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어의 시, 시의 언어

언어의 시, 시의 언어

권민경, 김은후, 김진규, 김춘리, 문성해, 민승희, 박완호, 안은숙, 유종인, 윤의섭, 이문숙, 이윤학, 장유정, 정다연, 조경선, 조규남, 최정례, 하린 (지은이)
테오리아
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어의 시, 시의 언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어의 시, 시의 언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87789123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7-08-08

책 소개

시인 18인의 시 모음집으로, 언어가 가장 아름다울 때(時), 언어가 시(詩)를 만날 때를 열여덟 가지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이 열여덟 언어의 시, 시의 언어의 면면을 살펴보면, 권민경의 작품들은 발랄한 상상력과 표현으로 유년의 시절을 소환하는 지향성을 갖추고 있다.

목차

권민경•9
개와 돼지의 혼・줄무늬 셔츠를 입고・도서관・내 태몽을 꿔주겠습니까
김은후•19
폐각근・고양잇과・산소리・참 심심했던 열흘
김진규•29
쥐구멍에서 시작된 종교・막다른 길의 변명・연애・위안
김춘리•39
광장・누들 놀이・비상구・플랫폼
문성해•49
영원한 책・처서・옆집・눈옷
민승희•59
수원갈비・남한산성 담쟁이・팔당댐 에피그램・장옷 쓴 나비
박완호•67
발효・나의 노래는 재가 되었다・연싸움・광화문
안은숙•75
빌려주는 뼈・돌의 말・녹슬지 않는 숲・달 항아리
유종인•87
세계주류백화점을 지나며・주전자와 난민・아프리카 바지・석류(石榴)
윤의섭•99
신비의 근황・선연・핍진・메멘토 모리
이문숙•111
식사 예절・환청 백화점・인공 눈물을 처방해 주세요・모피 손질법
이윤학•127
쭈구려 앉은 그림자・벼꽃이 피어・고야・소파베드와 함께 밤을
장유정•137
기억의 복구・남향을 골라 창문을 단다・시계 꽃. 2・오징어 다리는 몇 개일까
정다연•149
짧은 질문・결백해・변신・어느 날 아침 나는
조경선•163
빈 병・배롱나무・시래기・살
조규남•171
달리아・바람의 각도・백면서생・광명시장 2
최정례•181
반짝반짝 작은 별・경계・오리무중・나무의 말
하린•191
선데이 서울, 2017・냉장고의 재발견・발작・점촌빌라 103호

심사평_ 다양한 모색과 풍요한 상상력이 선사하는 삶의 공감•203

저자소개

유종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6년 『문예중앙』 신인상에 시, 200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조, 201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미술평론이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아껴 먹는 슬픔』 『교우록』 『수수밭 전별기』 『사랑이라는 재촉들』 『양철 지붕을 사야겠다』 『숲시집』 『숲 선생』이 있다. 지훈문학상, 김만중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윤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199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먼지의 집』 『붉은 열매를 가진 적이 있다』 『나를 위해 울어주는 버드나무』 『아픈 곳에 자꾸 손이 간다』 『꽃 막대기와 꽃뱀과 소녀와』 『그림자를 마신다』 『너는 어디에도 없고 언제나 있다』 『나를 울렸다』 『짙은 백야』 『나보다 더 오래 내게 다가온 사람』 『곁에 머무는 느낌』, 산문집 『시를 써봐도 모자란 당신』, 장편 동화 『왕따』 『샘 괴롭히기 프로젝트』 『나 엄마 딸 맞아?』, 소설 『우리가 사랑한 천국』 등을 썼다. 김동명문학상 지훈문학상 불교문예작품상 동국문학상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최정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국문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1990년 『현대시학』을 통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내 귓속의 장대나무숲』 『햇빛 속에 호랑이』 『붉은 밭』 『레바논 감정』 『캥거루는 캥거루고 나는 나인데』 『개천은 용의 홈타운』, 영역 시선집 『Instances』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흰 당나귀들의 도시로 돌아가다』가 있다. 백석문학상, 현대문학상, 미당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21년 1월 16일 별세했다.
펼치기
박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 진천에서 태어나 1991년 《동서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문득 세상 전부가 되는 누군가처럼』 『누군가 나를 검은 토마토라고 불렀다』 『기억을 만난 적 있나요?』 『너무 많은 당신』 『물의 낯에 지문을 새기다』 『아내의 문신』 『염소의 허기가 세상을 흔든다』 『내 안의 흔들림』 등이 있다. 김춘수시문학상, 한유성문학상, 경희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경기도 금촌 출생. 1991년 〈현대시학〉으로 등단. 2005년 《천둥을 쪼개고 씨앗을 심다》(창비) 2009년 《한 발짝을 옮기는 동안》(창비) 2017년 《무릎이 무르팍이 되기까지》(문학동네)
펼치기
문성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200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자라』 『아주 친근한 소용돌이』 『입술을 건너간 이름』 『밥이나 한번 먹자고 할 때』 『내가 모르는 한 사람』이 있다. 김달진문학상 젊은시인상, 시산맥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하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8년 〈광주매일〉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고 2008년 《시인세계》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시집 『야구공을 던지는 몇 가지 방식』 『서민생존헌장』 『1초 동안의 긴 고백』 『기분의 탄생』을 발간했다. 그리고 연구서 『정진규 산문시 연구』, 시 창작 안내서 『시클』, 시 창작 제안서 『49가지 시 쓰기 상상 테마』, 시조 창작 제안서 『이것만 알면 당신도 현대시조를 쓸 수 있다』, 평론집 『담화 구조적 측면에서의 친일시 연구』를 발간했다. 청마문학상 신인상(2011) 송수권시문학상 우수상(2015) 한국해양문학상 대상(2016) 한국시인협회 젊은시인상(2020), 한유성문학상(2024)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열린시학》 부주간과 단국대학교 문예창작과 초빙교수를 맡고 있다.
펼치기
김춘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1년 〈국제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바람의 겹에 본적을 둔다』 『모자속의 말』 『평면과 큐브』, 공동시집 『언어의 시, 시와 언어』가 있다.
펼치기
권민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집 『베개는 얼마나 많은 꿈을 견뎌냈나요』 『꿈을 꾸지 않기로 했고 그렇게 되었다』 『온갖 열망이 온갖 실수가』 청소년시집 『고양이가 사료를 아드득 까드득』 산문집 『등고선 없는 지도를 쥐고』 『울고 나서 다시 만나』가 있다. 고양시에서 고양이와 함께 산다.
펼치기
조규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한국소설』에 단편소설이, 『농민신문』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제6회 <구로문학상>과 제15회 <열린시학상>을 수상했다. 시집 『연두는 모른다』, 소설집 『핑거로즈』, 함께 쓴 책 『언어의 시, 시의 언어』 『향기의 과녁』 등이 있으며, 현재 구로문화원 ‘조규남 시창작’에서 시를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조경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6년 《매일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시집으로 『목력』, 『개가 물어뜯은 시집』이 있다. <김만중문학상> 신인상, <정음시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장유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3년 《경인일보》 신춘문예 당선으로 작품 활동 시작. 시집으로 『그늘이 말을 걸다』가 있음. 제19회 수주문학상 수상.
펼치기
김은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통영에서 태어나 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석사를 졸업했다. 2011년 <시인동네>로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분간 없는 것들>이 있다. 2016년 수원문화재단 문화예술지원금을 수혜했고, 2017년 상반기 세종도서 문학나눔과 2017년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창작지원 문학분야에 선정되었다.
펼치기
민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2년 〈아시아일보〉 신춘문예 시조부문 당선. 2015년 대은문학상 수상. 2017년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창작지원금 선정.
펼치기
안은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교육학 석사 졸업 2015년 『실천문학』 시 등단 2017년 『경남신문 신춘문예』 수필 당선 2017년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창작 문학 분야 선정작가 202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선정작가 제1회 시산맥시문학상 수상 제7회 <동주문학상> 수상 시집 「지나간 월요일쯤의 날씨입니다」 「정오에게 레이스 달아주기」 (동주문학상 수상시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