 《칼 마르크스: 위대함과 환상 사이》(제59회 한국출판문화 상 번역상 수상), 케이트 레이워스 《도넛경제학》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에식스대학교에서 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성공회대학교, 싱가포르국립대학교를 거쳐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북한 사회·문화, 이주, 여성, 청년, 영화 등을 주요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저서로 『살아남은 여자들은 세계를 만든다』, 『갈라진 마음들』, 공저로 『사소한 것들의 현대사』, 『분단 너머 마음 만들기』, 『한(조선) 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3, 6~8』, 『분단된 마음의 지도』, 『탈북의 경험과 영화 표상』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경의 다른 책 >
김영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셰익스피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절대군주제의 위기와 폭군살해 논쟁 그리고 셰익스피어』, 옮긴 책으로ㅤ『이행의 시대』(공역), 『뉴레프트리뷰 6』(공역)가 있다.
펼치기
김영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출판편집자, 양육자를 거쳐 출판번역자로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서평가의 독서법』, 『진실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 『번영하는 도시, 몰락하는 도시』, 『권력은 현실을 어떻게 조작하는가』, 『가난 사파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