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서관으로 문명을 읽다

도서관으로 문명을 읽다

고혜련, 박지향, 박현규, 심재관, 이병훈, 이종묵, 이창숙, 차지원, 강성용, 문희경, 백종현, 서현, 이민희, 장경렬, 조철원, 김문식, 김시덕, 남종국, 안성찬, 여인석, 전영애, 정병설, 정승혜, 주원준, 최윤영 (지은이)
한길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도서관으로 문명을 읽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서관으로 문명을 읽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명/문명사
· ISBN : 9788935663569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6-11-30

책 소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에서는 ‘문명의 허브(Hub), 한국 인문학의 새로운 구상’이라는 주제 아래 지난 2007년부터 문명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책 <도서관으로 문명을 읽다<는 문명공동연구 여섯 번째 프로젝트로 총 26명의 학자가 모여 이루어낸 성과물이다.

목차

머리말

파란만장한 역사가 살아 숨 쉬다

독일_바이에른주립도서관 고혜련
영국_영국국립도서관 박지향
타이완_타이완고궁박물원 도서문헌관 박현규
네팔_네팔국립문서실 심재관
덴마크_덴마크왕립도서관 유종필
러시아_러시아국립도서관 이병훈
한국_규장각 이종묵
중국_중국국가도서관 이창숙
러시아_러시아문학연구소도서관 차지원

대학의 심장, 학문의 기쁨

파키스탄_펀자브대학 울너컬렉션 강성용
영국_옥스퍼드대학 보들리언도서관 문희경
한국_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백종현
미국_예일대학 바이네케고문서도서관 서 현
폴란드_바르샤바대학도서관 이민희
미국_하버드대학 와이드너도서관 장경렬
미국_뉴욕대학 밥스트도서관 조철원

세계 지성사의 풍경을 담다

한국_외사고 김문식
일본_호사문고 김시덕
이탈리아_프라토문서고 남종국
독일_바르부르크문화학도서관 안성찬
프랑스_파스퇴르연구소도서관 여인석
독일_안나 아말리아 대공비도서관 전영애
오스트리아_아드몬트수도원도서관 정병설
일본_도요문고 정승혜
이집트_성카타리나수도원도서관 주원준
스위스_장크트갈렌수도원도서관 최윤영

저자약력
발간에 부쳐

저자소개

김문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학예연구사를 거쳐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장,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성호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실학학회 회장, 국가유산청 문화유산 위원으로 있다. 조선의 경학사상, 조선후기 사상가, 정조 시대, 국왕 교육, 국가 전례, 대외인식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다. 지은 책으로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정조의 제왕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왕세자의 입학식』, 『정조의 생각』, 『조선 왕실의 외교의례』, 『원행을묘정리의궤』,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학』 등이 있다. 공저로는 『조선의 왕세자 교육』,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조선 국왕의 일생』, 『왕실의 천지제사』, 『즉위, 국왕의 탄생』,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觀)』,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 등이 있다.
펼치기
박지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브룩 소재)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 프랫대학교와 인하대학교를 거쳐 1992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도쿄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2011~2015), 한국영국사학회 회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대통령 소속 인문정신특별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영국사와 서양근현대사 전공으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를 집중 연구했으며 지난 10여 년간 영국, 아일랜드, 일본, 한국을 아우르는 비교사적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노력을 진행해왔다. 저서로 Profit-Sharing and Industrial Co-partnership in British Industry 1880-1920: Class Conflict or Class Collaboration?(London & New York), 『평등을 넘어 공정으로』, 『제국의 품격』, 『정당의 생명력: 영국 보수당』, 『클래식 영국사』, 『대처 스타일』, 『슬픈 아일랜드』, 『영국적인, 너무나 영국적인』, 『제국주의: 신화와 현실』 등의 저서가 있고, Past and Present, Journal of Social History,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서양사론》, 《역사학보》 등 국내외 저널에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종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우리 한시를 사랑하여 『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우리 한시를 읽다』, 『한시 마중』, 『이야기가 있는 여성의 한시』 등을 내고, 조선 선비의 삶을 추적하여 『조선의 문화공간』(1-4), 『조선시대 경강의 별서』(1-3), 『부부』, 『알고 보면 반할 매화』 등을 냈다. 또 좋아하는 옛글을 번역하여 『부휴자담론』, 『누워서 노니는 산수』, 『사의당지, 우리 집을 말한다』, 『글로 세상을 호령하다』, 『양화소록』 등을 펴냈다.
펼치기
이창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제대학교 중문과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중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고전희곡을 연구하고, 연행록에도 관심이 있으며, 두보시 역해 작업에도 참가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청궁 三層大戲臺의 함의」(『中國文學』 96輯), 「《伍倫全備記》二題」, 『中國文學』 第102輯), 저역서로는 『海內外中國戲劇史家自選集 鄭元祉 梁會錫 李昌淑卷』(鄭州: 大象出版社, 2018.), 『두보기주시기시역해2』(공역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장경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학교 영문과 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영문과의 교수직을 거쳐,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번역서로 『내 사랑하는 사람들의 잠든 모습을 보 며』, 『야자열매술꾼』, 『아픔의 기록』,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젊은 예술가의 초상』, 『라일라』, 『학제적 학문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전영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명예교수’와 ‘괴테 석학’보다 ‘괴테 할머니’로 더 많이 불리는 사람.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에서 여백서원을 운영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큰 꿈을 꾸게 하고 싶어서 괴테 마을을 조성하고 있다. 낮에는 넓고 아름다운 뜰을 가꾸는 정원사로, 밤에는 괴테의 모든 글을 번역하는 학자로 바삐 지낸다. 세계적인 괴테 연구자로 인정받아 2011년 바이마르 괴테학회로부터 아시아 여성 최초로 ‘괴테 금메달’을 받았다. 2020년 삼성행복대상 여성창조상을, 2021년 제3회 라이너 쿤체 상을, 2022년 제11회 이미륵상을 받았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파우스트』,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등 70여 권이 넘는 세계 명작들을 한국어로 번역했다.
펼치기
정병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문과 교수. 한글소설을 중심으로 주로 조선시대의 주변부 문화를 탐구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동학, 특히 해월 최시형의 사상에 눈을 떴고, 바로 이어진 1년간의 베를린 안식년 체류에서 동학의 시각으로 독일 사회를 바라보면서 민주주의에 이르렀다. 이 책은 한국 사회가 어떻게 하면 시민이 주인되는 진정한 민주주의에 이를 수 있을지 그 길을 고민한 결과물이다. 지은 책으로 국문학자의 시선으로 우리 땅 곳곳의 숨은 역사와 문학을 탐구한 『나의 문학 답사 일지』, 조선시대 소설의 향유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사도세자의 죽음을 입체적으로 해석한 『권력과 인간―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음담에 나타난 저층 문화의 성격을 밝힌 『조선의 음담패설―기이재상담 읽기』, 그림과 소설의 관계를 연구한 『구운몽도―그림으로 읽는 구운몽』, 기생의 삶과 문학을 다룬 『나는 기생이다―소수록 읽기』 등이 있으며, 『한중록』 『구운몽』 『춘향전』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여인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기생충학으로 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파리 7대학에서 서양고대의학의 집대성자인 갈레노스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인식론·과학사)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교수 및 의학사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 권으로 읽는 동의보감』(공저), 『의학사상사』, 『한국의학사』(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캉길렘의 의학론』, 『라캉과 정신분석혁명』, 『생명에 대한 인식』(공역), 『히포크라테스 선집』(공역), 『의학: 놀라운 치유의 역사』, 『알렌의 의료보고서』 등이 있다.
펼치기
주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구약학(성서언어학)과 고대근동언어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님성서연구소에서 ‘바알 신화’ 원문을 번역하고 있으며 서강대에서 구약성경, 고대근동의 종교 등을 강의한다. 저서로는 『구약성경과 신들』(한님), 『신명기』(거룩한 독서를 위한 구약성경 주해 5; 바오로딸)가 있고 역서로는 『우가릿어 문법』·『우가릿어 사전』(한님)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폭풍신이 아니라 풍우신이다 - Storm God의 번역어와 특징」(『종교신학연구』 11집) 등이 있다.
펼치기
심재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에서 고대 인도 의례와 신화 연구로 석사/박사과정을 마친 후,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다.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인도신화 텍스트인 푸라나(Purana)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인도 건축과 미술로도 관심을 확장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와 파키스탄 대학교와 함께 국제 필사본 연구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탈식민시대 우리의 불교학』 『인도 사본학 개론』 『세계의 창조신화』 『세계의 영웅신화』 『불교경전은 어떻게 전해졌을까』 『인도의 전투신 스칸다의 탄생신화』가 있고 역서로는 조지 미셸의 『힌두교사원』이 있다.
펼치기
문희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명예 교수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가르쳤다. Hi Kyung Moon, professor emeritus at Korea University, received her BA and M.Phil. and D. of Phil. from Oxford University and taught English Literature at Korea University.
펼치기
안성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독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에서 독문학, 철학, 예술사를 연구하고 서강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네이버 지식백과 그리스 로마 신화 감수를 맡았다. 『이성과 감성의 평행선』, 『숭고의 미학』, 『문명의 교류와 충돌』(공저) 등을 썼고, 『윤리,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정치,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철학가』, 『승리와 패배』, 『납치된 공주』, 『마지막 담배』, 『나와 카민스키』, 『즐거운 학문 메시나에서의 전원시 유고(1881년 봄~1882년 여름)』(니체 전집, 12), 『매체이론의 지형도1』(공역)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백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서울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소장,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원장, 한국칸트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철학』 편집인·철학용어정비위원장·회장 겸 이사장,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Universality and Relativity of Culture”(Humanitas Asiatica, 1, Seoul 2000), “Kant’s Theory of Transcendental Truth as Ontology”(Kant-Studien, 96, Berlin & New York 2005), “Reality and Knowledge”(Philosophy and Culture, 3, Seoul 2008)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Phanomenologische Untersuchung zum Gegenstandsbegriff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Frankfurt/M. & New York 1985), 『독일철학과 20세기 한국의 철학』(1998/증보판2000), 『존재와 진리―칸트 〈순수이성비판〉의 근본문제』(2000/2003/전정판2008), 『서양근대철학』(2001/증보판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윤리 개념의 형성』(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사회 운영 원리』(2004), 『철학의 개념과 주요 문제』(2007), 『시대와의 대화: 칸트와 헤겔의 철학』 (2010/개정판2017), 『칸트 이성철학 9서5제』(2012), 『동아시아의 칸트 철학』(편저, 2014), 『한국 칸트 철학 소사전』(2015), 『이성의 역사』(2017), 『인간이란 무엇인가–칸트 3대 비판서 특강』(2018), 『한국 칸트사전』 (2019),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2021), 『인간의 조건』(2024)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임마누엘 칸트–생애와 철학 체계』(F. 카울바흐, 2019), 『실천이성비판』(칸트, 2002/ 개정2판2019), 『윤리형이상학 정초』(칸트, 2005/개정2판2018), 『순수이성 비판 1·2』(칸트, 2006), 『판단력비판』(칸트, 2009),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칸트, 2011/개정판2015), 『윤리형이상학』(칸트, 2012), 『형이상학 서설』(칸트, 2012), 『영원한 평화』(칸트, 2013),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칸트, 2014), 『교육학』(칸트, 2018), 『유작 I.1·I.2』(칸트, 2020), 『학부들의 다툼』(칸트, 2021), 『유작 II』(칸트,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백종현의 다른 책 >
정승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어사 전공, 수원여자대학 교수.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외국어 교육의 역사와 외국어 학습서의 연구에 관심을 가져왔다. 조선 시대 역학서를 중심으로 하여 그와 관련된 자료를 새로 발굴하고 소개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역관의 가계와 활동에 대한 연구도 병행해왔다. 『조선 후기 왜학서 연구』 『원본 노걸대』 『이학지남』 『박통사 원나라 대도를 거닐다』 등의 저서와 「한국에서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대마도에서의 한어교육」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병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국립대학에서 석,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부교수이다. 전공은 19세기 러시아문학 비평사 및 비평이론이다. 연세의대에서 펠로우로 있으면서 2년간 문학 강의를 했고, 서울의대, 고려의대, 가톨릭의대, 인제의대 등에서 ‘문학과 의학’, ‘예술과 의학’ 등을 강의했다. 최근에는 문학과 의학의 학제간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2012), 『감염병과 인문학』(2014,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젊은 의사의 수기·모르핀』(2011), 『사고와 언어』(2021,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민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강화도에서 태어나 역사와 문학의 정기를 받으며 자랐다. 연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고전문학 비교 연구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부터 폴란드 바르샤바 대에서 수년 동안 폴란드 학생들을 가르쳤고, 2008년부터 지금까지 강원대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9년에 한국출판학술상을 수상했고, 방문학자로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2015)와 미국 하버드대학교(2023)를 다녀왔다. 고전소설 연구를 중심으로 하면서 근대문학, 문학사, 구비문학, 비교문학, 서지학, 문학교육학을 또 다른 거점으로 삼아 분과 학문적 경계를 넘어서기 위한 공부를 계속해 오고 있다. 주요 저서 <파란·폴란드·뽈스까!-100여 년 전 한국과 폴란드의 만남, 그 의미의 지평을 찾아서>(소명출판, 2005,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16∼19세기 서적중개상과 소설·서적 유통관계 연구>(역락, 2007,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우수학술도서) <조선의 베스트셀러-조선후기 세책업의 발달과 소설의 유행>(프로네시스, 2007) <조선을 훔친 위험한 책들>(글항아리, 2008) <마지막 서적중개상 송신용 연구>(보고사, 2009,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역사영웅서사문학의 세계>(서울대 출판부, 2009) <백두용과 한남서림 연구>(역락, 2013,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얼굴나라>(계수나무, 2013, 세종도서 문학나눔 우수도서) <쾌족, 뒷담화의 탄생-살아있는 고소설>(푸른지식, 2014, 세종도서 교양나눔 우수도서) <세책, 도서 대여의 역사>(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박지원 읽기>(세창미디어, 2018) <비엔나는 천재다>(글누림, 2019) <강원도와 금강산, 근대로의 초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 여행기를 읽다>(강원학연구센터, 2021) <근대의 금강산과 강원도, 그 기록의 지평>(소명출판, 2022) <18세기의 세책사-소설 읽기의 시작과 유행>(문학동네, 2023) 등. 주요 역서 <여용국전/어득강전/조충의전>(지만지, 2010), <춘풍천리>(지만지, 2011), <옹고집전>(휴머니스트, 2016), <방한림전>(휴머니스트, 2016), <서산대사전>(지만지한국문학, 2023), <병인양요, 일명 한장군전>(지만지한국문학, 2024), <책쾌 조신선 이야기>(지만지한국문학, 2024) 등.
펼치기
남종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세 지중해 교류사와 순례를 연구하고 있으며, 『샤일록 구하기: 이자 대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쓰고 있다. 저서로는 Le commerce du coton en Mediterranee a la fin du Moyen Age(2007), 『지중해 교역은 유럽을 어떻게 바꾸었을까?』(2011),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근대 자본주의와 혁신의 기원』(2015), 『중세 해상제국 베네치아』(2020), 『중세를 오해하는 현대인에게』(2021), 『몽골 평화시대 동서문명의 교류: 아비뇽에서 개경까지』(2021, 공저), 『사료로 보는 몽골 평화시대 동서문화 교류사』(2021, 공저), 『질병 관리의 사회문화사: 일상생활에서 국가정책까지』(2021,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프라토의 중세 상인: 이탈리아 상인 프란체스코 다티니가 남긴 위대한 유산』(2009), 『지중해: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2-1, 2-2』(공역, 2017)가 있다. 그 밖에 “Who is Rex Corum in the Letter of 1333 by Pope John ⅩⅩⅡ?”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강성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함부르크대학에서 인도학, 철학, 티베트학으로 석사학위를, 고전인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스트리아 빈대학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1세기불교포럼 공동대표를 지냈다. 인도 철학 및 종교학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이며 인도를 포함하여 현대 남아시아 각국의 사회정치적 역동성에 대해 연구한다. 저서로는 『빠니니 읽기』 『인도 고전어 쌍쓰끄리땀 첫마당』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 등이 있다.
펼치기
차지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노어노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학위(M.A), 러시아 국립학술원 러시아문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Ph.D). 충북대학교 러시아알타이지역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러시아 상징주의 문학 및 현대여성문학, 러시아 은세기와 아방가르드 문화예술 등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오리엔탈리즘인가, 오리엔탈인가: 발레 『셰헤라자데』의 오리엔탈리즘에 관하여”, 옮긴 책으로 『아방가르드 프런티어』(2017), 함께 지은 책으로 Design and Modernity in Asia: National Identity and Transnational Exchange 1945-1990(2022), 『우리에게 다가온 러시아 오페라』(2022), 『우리에게 다가온 러시아 발레』(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차지원의 다른 책 >
고혜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5년 이화여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박물관에서 재직하다가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 독일 도상해석학의 연구방법론을 습득하기 위해 바르부르크가 교수로 재직했던 독일 함부르크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2년 10월 하이델베르그대학에서 『미륵과 도솔천의 도상학』으로 박사논문을 제출, 2003년 2월 예술사학과 중국학 복수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LMU뮌헨대학 중국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어 2007년 한국 귀국 전까지 재직하였다. 2007년부터 2017년 5월 하이델베르그대학으로 연구년을 떠나기 직전까지 10여 년 동안 대학 강의와 독일 동아시아 연구 DB 자료 구축에 힘썼다. 하이델베르그대학 연구년 동안 하이델베르그대학, 뷔르츠부르그대학, 튀빙엔대학, 베를린자유대학에서 도상해석학 관점으로 본 한국예술사 강연을 하였다. 또한 독립기념관에서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위탁한 한국독립운동사 자료총서 제43집 『독일어 신문 한국관계기사집』 발간 작업을 완수,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새로운 자료를 세상에 알렸다. 현재 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이 파견한 한국학 교수로서 2019년 신학기부터 독일 뷔르츠부르그대학에서 매 학기 한국예술사, 한국사를 강의하고 있다. 앞으로 독일에 현존하는 한국관계자료를 찾아내고 번역 작업을 통해 올바른 한국관 정립에 노력할 생각이다.
펼치기
최윤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독어독문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본대학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독일 사실주의 소설, 현대 소설, 이민 문학과 비교 문학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주요 저서로 『사실주의 소설의 침묵하는 주인공들』, 『한국문화를 쓴다』, 『서양문화를 쓴다』, 『카프카 유대인 몸』, 『민족의 통일과 다문화사회의 갈등』 등이 있으며 역서로 『에다』(공역), 『개인의 발견』, 『목욕탕』, 『영혼 없는 작가』, 『훔볼트의 대륙』 등이 있다.
펼치기
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 미국컬럼비아대학 건축대학원을 졸업했다.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이자 건축가다. 건축을 이루는 공간조직은 사회조직의 물리적 구현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그 사회를 알기 위한 방편으로 여행과 독서가 최선이라고 믿고 있다. 지은 책으로 『건축을 묻다』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배흘림기둥의 고 백』 등이 있으며 김천상공회의소, 해심헌, 효형출판 사옥 등의 건물을 설계했다.
펼치기
박현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이자 천진외국어대학교의 객좌교수이다. 한국중국문화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다양한 영역에 걸쳐 활동 중이다. 펴낸 책으로는 『임진왜란 중국 사료 연구』, 『임진왜란 남원성 전투와 명군 문물』, 『중국 대륙 속의 한민족 디아스포라 지명』, 『동아시아 해상 표류와 해신 마조』, 『중국 명말·청초 조선시선집 연구』, 『19세기 중국에서 본 한국 자료』 등이 있다. 중국어로 낸 『광운판본고(廣韻版本考)』, 『대만공장한국고서적연합서목(臺灣公藏韓國古書籍聯合書目)』, 『항왜원조(抗倭援朝); 계금(季金)』을 포함하여 315편에 달하는 책을 집필하였다.
펼치기
조철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뉴욕대학 영문학과에서 미국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부원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스티븐 크레인의 소설에 나타난 문학적 긴장』(The Literary Tensions in Stephen Crane’s Novels and Short Stories), 『미국소설과 서술기법』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최근에 나온 『월든』 번역본 평가」 「영원한 세계를 향한 핌의 추구」 「『분노의 포도』: 존 스타인벡의 공동체 의식」 「『무공훈장』과 『노병』에 나타난 문학적 긴장」 「『미국인』에 나타난 극적 요소와 한계 지워진 뉴먼의 역할」 등이 있다.
펼치기
김시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0대 시절 강남 3구에 두루 살아보는 경험을 했다. 강남 개발이 한창이던 때였기에, 도시의 변화가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 삶을 어떻게 바꾸는지 똑똑히 볼 수 있었다. 그렇게 ‘도시’라는 평생의 연구 주제를 만났다. 오늘날 전국을 두 발로 누비며 촬영하고 기록하는 도시 답사가이자, 온갖 기록에서 잊힌 기억을 캐내는 도시문헌학자이며, 이로써 한국인의 삶과 한국의 미래를 두루 살피는 인문학자로 활동 중이다.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일본의 국립 문헌학 연구소인 국문학연구자료관(총합연구대학원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HK연구교수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를 역임했다. 2011년 제4회 일본고전문학학술상을, 2015년 제5회 석헌학술상을, 2021년 제70회 서울특별시 문화상(학술 부문)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 ‘한국 도시 아카이브 시리즈’를 비롯해 《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 《한국 도시의 미래》 《철거되는 기억》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일본인 이야기 1, 2》 《전쟁의 문헌학》 《일본의 대외 전쟁》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