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풀잎은 공중에 글을 쓴다

풀잎은 공중에 글을 쓴다

(열아홉 시인의 아름다운 생태시 선집)

김원경, 김정산, 김행숙, 박상순, 박주택, 이문재, 이수익, 이승하, 조정권, 문태준, 고두현, 류기봉, 이덕규, 김종대, 이경우, 심언주, 한승주, 차주일, 정현종 (지은이)
호미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100원 -10% 2,500원
450원
10,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풀잎은 공중에 글을 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풀잎은 공중에 글을 쓴다 (열아홉 시인의 아름다운 생태시 선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88526989
· 쪽수 : 101쪽
· 출판일 : 2010-09-03

책 소개

열아홉 시인의 생태시 선집. 정현종, 이수익, 조정권, 이문재, 이승하, 박주택, 박상순, 고두현, 김정산, 류기봉, 문태준, 이덕규, 김행숙, 차주일 등의 시인들이 참여했다. 시인들은 저마다 이미 발표해온, 자연과 생명의 회복을 노래한 생태시 가운데서 두 편을 고르고, 또 처음 선보이는 신작시 한 편을 더 보태어 이 시선집을 엮었다.

목차

정현종
이수익
조정권
이문재
이승하
박주택
박상순
고두현
김정산
류기봉
문태준
이덕규
김행숙
차주일
심언주
이경우
김원경
김종대
한승주

저자소개

김원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雅號 仁山, 충남 당진 출생, 문학박사, 시인 *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정년 후 명예교수 * 국민훈장, 목단장, 목련장, 문교부 장관상, 대한교육회장상 * 주요논저 『문학개론』 『한국문학상의 유학사상 연구』 『국어과 교육학』 『먼 서역 실크로드의 하늘에서』 『하늘을 향한 모든 종교는 하나다』 <시가 있는 중국역사 산책> 1, 2, 3권 -황하와 함께 바라보며 생각하며 <시가 있는 중국역사 산책> 4, 5, 6권 -장강과 함께 바라보며 생각하며 4권 『장강, 우주의 길목에서』 5권 『장강, 대지의 숨결처럼』 6권 『장강, 하늘에 흘러간다』 * 기타 논문집, 수필집 다수
펼치기
김정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의 과거 저편을 글로써 자유롭게 여행하는 시간여행자. 10여 년 전 우리 역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시기인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삼한지》로 이미 40만 독자의 마음을 들끓게 했던 그가 이번에는 첫사랑과 충성이라는 남자들 최고의 관심 테마를 들고 돌아왔다. 그가 표현하는 아련한 첫사랑과 나를 믿어주는 주군에게 올곧게 충성하는 무사의 이야기는 마치 작가가 소망하는 삶의 모습 같기도 하다. 그가 그리는 사랑과 충성의 끝은 어디일까? 무사를 통해 세상에 전하고 싶은 말은 또 무엇일까? 지금부터 그 이야기가 시작된다. 1989년 부산 MBC 신인문학상, 1993년 〈경향신문〉, 〈전주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저작으로는 장편소설 《삼한지》(전 10권), 《박물관 제3전시장의 그림》, 《한국지》(전 3권), 《나당대전》, 《김시득전》, 《칼날 위의 길을 가다》(전 2권), 《위화》와 단편소설 《수지》, 《북새풍》, 《화엄의 나날》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출생해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서 서양화를 전공했다. 출판사 민음사에 아트 디렉터로 입사해 편집주간, 대표이사(편집인)를 지냈고 펭귄클래식 코리아 대표 편집인을 역임했다. 1991년 시인으로 등단해 시집 『6은 나무 7은 돌고래』(1993), 『마라나, 포르노 만화의 여주인공』(1996), 『러브 아다지오』(2004), 『슬픈 감자 200그램』(2017), 『밤이, 밤이, 밤이』(2018)를 출간했고 이상(李箱)의 시를 해석한 『나는 장난감 신부와 결혼한다』(2019)를 출간했다. ‘현대시동인상’, ‘현대문학상’, ‘현대시작품상’, ‘미당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박주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충청남도 서산에서 출생하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86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꿈의 이동건축」으로 등단한 이래 시집 『꿈의 이동건축』(문학세계사, 1991)·『방랑은 얼마나 아픈 휴식인가』(문학동네, 1996)·『사막의 별 아래에서』(세계사, 1999)·『카프카와 만나는잠의 노래』(문학과지성사, 2004)·『시간의 동공』(문학과지성사, 2009)·『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문학과지성사, 2013)와 시선집 『감촉』(뿔, 2011) 등을 출간하였다. 특히 『시간의 동공』은 일본 시쵸샤(思潮社) ‘한국 현대 시인 시리즈’의 첫 번째 시집으로 선정되어 일본 현지에서 번역·발간된 바 있다. 편운문학상(2000)·현대시작품상(2004)·경희문학상(2004)·소월문학상(2005)·이형기문학상(2010)·한국시인협회상(2015)·김동명문학상(2024) 등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시현실》 주간·정한모문학기념사업회 고문·윤곤강문학기념사업 상임회장·한국문학연구원장을 맡고 있으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이문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2년 《시운동》을 통해 작품활동 시작. 시집으로 《내 젖은 구두 벗어 해에게 보여줄 때》 《산책 시편》 《제국 호텔》 《지금 여기가 맨 앞》 《혼자의 넓이》 등이 있으며 엮은 시집으로 《당신의 그림자 안에서 빛나게 하소서》 등이 있다. 김달진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노작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녹색평론》 편집자문위원이며 ‘60+기후행동’과 ‘오대산지구시민작가 포럼’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수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경남 함안에서 태어나 부산사범학교를 거쳐 서울대사범대학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1963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 그 이후 동인지 『현대시』에 들어가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저서로는 1969년 첫 시집 『우울한 샹송』을 펴내고 이어서 『야간열차』 『슬픔의 핵』 『단순한 기쁨』 『그리고 너를 위하여』 『아득한 봄』 『푸른 추억의 빵』 『눈부신 마음으로 사랑했던』 『꽃나무 아래의 키스』 『처음으로 사랑을 들었다』 『천년의 강』 『침묵의 여울』 『조용한 폭발』 그리고 이번에 내는 『비애의 술잔』이 14번째 시집이다. 시선집으로는 『우체국에 가면 잃어버린 사랑을 찾을 수 있을까』 『불과 얼음의 콘서트』 『그리운 악마』 『결빙의 아버지』 등이 있고, 시전집으로는 『이수익시전집』이 있다. 현대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정지용문학상, 한국시협상, 지훈문학상, 공초문학상, 육사시문학상, 이형기문학상, 시와편견문학상, 부산시문화상(문학부분)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이승하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면서 등단 시집 『사랑의 탐구』(문학과지성사) 『우리들의 유토피아』(도서출판 나남): 새숲에서 개정판 『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세계사): 걷는사람에서 개정판 『폭력과 광기의 나날』(세계사) 『박수를 찾아서』(고려원) 『생명에서 물건으로』(문학과지성사) 『뼈아픈 별을 찾아서』(시와시학사): 달아실에서 개정판 『인간의 마을에 밤이 온다』(문학사상사)…제목을 『아픔이 너를 꽃피웠다』로 바꿔 증보판 『취하면 다 광대가 되는 법이지』(시학) 『천상의 바람, 지상의 길』(서정시학) 『불의 설법』(서정시학) 『감시와 처벌의 나날』(실천문학사) 『나무 앞에서의 기도』(케이엠) 『생애를 낭송하다』(천년의시작) 『예수ㆍ폭력』(문학들) 시선집 『젊은 별에게』(좋은날) 『공포와 전율의 나날』(문학의전당): 시인동네에서 개정판 평전 『마지막 선비 최익현』(도서출판 나남) 『최초의 신부 김대건』(도서출판 나남) 『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도서출판 나남) 『윤동주, 청춘의 별을 헤다』(서연비람) 한국시인협회 사무국장, 한국가톨릭문인협회 부회장, 한국문예창작학회 회장 역임 2023년 현재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중
펼치기
조정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970년 박목월의 추천으로 《현대시학》에 <흑판>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시집 《비를 바라보는 일곱 가지 마음의 형태》(1977) 《詩篇》(1982) 《虛心頌》(1985) 《하늘 이불》(1987) 《산정 묘지》(1991) 《신성한 숲》(1994) 《떠도는 몸들》(2005) 《고요로의 초대》(2011) 《먹으로 흰 꽃을 그리다》(2011) 《시냇달》(2014)을, 예술기행 산문집 《하늘에 닿는 손길》(1994)을 발간했다. 제5회 녹원문학상(1985), 제20회 한국시인협회상(1987), 제10회 김수영문학상(1991), 제7회 소월시문학상(1991), 제39회 현대문학상(1994), 제18회 김달진문학상(2005)을 수상했다. 2017년 11월 향년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문태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9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 《수런거리는 뒤란》 《맨발》 《가재미》 《그늘의 발달》 《먼 곳》 《우리들의 마지막 얼굴》 《내가 사모하는 일에 무슨 끝이 있나요》 《아침은 생각한다》 《풀의 탄생》, 산문집 《느림보 마음》 《바람이 불면 바람이 부는 나무가 되지요》 《나는 첫 문장을 기다렸다》 등이 있다. 노작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목월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박인환상, 무산문화대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고두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1963년 경남 남해에서 태어났다.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유배시첩流配詩帖」 연작 당선으로 등단했다. 잘 익은 운율과 동양적 어조, 달관된 화법을 통해 서정시 특유의 가락과 정서를 보여줌으로써 전통 시의 품격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 시와 산문이 실려 있다.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오래된 길이 돌아서서 나를 바라볼 때』, 시선집 『남해, 바다를 걷다』를 펴냈다. 한국경제신문 문화부 기자와 문화부장, 논설위원을 거쳐 문화에디터로 일하면서 시산문집 『시 읽는 CEO』와 『옛 시 읽는 CEO』, 『리더의 시 리더의 격』, 독서경영서 『생각의 품격』, 『경영의 품격』, 『교양의 품격』, 『나무 심는 CEO』 등을 통해 시와 경영을 접목하는 ‘독서경영’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산문집 『시를 놓고 살았다 사랑을 놓고 살았다』, 『냉면꾼은 늘 주방 앞에 앉는다』와 필사책의 효시로 평가받는 『마음필사』, 『사랑필사』, 『동주필사』, 『명언필사』, 동서양 시인들의 아포리즘을 담은 『시인, 시를 말하다』 등을 엮었다. 김달진문학상, 유심작품상, 김만중문학상 유배문학특별상 등을 받았다. 서울대, 고려대 등 학교와 기업, 단체, 도서관에서 시에 담긴 인생의 지혜를 전하는 인문학 강연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류기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3년 김춘수, 이수익 선생님의 추천을 받아 ‘현대시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장현리 포도밭」, 「자주 내리는 비는 소녀 이빨처럼 희다」, 「포도 눈물」, 「푸른 손금의 페르소 나」. 산문집으로 「포도밭 편지」 등
펼치기
이덕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8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다국적 구름공장 안을 엿보다』 『밥그릇 경전』 『놈이었습니다』가 있다. 현대시학작품상, 시작문학상, 오장환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종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창녕에서 태어나 김해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 후 부산에서 중고등학교를 마치고 서울대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1974년 공군법무관을 시작으로 30여 년간 부산, 경남지역에서 법관으로서 사회 갈등 해소와 분쟁 조정에 힘써왔으며,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재임했다. 김 재판관은 충무공 정신을 약재로 복용한다면 양극화로 분열되고 갈등하는 이 사회가 치유될 수 있으리라 믿어 이순신학교의 설립을 꿈꾸는 사람이다. 나아가 이제는 작은 이순신 양성 사업이 국가에 의해서 체계적이고 전국적으로 시행되어야 이 국가와 사회가 건 강해진다는 신념으로 ‘이순신 재단 설립 및 그 유지에 관한 법률’ 제정에 온 힘을 쏟고 있다.
펼치기
이경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님의 시를 쓰게 하소서>
펼치기
심언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4년 『현대시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4월아, 미안하다』 『비는 염소를 몰고 올 수 있을까』가 있다.
펼치기
한승주 (감수)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전직으로는 외무부 장관(1993-94), UN 사무총장 특별 대표(사이프러스 담당, 1996-97), UN르완다 인종학살 조사위원(1999), 주미대사(2003-2005), 재단법인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를 졸업(1962)하고 UC Berkeley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1970)를 취득하였다. 고려대학교에 재직하기 이전에 뉴욕시립대학교 부교수(1970-78)로 재직하였으며, 미 콜럼비아대 초빙교수 겸 록펠러형제기금 명예연구원(1986-87), 스탠포드 대학교 교환교수(1992, 1995)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Korean Diplomacy in an Era of Globalization》(1995), 《Korea in a Changing World》(1995), 《Changing Values in Asia》(1999), 《남과 북 그리고 세계》(2000), 《외교의 길》(2017), 《ON THE BRINK(A Korean Diplomat’s Journey for Peace)》(2018), 《한국에 외교가 있는가》(2000) 등이 있다.
펼치기
차주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무주에서 태어났다. 시집으로 『냄새의 소유권』 『어떤 새는 모음으로만 운다』 『합자론合字論』, 산문집으로 『출장보고서』가 있다. 혜산 박두진 문학상 등 수상. 문예지 《POSITION》 주간.
펼치기
정현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