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뉴레프트리뷰 3

뉴레프트리뷰 3

리처드 워커, 스튜어트 홀, 슬라보예 지젝, 에릭 홉스봄, 타리크 알리, 베네딕트 앤더슨, 케네스 포메란츠, 훙호펑, 마이크 데이비스, 스벤 뤼티켄, 수전 왓킨스, 에마뉘엘 테레, 존 그랄 (지은이), 정대훈, 진태원, 정병선, 공원국, 정세은, 서지원, 김성호, 하남석, 홍기빈, 안효상 (옮긴이)
길(도서출판)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뉴레프트리뷰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뉴레프트리뷰 3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4450307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1-04-29

책 소개

21세기 인류 최대의 문제는 신자유주의와 기후변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둘다 예측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더더욱 그것은 공포스럽게 다가온다. 대안은 쉽지 않다. 그러나 <뉴레프트리뷰 3>에서는 인류의 공통 문제에 대해 심각한 고민거리를 제기하면서 정확한 현실 인식을 같이 주문하고 있다.

목차

편집자 서문 김동춘 5

제1부 기후변화와 지구 환경
1. 전 지구적 차원의 위기, 누가 방주를 만들 것인가 마이크 데이비스 17
2. 위기의 대(大)히말라야 수계(水系): 농업 위기, 대형 댐 그리고 환경 케네스 포머런츠 43
3. 비자연적 역사? 스벤 뤼티켄 89

제2부 국제 정치경제
4. 사막의 모래언덕은 끊임없이 움직인다 수전 왓킨스 119
5. 오바마의 (중동) 전쟁: 새로운 월스트리트 시스템의 결과 타리크 알리 156
6. 표류하는 황금 주(州), 캘리포니아 리처드 워커 183
7. 중국은 미국의 집사인가: 지구적 위기 속에서의 중국의 딜레마 훙호펑 220
8. 경제의 영구 비상사태 슬라보이 지젝 245

제3부 이론과 사상
9. 법 대(對) 정치 에마뉘엘 테레 263
10. 서양 민족주의와 동양 민족주의: 중요한 차이가 있을까 베네딕트 앤더슨 294
11. 서구 신좌파의 역사 스튜어트 홀 311

제4부 대담
12. 혼란스러운 세계: 에릭 홉스봄과의 대담 에릭 홉스봄 341

제5부 서평
13. 세계경제는 어디로 가는가: 미셸 아글리에타, 로랑 베레비의 『세계 자본주의의 무질서』 존 그랄 369

출전 385
지은이 소개 388
옮긴이 소개 393

저자소개

리처드 워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탠퍼드 대학을 졸업하고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캠퍼스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도시 지리학, 경제 지리학 및 환경 문제이며, 미국 캘리포니아와 유럽 지역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The New Social Economy: Reworking the Division of Labor(공저, 1992), The Conquest of Bread: 150 Years of Agribusiness in California(2004), The Country in the City: The Greening of the San Francisco Bay Area(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스튜어트 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표적인 미디어·문화연구 이론가로 영국 문화연구, 버밍엄학파의 창시자로 꼽힌다.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태어나 자메이카대학을 졸업한 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에 진학했으나 학업을 중단하고 반핵 운동을 비롯해 신좌파 운동에 뛰어들어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며, <대학과 좌파 평론>과 <뉴 레프트 리뷰>의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1968년 버밍엄대학교 현대문화연구소 소장, 개방대학교 교수를 지내면서 ≪의례를 통한 저항≫, ≪위기 관리≫, ≪대처리즘의 문화정치≫ 등 많은 영향력 있는 저작을 집필했다. 이론적 저술뿐 아니라 <오늘의 마르크스주의> 등 잡지 기고, 텔레비전 출연 등 활발한 현실 참여 활동을 통해 영국 진보 정치와 노동당의 노선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펼치기
슬라보예 지젝 (엮은이)    정보 더보기
슬로베니아 류블랴나에서 태어나 류블랴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파리8대학교에서 정신분석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문학, 사회학, 예술과 대중문화를 넘나들며 전방위적 영향력을 끼치는 이 시대 가장 주목받는 사상가로 꼽힌다. 헤겔주의 철학자이자 라캉주의 정신분석학자, 코뮤니스트이다. 현재는 영국 런던대학교 버크벡 인문학연구소 국제 소장, 미국 뉴욕대학교 독일어과 글로벌 석좌교수, 스위스 유럽대학원 철학과 교수,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학교 철학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잉여향유』, 『팬데믹 패닉』,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등이 있다.
펼치기
에릭 홉스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7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나 오스트리아, 독일과 영국에서 교육을 받았다. 영국 아카데미와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었으며, 일본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기도 했던 그는 여러 나라의 대학들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그는 퇴임할 때까지 런던 대학교 버크벡 칼리지에서 그후에는 뉴욕의 신사회연구원에서 강의했다.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제국의 시대」그리고 「극단의 시대」외에도, 그의 저서들로는 「밴디트 : 의적의 역사」 「혁명가 : 역사의 전복자들」「재즈 평범한 사람들의 비범한 음악」 자신의 회고록인 「미완의 시대」 「세계화, 민주주의, 테러리즘」과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가 있다. 홉스봄은 2012년에 타계했다.
펼치기
타리크 알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 파키스탄 라호르에서 태어났다. 라호르 대학을 다닐 때, 군사독재에 맞서 저항하다 영구 추방되어 영국 옥스퍼드 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다. 옥스퍼드 유니언의 회장으로 선출되어 베트남 전쟁 반대시위를 계획하면서부터 정치적 명성을 얻었다. 격동의 시기였던 1960년대를 반전운동가로 활동했으며, 현재 『뉴레프트리뷰』 편집위원으로 있다. 저서로 The Stone Woman(2001), A Sultan in Parlermo(2006), The Leopard and the Fox(2007), The Duel: Pakistan on the Flight Path of American Power(2008), Night of the Golden Butterfly(2010), The Obama Syndrome: Surrender at Home, War Abroad(2010), 국내에 번역된 『1968: 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공저, 삼인, 2001), 『근본주의의 충돌』(미토, 2003), 『술탄 살라딘』(미래M&B, 2005), 『석류 나무 그늘 아래』(미래M&B, 2007), 『1960년대 자서전: 열정의 시대 희망을 쏘다』(책과함께, 2008) 등이 있다.
펼치기
베네딕트 앤더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윈난 성의 쿤밍에서 태어나 베트남인 보모의 손에 자랐으며, 캘리포니아?아일랜드?영국에서 학교를 다닌 후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고전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코넬대학교 대학원생으로서 일본 점령기와 그 직후의 인도네시아에 대해 여러 해 동안 현지에서 수집한 자료로 자바의 ‘해방 3년사’에 관한 박사학위논문을 완성했고, 1967년부터 2002년까지 같은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정치학과 동남아시아학을 가르쳤다. 1970년대 초 인도네시아의 군사 정권에 의해 입국이 금지된 후에는 태국과 필리핀도 연구했다. 영국 국적을 포기하면서 아일랜드 국적을 취득했고, 1970년대 후반에는 인도네시아의 공산당 출신 정치범들과 인도네시아 점령 하 동티모르인들이 겪는 현실에 대해 미국 의회에서 증언했다. 대표작 『상상된 공동체』 외에도 역사와 정치, 문화, 문학 분야에 걸쳐 수많은 연구를 남겼으며, 자전적 회고록 『경계를 넘은 삶』(A Life Beyond Boundaries, 2016?/?일본어판 『코코넛 껍질 밖으로』(ヤシガラ椀の外へ, 2009))을 출간했다. 미국 사회과학연구위원회의 앨버트 O. 허시먼 상(2011)을 비롯해 학술상을 다수 수상했다. 유럽과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에 능통했으며, 동남아시아 작가와 혁명가들의 글 다수를 영미권에 소개하면서 때로는 직접 번역했다. 2015년 12월 인도네시아 동부자바에서 영면했다.
펼치기
케네스 포메란츠 (엮은이)    정보 더보기
코넬 대학교를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에서 20년 넘게 역사학을 가르쳤으며, 현재는 시카고 대학교 역사학과 교수이다. 2006년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13~2014년에는 미국역사학협회장을 역임했다. 1993년 출간한 《배후지의 형성: 화북 내륙에서의 국가, 사회와 경제. 1853-1937(The Making of a Hinterland: State, Society and Economy in Inland North China, 1853-1937)》은 1994년 미국역사학협회에서 주관한 동아시아사 분야의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어 ‘존 킹 페어뱅크 상’을 수상했다. 이 책 《대분기》 역시 2000년에 같은 상을 받았으며, 같은 해 주목할 만한 학술 저작의 하나로 선정되었을뿐더러 2001년에는 세계역사학협회의 저작상을 공동 수상하기도 했다. 그 밖에 《설탕, 커피 그리고 폭력: 교역으로 읽는 세계사 산책》이 우리말로 번역·출간됐다.
펼치기
훙호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콩에서 태어났으며, 존스홉킨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부터 인디애나대학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1년 존스홉킨스대학 사회학과로 자리를 옮겼고, 현재 Henry M. and Elizabeth P. Wiesenfeld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의 경제적 부상의 동학 및 한계, 중국의 부상이 지구적 자본주의에 미치는 영향, 18세기 이후 중국의 국가 형성과 대중 저항의 궤적 등을 주제로 활발한 연구 및 저술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차이나 붐: 왜 중국은 세계를 지배할 수 없는가』를 비롯해 『중국 특색의 항의: 청조 중기의 시위, 폭동, 청원Protest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Demonstrations, Riots, and Petitions in the Mid-Qing Dynasty』(2011), 『위태로운 도시: 중국 통치하의 홍콩City on the Edge: Hong Kong Under Chinese Rule』(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마이크 데이비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사회비평가이자 도시사회학자로 경제와 사회, 생태와 환경, 정치적 불공정 등에 초점을 맞춰 현대사회가 직면한 위기를 비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2007년에는 래넌 문학상(Lannan Literary Award for Nonfiction)을 수상했으며, 현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의 석좌교수이며 진보적 학술잡지 『뉴레프트리뷰』의 편집인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로스앤젤레스의 역사와 사회지리를 상세하게 파헤쳐 명성을 얻은 『수정 도시(City of Quartz: Excavating the Future in Los Angeles)』, 세계적인 도시의 빈곤문제를 다룬 『슬럼의 행성(Planet of Slums: Urban Involution and the Informal Working Class)』, 조류 인플루엔자의 대유행이라는 세계적인 위협 문제를 상세하게 그린 『문 앞의 괴물(The Monster at Our Door: The Global Threat of Avian Flu)』 등이 있다.
펼치기
스벤 뤼티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 독일 켐펜(Kempen)에서 태어났다.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과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예술사를 공부했다. 2004년에 암스테르담의 BKVB 재단의 예술비평 부문에서 수상했다. 현재 암스테르담 자유대학에서 예술사와 예술비평을 가르치고 있고, De Witte Raaf의 편집자이다. Jong Holland, Artforum, New Left Review, Afterimage, Texte zur Kunst, Camera Austria 같은 잡지에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으며, 작가나 초청 큐레이터로서 전시회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Life, Once More: Forms of Reenactment in Comtemporary Art(공저, 2005), Secret Publicity(2006), Idols of the Market: Modern Iconoclasm and the Fundamentalist Spectacle(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수전 왓킨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노스런던 칼리지어트 스쿨 포 걸스(North London Collegiate School for Girls)와 옥스퍼드 대학에서 수학했고, 현재 『뉴레프트리뷰』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1968: 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공저, 삼인, 2001), 『페미니즘』(김영사,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에마뉘엘 테레 (지은이)    정보 더보기
8장_「하나의 마주침: 알튀세르와 마키아벨리」 지음 프랑스의 인류학자이자 철학자로, 파리 고등사범학교 철학과를 졸업했으며,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영향 아래 인류학자로 전향하여 아프리카의 코트디부아르에서 현지 조사 활동을 수행했다. 1984년 조르주 발랑디에(Georges Balandier)의 지도 아래 국가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84년 이래 고등사회과학연구원(L’?cole des hautes ?tudes en sciences sociales, EHESS)의 책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전공인 인류학 분야 이외에 정치철학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다수의 저작을 출간한 바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원시’ 사회에 직면한 맑스주의』(Le marxisme devant les soci?t?s “primitives”, Fran?ois Maspero, 1969), 『동굴 속의 정치』(La politique dans la caverne, Seuil, 1990), 『아브롱 뒤 기야망 왕국의 역사』(Une histoire du royaume Abron du Gyaman: Des origines ? la conqu?te coloniale, Karthala, 1995), 『클라우제비츠』(Clausewitz, Fayard, 1999), 『메두사와의 싸움』(Combats avec M?duse, Galil?e,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존 그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6년 영국에서 태어났다. 퀸 메리 웨스트필드 칼리지,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미들섹스 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유럽대안경제정책 연구집단’(Alternative Economic Policy in Europe)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New Left Review, Le Monde Diplomatique 등의 잡지에 경제 관련 글들을 기고하고 있다. 저서로 After Maastricht: A Guide to European Monetary Union(1998), European Monetary Union: Legitimacy, Development and Stability(2001) 등이 있다.
펼치기
정대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과 석사과정, 프랑크푸르트대학 철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서울대, 명지대, 단국대, 숭실대, 한국공학대에서 강의를 했다. 주요 논문으로 “Geschwister-Welt, Geschwister-Staat, “Spiel mit der Maske: Hegel und Schlegel zur Komodie”, 「정신의 도야(Bildung): 예나 시기 헤겔 철학에서 근대적인 것으로서의 도야 개념의 형성과정 및 그 의의에 대한 고찰」 「선택의지(Willkur)의 자유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칸트의 『윤리형이상학』의 한 문단(MS VI 226∼7)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표상에서 개념으로, 개념에서 표상으로: 헤겔의 학문 체계의 형성에서 표상의 위상과 기능에 대하여」 등이 있으며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공저)을 썼다.
펼치기
정대훈의 다른 책 >
정병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수학, 사회물리학, 진화생물학, 언어학, 신경 문화 번역학, 나아가 인지와 계산, 정보 처리, 지능의 본질을 연구한다. 『무기 대백과사전』, 『비행기 대백과사전』, 『수소 폭탄 만들기』, 『타고난 반항아』, 『렘브란트와 혁명』, 『주석과 함께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앨리스의 놀라운 세상 모험』 등 수십 권의 책을 한국어로 옮기거나 썼다. 영어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공원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중국지역학을 전공했으며, 중국 푸단(復旦) 대학에서 인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인류학자의 시각으로 대안적 세계사를 제시하기 위해 중국과 중앙아시아를 비롯한 유라시아 초원 지대에서 현지 조사를 진행하며 『유목, 세계사의 절반』(가제)을 집필하고 있다. 저서로 10여 년 동안의 대장정 끝에 집필한 『춘추전국이야기』(전11권, 위즈덤하우스, 2010~17)을 비롯해 『귀곡자』(공저, 위즈덤하우스, 2008/시공사, 2023), 『장부의 굴욕』(공저, 위즈덤하우스, 2009), 『인물지』(공저, 위즈덤하우스, 2009), 『여행하는 인문학자』(민음사, 2012), 『통쾌한 반격의 기술, 오자서 병법』(위즈덤하우스, 2014), 『유라시아 신화 기행』(민음사, 2014), 『삼국지를 읽다 쓰다』(위즈덤하우스, 2016), 『옛 거울에 나를 비추다』(샘터사, 2016), 『나의 첫 한문 공부』(민음사, 2017), 『가문비 탁자』(나비클럽, 2018), 『굴욕을 대하는 태도』(공저, 위즈덤하우스, 2020), 『민간 중국: 21세기 중국인의 조각보』(공저, 책과함께, 2020), 『인문학자 공원국의 유목문명 기행』(위즈덤하우스, 2021)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중국을 뒤흔든 아편의 역사』(정양원, 에코리브르, 2009), 『말, 바퀴, 언어』(데이비드 W. 앤서니, 에코리브르, 2015), 『조로아스터교의 역사』(메리 보이스, 민음사, 2020), 『하버드-C. H. 베크 세계사 1350~1750: 세계 제국과 대양』(볼프강 라인하르트, 공역, 민음사,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서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태국 탁신 정부의 빈곤 정책과 그 정치적 동학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수하르토 이후 인도네시아의 과거 청산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베네딕트 앤더슨의 『세 깃발 아래에서: 아나키즘과 반식민주의적 상상력』 (도서출판 길, 2009), 「최초의 필리핀인」(《계간 아시아》 15호, 도서출판 아시아, 2009 겨울호), 「서양 민족주의와 동양 민족주의: 중요한 차이가 있을까」(『뉴레프트리뷰 3』, 도서출판 길, 2011) 등을 번역했으며, 「대한민국 해외투자 선구자들의 초국적 연계성과 의식세계: 인도네시아 한인기업가 회고록 분석」(2017, 공저), “The Suharto Case”(2016), “Burmese Political Activists and Human Rights in Korea”(2015), 「민간 기념물과 논쟁적 기억: 민주화 이후 인도네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2015) 등의 논문을 출간했다. 현재 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조교수로 일하면서 과거 청산과 인권, 정체성 등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정치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버펄로 뉴욕주립대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안과밖』 편집주간과 영미문학연구회 대표를 역임했고, 비평 동인지 『크리티카』의 발간에 참여했다. 현재 서울여대 영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영문학과 한국문학 외에 맑스주의와 들뢰즈 비평이론, 스피노자와 정서·정동론에 관심을 가지고 글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다시 소설이론을 읽는다』 『소설을 생각한다』 『부커상과 영소설의 자취 50년』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이상 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헤겔, 아이티, 보편사』 『바그너는 위험한가』 『24/7 잠의 종말』 『자본주의와 경제적 이성의 광기』 등이 있다.
펼치기
하남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대 중국의 체제 변동과 대중 저항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공저) 《중국공산당 100년의 변천》(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차이나 붐》 《제국의 충돌》 《아이폰을 위해 죽다》(공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중국의 신자유주의 논쟁과 그 함의> <1989년 천안문 사건과 그 이후> <시진핑 시기 중국의 청년 노동 담론> 등을 썼다.
펼치기
홍기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외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요크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치경제학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재)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어나더 경제사1, 2》,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 등이 있 으며, 옮긴 책으로는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 개럿 스테드먼- 존스의 《칼 마르크스: 위대함과 환상 사이》(제59회 한국출판문화 상 번역상 수상), 케이트 레이워스 《도넛경제학》 등이 있다.
펼치기
안효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BIKN) 이사장.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부소장. 서울대 대학원 서양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사회당 대표. 진보신당 공동대표, 성공회대 외래교수 등으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 『미국사 편지』 『미국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기본소득이 있는 복지국가』(공저)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중국인 문제』 『공유지의 약탈』 『기본소득과 좌파』 『대전환의 세기, 유럽의 길을 묻다』 『기본소득』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