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부의 즐거움

공부의 즐거움

(우리시대 공부달인 30인이 공부의 즐거움을 말하다)

강명관, 고미숙, 김열규, 김태길, 박홍규, 손보기, 이유미, 이희수, 임형택, 장영희, 장회익, 전상운, 정옥자, 정진홍, 조동일, 천병희, 최완수, 김용석, 임지순, 이융남, 이호철, 김경재, 부경생, 김동회, 박진숙, 임영인, 제타룡, 지관스님, 이재호, 윤구병 (지은이)
위즈덤하우스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부의 즐거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부의 즐거움 (우리시대 공부달인 30인이 공부의 즐거움을 말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89313854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06-05-25

책 소개

이 시대 공부도사 30인이 말하는 공부 예찬론. 장영희, 고미숙, 박홍규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들이 "나는 왜 공부를 하는가"라는 물음에 보내온 진솔한 공부 분투기를 엮었다. 어렵고 치열한 것으로만 여기기 쉬운 공부를 재미있게 즐기는 그들의 순수한 열정을 만날 수 있다.

목차

'공부'에 대하여 /김용석 영산대 교수

I. 生 - 공부는 삶이다
살아 있는 순간 오늘도 공부한다 /장영희 서강대 영문학과 교수
만학의 즐거움 /정옥자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불이 꺼지지 않는 연구실 /부경생
모든 시작에는 때가 없다 /김동희 대전지방노동청장
학문의 세계, 나름의 멋과 기쁨이 있다 /김태일 대한민국학술원 회장
공부하거나 존재하지 않거나 /고미숙 고전평론가
나를 움직이는 가장 큰 힘 /임영인 신부·성 프란시스 대학 설립자

2. 新 공부는 새로움이다
새로워지고 또 새로워져라 /윤구병 농부철학자
미지의 세계로 나아가다 /이융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
'연구'란 말에 매혹되다 /이재호 성균관대 명예교수
공부는 양심선언이다 /손보기 사학자
우직한 사람이 산을 옮긴다 /박진숙 세종대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살아 있는 공부 선생님 /이호철 성암초등학교 교사
무엇이 남과 다를 수 있을까 /이희수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언제나 책가방을 갖고 다닌다 /제타룡 전 도시철도공사 사장

3. 樂 - 공부는 즐거움이다
풀 한 포기의 행복 /이유미 국립수목원 생물표본연구실장
세상에 공부만큼 즐거운 것이 없다 /조동일 계명대 석좌교수
공부가 놀이요, 놀이가 공부다 /임형택 한문학자
혼자 끈질기게 생각한다 /임지순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
우리 전통 과학에 인생을 걸다 /전상운 전 성신여대 총장
공부는 즐거운 창조다 /강명관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
공부하는 하루하루가 즐겁다 /장회익 서울대 명예교수
공부는 꽃보다 아름답다 /최완수 미술사학자

4. 覺 - 공부는 깨달음이다
어느 날 철학이 내게로 왔다 /김용석 영산대 학부대학 교수
플라톤이 열어준 지식의 향연 /천병희 단국대 명예교수
깨달음의 자유를 찾아 나서다 /김경재 한신대 신학과 교수
'진리 공화국'을 허하라 /박홍규 영남대 법학과 교수
인식의 날개로 훨훨 날다 /정진홍 서울대 명예교수·종교학자
인문학이여, 암송은 얕보지 마라! /김열규 서강대 명예교수
나를 비우지 않고는 이룰 수 없다 /지관스님 불교 조계종 총무원장

저자소개

강명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조선 중기 서울의 도시적 분위기에서 활동했던 여항인의 역사적 실체와 문학을 검토해 한문학의 지평을 넓혔으며, 방대한 한문학 텍스트에 근거한, 풍속사, 사회사, 음악사, 미술사를 포괄하는 다양한 저서들로 독자에게 다가가고 있다. 근래에는 조선시대 지식의 생산과 유통이 인간의 사유와 행위로 연결되어 어떤 인간형을 만들어 내는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노비와 쇠고기》, 《가짜 남편 만들기》, 《조선 풍속사》(전3권),《열녀의 탄생》,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조선의 뒷골목 풍경》, 《허생의 섬, 연암의 아나키즘》, 《독서한담》, 《조선에 온 서양 물건들》,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공안파와 조선 후기 한문학》 등이 있다.
펼치기
고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전평론가. 강원도 함백 출신. 고려대학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감이당 & 남산강학원에서 ‘밥과 친구와 생사의 비전’ 등 거의 모든 것을 해결하고 또 탐구하고 있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비롯한 열하일기 3종 세트,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를 비롯한 달인 4종 세트,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를 비롯한 동의보감 4종 세트, 근대성 3종 세트, 그 외에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길 위에서 길 찾기』, 『조선에서 백수로 살기』,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몸에서 자연으로, 마음에서 우주로 with 동의보감 & 숫타니파타』 외 다수가 있다. 가장 최근에 낸 책으로는 『청년 붓다, 바람과 사자와 연꽃의 노래』가 있다.
펼치기
김열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2년 경상남도 고성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국문학 및 민속학을 전공했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국문학과 민속학을 전공했다. 서강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교수, 인제대학교 문과대학 교수,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원장,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등을 역임했다. 1963년 김정반이라는 필명으로 조선일보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했다. 문학과 미학, 신화와 역사를 아우르는 그의 글쓰기의 원천은 탐독이다. 어린 시절 허약했던 그에게 책은 가장 훌륭한 벗이었으며, 해방 이후 일본인들이 두고 간 짐 꾸러미 속에서 건진 세계문학은 지금껏 그에게 보물로 간직되었다. 이순(耳順)이 되던 1991년에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같은 삶을 살고자 고성으로 낙향했고, 자연의 풍요로움과 끊임없는 지식의 탐닉 속에서 청춘보다 아름다운 노년의 삶을 펼쳐 보였다. 여든의 나이에도 해마다 한 권 이상의 책을 집필하며 수십 차례의 강연을 하는 열정적인 삶을 살다가 2013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연구 인생 60여 년을 오로지 한국인의 질박한 삶의 궤적에 천착한 대표적인 한국학의 거장이다. ‘한국학’의 석학이자 지식의 거장인 그의 반백 년 연구인생의 중심은 ‘한국인’이다. 문학과 미학, 신화와 역사를 두루 섭렵한 그는 한국인의 목숨부지에 대한 원형과 궤적을 찾아다녔다. 특히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와 『한국인의 자서전』을 통해 한국인의 죽음론과 인생론을 완성했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이 외에도 주요 저서로 『김열규의 휴먼 드라마: 푸른 삶 맑은 글』, 『한국인의 에로스』, 『행복』, 『공부』, 『그대, 청춘』, 『노년의 즐거움』, 『독서』, 『한국인의 신화』, 『한국인의 화』,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신화론』, 『아흔 즈음에』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태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0년 충북에서 태어나 2009년(향년 90세) 소천했다. 경성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윤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62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정년퇴임 후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KBS 이사장, 학술원 원장을 역임했다. 그는 강단에서 규범 윤리와 메타 윤리를 주로 강의했으며, 계간지 <철학과 현실>을 발행하고, 일반인들을 위한 철학 교양 강좌를 열면서 보통사람들과 함께 삶과 도덕을 이야기하며 성숙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썼다. 지은 책으로는 1961년 처녀 수필집 <웃는 갈대>를 비롯해, <빛이 그리운 생각들> <검은 마음 흰 마음>, 장편수필 <흐르지 않는 세월>이 있습니다. 그 밖의 저서로 <한국인과 문학사상>(공저)이 있습니다.
펼치기
박홍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저술가이자 노동법을 전공한 진보적인 법학자이다.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시골에서 아내와 함께 작은 농사를 지으며 자유·자연·자치의 삶을 실천하고 있다.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오사카대학 등에서 강의하고 하버드로스쿨, 노팅엄대학, 프랑크푸르트대학 등에서 연구했다. 1997년 『법은 무죄인가』로 백상출판문화상을 수상했고, 2015년 『독서독인』으로 한국출판평론상을 수상했다. 『우정이란 무엇인가』 『내 친구 예수는 아나키스트』 『간디 평전』 『유일자와 그의 소유』 『오월의 영원한 청년 미하일 바쿠닌』(2023 경기도 우수출판물 제작지원 선정) 『밀레니얼을 위한 사회적 아나키스트 이야기』(2022 중소출판사 출판콘텐츠 창작지원사업 선정) 『카뮈와 함께 프란츠 파농 읽기』(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표트르 크로포트킨 평전』(2021 중소출판사 출판콘텐츠 창작지원사업 선정) 『비주류의 이의신청』(2021 우수출판콘텐츠 선정) 『내 친구 톨스토이』 『불편한 인권』(2018 세종도서 교양부문) 『인문학의 거짓말』 『놈 촘스키』 『아나키즘 이야기』 외 다수의 책을 집필했으며, 『오리엔탈리즘』 『간디 자서전』 『유한계급론』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법과 권리를 위한 투쟁』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손보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을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한국의 고활자>가 있다.
펼치기
이유미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에서 풀과 나무와 인연을 맺은 이후, 평생 이들과 함께 공부하고 일하고 있다. 광릉숲이 있는 국립수목원에서 연구사로 공직을 시작해, 원장으로 마칠 때까지 우리나라 식물명의 정리, 희귀 식물 보전, 한반도 식물지 사업 등 국가적으로 꼭 필요하지만 쉽지 않은 일들에 도전하며 식물 연구 기반을 다지고자 노력해 왔으며, 틈틈이 대중들에게 우리나라 식물들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알리는 글을 쓰고 강연도 해 오고 있다. 지금은 새로 조성된 국립세종수목원의 초대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 나무 백가지》, 《식별이 쉬운 나무 도감》,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한국의 야생화》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겸 이슬람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국내 최고의 이슬람 문화 연구자로 튀르키예 이스탄불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아랍 여러 지역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쓴 책으로는 《도시로 보는 이슬람 문화》, 《인류 본사》를 비롯해 청소년을 위한 《세상을 바꾼 이슬람》, 《톡톡 이슬람》 등 약 90여 권이 있다.
펼치기
임형택 (엮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유학과 실학, 당대 동아시아 고전을 연구하고 널리 소개해온 원로 한문학자이자 한국학자.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정년퇴임 후 같은 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문학사의 시각』 『실사구시의 한국학』 『문명의식과 실학』 『동아시아 서사와 한국소설사론』 등이, 공편역서로 『백호전집』 『역주 목민심서』 『역주 매천야록』 등이 있다.
펼치기
장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뉴욕 주립대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컬럼비아대에서 1년간 번역학을 공부했으며, 서강대 영미어문 전공 교수이자 번역가, 칼럼니스트, 중고교 영어 교과서 집필자로 왕성한 활동을 했다. 문학 에세이 《문학의 숲을 거닐다》와 《생일》, 《축복》의 인기로 ‘문학 전도사’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아버지 장왕록 교수의 10주기를 기리며 기념집 《그러나 사랑은 남는 것》을 엮어 내기도 했다. 번역서로는 《종이시계》, 《슬픈 카페의 노래》, 《이름 없는 너에게》 등 다수가 있고, 그중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스칼렛》, 《살아있는 갈대》는 부친과 공역했다. 김현승의 시를 번역하여 ‘한국문학번역상’을 수상했으며, 첫 우리말 수필집 《내 생애 단 한 번》으로 ‘올해의 문장상’을 수상했다. 암 투병을 하면서도 희망과 용기를 주는 글들을 독자에게 전하던 그는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을 남기고 2009년 5월 9일 57세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장회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문리대 물리학과,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를 졸업했다. Ph.D.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객원 조교수, 텍사스대학교 객원 연구원, 벨연구소 객원 연구원, 미주리대학교 객원 교수, 서울대 자연대 물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했다. 논문으로는 「GaSb의 에너지 밴드와 광학적 성질」(1969) 외 다수가 있다. 저서로는 『자연과학개론』(공저, 1981), 『과학과 메타과학』(1990) 등이 있다.
펼치기
전상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학과를 수료하였다. 일본 교토 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및 총장, 교토 대학교 객원 교수,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객원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케임브리지 니덤 연구소와 하버드-옌칭 연구소의 방문 연구원, 한국과학사학회 회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로 회원, 엑스포(Expo) 국제 전통 과학사 심포지엄 조직 위원장, 제8회 국제 동아시아 과학사회 조직 위원장, 과학기술처 정책 자문 위원 등을 역임했고, 문화재위원회 위원,케임브리지 니덤 연구소 유지 재단 국제 이사,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부회장 등으로도 활동했다. 주요 수상 경력으로는 출판문화상(1966년), 과학기술상(1973년), 외솔상(1979년), 국민훈장 동백장(1982년), 세종문화상 학술상(2001년) 등이 있다. 저서로 『한국 과학 기술사』, 『한국의 과학 문화재』, 『한국의 고대 과학』, 『시간과 시계 그리고 역사』, 『한국 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중국의 과학 문명』이 있다.
펼치기
정옥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춘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규장각 관장을 역임하였다. 정년퇴직 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명예교수이다. 문화재위원·유네스코 문화분과위원회위원·서울시 지명위원·서울시 기념물분과위원장·서울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위원장·국민권익위원회 권익구제분과위원장 등 많은 사회봉사활동을 하였다. 2004년 비추미여성대상 별리상(교육·연구개발 부문), 2007년 국무총리 공로상, 2010년 민세상(학술부문), 2012년 황조근정훈장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로 『조선 후기 문화운동사』, 『조선 후기 지성사』, 『조선 후기 문학사상사』, 『조선 후기 역사의 이해』, 『정조의 수상록 일득록 연구』, 『조선 후기 조선 중화사상 연구』,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조선 후기 중인 문화 연구』,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 조선사에서 법고창신의 길을 찾다』 등이 있다.
펼치기
정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에서 퇴직하고 지금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있다. 『종교학 서설』, 『한국종교문화의 전개』, 『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 『열림과 닫힘』, 『정직한 인식과 열린 상상력』, 『지성적 공간 안에서의 종교』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조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북 영양 출신 1958년부터 서울대학 불문․국문과 학사, 국문과 석․박사 1968년부터 계명대학․영남대학․한국학대학원․서울대학 교수 2004년부터 서울대학 명예교수, 2007년부터 대한민국학술원회원 《한국문학통사》, 《문학사는 어디로》, 《대등의 길》 등 저서 다수
펼치기
천병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5년 동안 독문학과 고전문학을 수학했으며 북바덴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고전 번역가로 활동하며 그리스 문학과 라틴 문학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에 매진하며 고전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원문의 깊이와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면서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장으로 번역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인 원전 번역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로마의 축제들』, 아폴로도로스의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메난드로스 희극』, 『그리스 로마 에세이』,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전쟁사』, 크세노폰의 『페르시아 원정기』, 플라톤의 『국가』 『법률』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향연』 『고르기아스/프로타고라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시학』 등 다수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 『그리스 비극의 이해』 등이 있다. . 2022년 12월 향년 8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펼치기
최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진경시대 문화 연구의 대가이자 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연구의 일인자이다. 1942년 충남 예산에서 출생하였으며, 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하였다. 1965~1966년 국립박물관을 거쳐, 1966년부터 지금까지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소장으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그동안 서울대 인문대 국사학과, 서울대 미대 회화과 및 대학원(1975년부터 1992년까지 17년 연속), 연세대(1976년부터 2015년까지 39년 연속)・이화여대・동국대・중앙대・용인대・국민대 및 대학원에서 강의하였다. 저서로 『추사집(秋史集)』(1976), 『김추사연구초(金秋史硏究艸)』(1976), 『그림과 글씨』(1978), 『불상연구(佛像硏究)』(1984), 『겸재(謙齋) 정선(鄭敾)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1993), 『명찰순례(名刹巡禮)』(전 3권, 1994),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전 2권, 1998), 『조선왕조 충의열전』(1998), 『겸재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1999), 『한국불상의 원류를 찾아서』(전 3권, 2007), 『겸재(謙齋) 정선(鄭敾)』(전 3권, 2009), 『추사집(秋史集)』(2014), 『추사 명품(秋史 名品)』(2017), 『겸재의 한양 진경』(2004년 초판, 2018년 전면 개정판)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간다라 불의고(佛衣攷)」, 「석가불정도설(釋迦佛幀圖說)」, 「겸재(謙齋) 정선(鄭敾)」, 「겸재진경산수화고(謙齋眞景山水畵考)」, 「추사실기(秋史實紀)」, 「추사서파고(秋史書派考)」, 「비파서고(碑派書考)」, 「한국서예사강(韓國書藝史綱)」, 「추사(秋史)일파(一派)의 글씨와 그림」,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평전(評傳)」, 「우암(尤庵) 당시의 그림과 글씨」, 「고덕면지총사(古德面誌總史)」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내다 귀국한 뒤 지난 20여 년 동안 철학·과학·문학·대중문화를 횡단하는 독창적 작품을 잇달아 내며 인문학의 새 흐름을 이끌었다. ‘서사철학’이라는 분야를 개척해서 스토리텔링의 실용화에 기여했다. 2002년부터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와 미용·예술대학원 교수로 재직했으며, 2년여 동안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와 미국 워싱턴 대학교(UW)에서 연구했다. 2017년 몸담았던 대학교에서 정년 퇴임을 하였고, 이제 인간 삶의 다양한 차원, 특히 문화적 욕망에 관하여 이야기하는 작가로 살아가려 한다. 또한 예술가들이 전유해오던 아름다움을 일반 사람들의 ‘미적 욕구’ 및 ‘미학적 차별’과 연관하여 집중적으로 사유하고자 한다. 『사소한 것들의 구원』은 그가 새로운 삶의 작가로서 내는 첫 산문집이다. 일상의 가치와 의미를 적극적으로 의식하고, 스스로의 생각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삶의 지혜가 압축적으로 담겨 있다. 고아한 글쓰기와 절제된 유머, 섬세한 감수성과 경계 없는 인문학적 지식은 독자를 끌어당긴다. 그는 비뚤어진 인간관계 속에서는 상처받지 않는 삶이란 없으므로, 자기 성찰과 함께 타인에게 상처 주지 않기 위해 더욱 애쓰면서 살아가자며 이렇게 역설적으로 청한다.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 주지 않을 것처럼.” 지은 책으로 『문화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미녀와 야수, 그리고 인간』, 『깊이와 넓이 4막 16장』, 『철학광장』, 『서사철학』, 『메두사의 시선』, 『김광석 우리 삶의 노래』 외 다수가 있다. “조심한다는 건 소극적인 태도가 아니라 남에게 ‘마음을 쓴다’는 의미에서 오히려 조용한 적극성을 뜻합니다. …… 사람 사이의 만남이 인생을 파괴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그만큼 인생은 누구에게나 어마어마하게 소중한 것이니까요.”
펼치기
임지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 현재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이융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땅속에 묻힌 생명의 시간을 복원하는 고생물학자이자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로, 대한민국 1호 공룡 박사로 불립니다. 연세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했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생물학 석사 학위를, 미국 댈러스 서던메소디스트대학교에서 척추고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스미스소니언 국립자연사박물관 초빙 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관장을 거쳤으며, 국가유산청 자연유산위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지은 책으로는 『우리는 여전히 공룡 시대에 산다』, 『지구인도 모르는 지구』, 『공룡학자 이융남 박사의 공룡 대탐험』 등이 있으며 수많은 공룡 책을 감수했습니다.
펼치기
이호철 (글)    정보 더보기
1952년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났습니다. 38년 넘게 경상북도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습니다.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이오덕 선생님의 뜻을 따라 아이들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을 몸소 실천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삶을 가꾸는 글쓰기와 그림 그리기’를 오랫동안 해 오며 그 성과를 《살아 있는 교실》 《재미있는 숙제, 신나는 아이들》 《살아 있는 그림 그리기》 《이호철의 갈래별 글쓰기 교육》 같은 책으로 엮어 냈습니다. 또 《엄마 아빠, 나 정말 상처받았어》 《감동을 주는 부모 되기》같이 아이들 속마음을 읽을 수 있는 책도 썼습니다. 어린이들이 쓰고 그린 글과 그림을 묶어 《연필을 잡으면 그리고 싶어요》 《요놈의 감홍시》 《잠 귀신 숙제 귀신》 《개똥은 가만히 누워 잠을 잔다》 《공부는 왜 해야 하노》 《비 오는 날 일하는 소》 들을 펴냈습니다.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어린 시절 이야기를 담은 책으로 《우리 소 늙다리》, 이호철 사계절 동화 《온 산에 참꽃이다!》 《늑대할배 산밭 참외 서리》 《알밤 주우러 가자!》 《똥 누다 뒷간귀신 만나다!》 《곳집에 귀신이!》 들이 있습니다.
펼치기
김경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를 졸업한 후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과 고려대 대학원에서 현대신학과 동양철학을 공부했다. 미국 듀북 대학 신학원과 클레아몬트 대학원 종교학과를 거쳐, 네덜란드 유트레히트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신대에서 문화신학·종교 신학 교수로 일하다가 정년 퇴임했다. 한국문화신학회 회장, 크리스챤아카데미 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삭개오작은교회 원로목사, 한신대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폴 틸리히 신학 연구』, 『해석학과 종교신학』, 『이름 없는 하느님』, 『김재준 평전』, 『함석헌의 종교시 탐구』 등이 있다.
펼치기
부경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농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곤충학을 공부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부원장,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교수로 일하고 있다. <겨울철 벌레를 찾아서>를 감수했다.
펼치기
김동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노동청 대전직업안정소 행정서기보(9급)로 공직을 시작하여 5년 3개월만에 3급으로 승진하는 초고속 기록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노동부에서 장애인고용과장, 노사협력과장을 지냈으며 최저임금위원회 상임위원을 거쳐 2005년 7월 대전지방노동청장으로 임명됐다. 고시를 통하지 않고 말단 공무원으로 시작하여 청장의 자리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펼치기
박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여고를 거쳐 서울대 응용미술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에서 미술실기 석사학위(MFA)를 받았으며, 1994년부터 세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선정한 안전표지 60개 중 14개를 만들고, 2003년부터는 공공안내용 그림표지의 국가표준화 사업을 맞아 200개의 그림표지 만드는 일을 주도했다.
펼치기
임영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톨릭 신부. 대학을 다니던 중 광주학살에 대한 유인물을 살포한 혐의로 징역을 살고, 이후 천주교 노동사목협의회, 부천에서 공장 노동자 생활, 수원 세류동에서 10여 년간 빈민사목을 하기도 했다. 2005년부터 지금까지 서울역에서 노숙인사목을 하고 있으며, “참여자들에게 자아존중감의 회복과 내면적 성찰을 일깨워 현재의 상황들을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건강한 시민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을 둔 노숙인을 위한 인문학 강좌 <성 프란시스 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제타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 일본 오사카 출생. 여섯 살 때 경남 사천의 고향으로 돌아와 그곳에서 진주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64년 9급 공무원으로 들어가 서울시 교통국장, 감사관, 도시철도공사 사장 등을 지냈다.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젊어서 하지 못한 공부를 공무원 생활을 하면서 시작하여 공직 중에 미국의 대학 두 곳을 다녔고, 퇴직을 준비하면서 한국의 대학원 한 곳과 전문대 한 곳, 퇴직 후에는 대학 한 곳을 더 다녔다. 1997년 4월 서울시 간부회의에서 외환대란이 올 것을 예측한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펼치기
지관스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2년 경북 영일에서 태어나 1947년 해인사에서 출가했다. 이때의 은사가 성철스님과 더불어 양대 율사로 불리던 자운스님이었다. 이어 동국역경원을 세워 팔만대장경 국역에 앞장선 운허스님에게서 삼장을 배웠다. 1959년 해인강원의 강사, 1970년 해인사 주지가 되었으며, 1986년부터 1990년까지 동국대 총장을 지냈다. 이는 27세와 38세의 최연소 나이로 강사와 주지가 되고, 최초로 비구 대학총장이 된 기록이다. 1991년 가산불교연구원과 불교원전 전문학림인 삼학원을 세워 불교 연구자들을 키워왔으며, 2012년 1월 3일 세수 <한국불교소의경전 연구>,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총서> 등을 통해 불교 사료를 연구할 바탕을 만들었다. 조계종 총무원장을 지냈으며, 조계종의 수장으로서 종단의 큰살림을 보살피면서 불교대백과사전인 <가산불교대사림> 편찬에 힘써왔다. 2012년 1월 2일 서울 정릉 경국사에서 세수 80세, 법랍 66세를 일기로 입적했다.
펼치기
이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및 동대학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브리티시 카운슬 스칼라십으로 1962~63년에 영국 엑시터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오랫동안 대학에서 그리스ㆍ로마 신화와 서양 고전문학을 강의했으며, 방문교수로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미국 보스턴 대학교에서 고전문학을 연구했다. 저서로 <장미와 무궁화-영문학 산책>, <T. S. 엘리어트>(공저), <영미시의 수정주의적 접근>(공저), <문화의 오역>, <영한사전비판7gt; 등이 있으며, 1967년 시집 <장미와 나이팅게일>을 시작으로 <목신(牧神)의 오후>(공역), <그리스ㆍ로마의 고전문학>, <그리스ㆍ로마 신화> 등 50여 권의 영문학 고전을 번역했다.
펼치기
윤구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나무〉초대 편집장과 보리출판사 대표를 역임했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 《실험 학교 이야기》, 《철학을 다시 쓴다》, 《내 생애 첫 우리말》, 《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 《특별 기고》, 《꿈꾸는 형이상학》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 〈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우리 아이들이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람으로 살아 나갈 수 있도록 《보리 속담 사전》을 기획했다. 우리나라에 사는 생물의 다양성과 자연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보리 생태 사전》을 기획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살아 있는 순간 오늘도 공부한다 /장영희 서강대 영문학과 교수

나는 육체의 기능이 떨어지니 머리로 내 자신을 증명해 보여야 했다. (...) 그야말로 공부만이 나의 살 길이었다. 그래서 나는 순전히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나의 단 한 가지 재능까지도 원천봉쇄하려는 사회와 싸워 이기기 위해 열심히 공부햇다. 그리고 마침내 이겼다! 이렇게 말하니 사뭇 전투적이고 비장하게 들리지만, 돌이켜 보면 나는 그 싸움을 나름대로 즐긴 것 같다. 내가 공부하는 또 다른 이유가 되겠지만, 이 세상에서 공부처럼 하기 쉬운 일도 없기 때문이다. 그 무슨 일이든 가령, 더운 여름날 밭에 나가 땅을 파든, 교통지옥을 뚫고 휴가지에서 놀든 도서관이나 서재에서 한가로이 책 읽는 일만큼 쉬운 일이 있을까. - 본문 20쪽에서


원초적 본능이다 /고미숙 고전평론가

석사논문 초고를 완성하자 먼저 선배들이 돌아가면서 '손을 봐'주기 시작했다. (...) 한 편의 글, 아니 다 한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검을 버리고 악기의 현을 고르는' 것만큼 처절한 수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그리고 그것은 신체와 감성의 변화를 수반한다는 것을 그때서야 깨달았다. (...) 공부에 외부란 없다. 공부는 원초적 본능이자 삶의 모든 과정이라고. 그리하여 세상에는 두 가지 선택만이 있을 뿐이라고. '공부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거나!' - 본문 60~64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